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0/07/21 16:24:27
Name 양산형젤나가
Subject 일반인들 사이에서 말다툼이 붙으면 왜 보통 보수쪽이 이길까요?
혹시나 오해가 있을까봐 저는 굉장히 실용주의쪽에 치우쳤구요, 진보건 보수건 당색 그런거 안가리고 저에게 이익이 될 수 있는 쪽만 찾습니다. 지금은 어디도 지지 안하는데 그 이유도 정책이 애초에 저에게 이익이 안되거나 정책이 이익이 되나 구현할 실력이 없기 때문인데요.
이런걸 요즘 회색분자라고 하기도 한다던데 별 신경 안씁니다.-_-;

피지알 글 보면 괴수들이 종종 계셔서 일반인임에도 일대일이라면 보수쪽 웬만한 일반인은 능히 상대해내실 분들이 보입니다만....

제 나이는 스물한살이라 아직 정치에 대해 극 민감하게 다투거나 하기보다는 서로 정치이야기를 삼가는 편입니다만
때때로 나올때가 있는데... 뭐 술자리에서 어른들끼리 싸우는거 보기도 하고 그러면
보수쪽의 논리가 진보쪽의 논리를 압도하는 경우가 정말 많습니다.
사실 진보쪽이 보수 상대로 수적인 우위를 점하지 않으면 우위를 점하는 것을(표현이 이상하지만?) 전혀 못 봤습니다.

그냥 말하는 것을 봤을 때, 보수성향이 있는 사람들의 논리가 상대적으로 진보쪽 일반인에 비해 논리정연한 느낌입니다.
그에 비해 진보쪽 논리는 좀 많이 빈약....

제 친구의 의견으로는 보수쪽 사람들이 읽는 조-중-동의 신문이 주는 무게감이 무거워서 그런거라고 생각한답니다. 보수쪽 사람들의 자료의 원천은 애초에 그 기반도 탄탄하고 상대적으로 풍부하고 어렸을 때부터 어른들에게 들어온 게 있는 반면에 진보쪽의 논리를 받쳐줄 신문은 솔직히 지금 수준에선 조중동에 비하면 없는거나 마찬가지고 거의 소수 진보 식자층에 의존하는 것이라서 하더군요.

저는 그냥 기득권층에 보수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그 사람들은 소위 '배운'사람들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사회구조에 잘 적응한 케이스이고 그렇기 때문에 덜 적응한 서민쪽인 진보성향보다는 논리가 앞서는 것이 아닌가 이렇게 생각해보는데요. 라인 자체가 보수가 탄탄하니... 일반인들이 얻는 정보 그런 것도 탄탄해질테구요.

왜 보수쪽이 보통 말싸움 붙으면 우위를 점하는지가 궁금합니다. 그만큼 보수쪽 일반인 의견이 딱 들으면 가끔은 어라 이거 말 되네? 싶을때도 많은데 진보쪽 일반인의 의견은 뭔가 훨훨 날아다니는 기분이 들때가 많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CHECKdanmalgi
10/07/21 16:27
수정 아이콘
글쓴이께서 잘 못 알고 있는 것입니다.

참고로, 보수를 자처하는 한나라당의 최대 지지 계층은 소위 학력과 경제력이 낮은 층입니다.
Siriuslee
10/07/21 16:31
수정 아이콘
언론에서 보수라 말하는 수고 꼴통이 아닌

건전한 의미의 보수론은 지금 현재 상태 유지 정도의 의견이기 때문에 당연히 현재 상태를 바꾸자는 진보쪽과의 의견이 충돌하면
대부분 우세합니다.

저 역시 제 정치적인 색을 나눈다면 보수에 가깝고, 학창시절 동아리 활동내에서 진보쪽이던 녀석과 매번 의견다툼이 있었는데,

대부분 변화를 주장하던 그녀석의 의견은 표결까지 가서 반대의견이 더 많았습니다.


ps. 우리네의 정치를 보면 보수라 자처하는 수구꼴통 이적집단들은 보수가 아닙니다. 그냥 자기들 이익만 챙기는 이익집단입니다.


ps2. 언론에 등장하는 진보쪽 인사들이 능력적으로 보면 충중한 인사들이 많은데,
그 이유가, 진보쪽 전체적으로 능력이 좋다 라고 분석하기 보다는.. 변화를 두려워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인 우리 사회에서 두각을 나타낼 정도의 진보 인사는, 정말 능력이 뛰어난 것이다. 라고 분석 하고 싶습니다.
꿈, 이상 과 현실을 확실히 구분하고 타협할 줄 아는 진보쪽 추진력은 대단합니다.
켈로그김
10/07/21 16:31
수정 아이콘
진보진영을 머리로는 지지하지만,
나 자신이 진보적인 인간이냐면 물음표가 붙기 때문일까요...
10/07/21 16:34
수정 아이콘
어떤 이야기를 나누었는지 그게 정치쪽이었는지조차 이야기가 없으셔서
조금 난감하지만 정치라고 가정하고 이야기 하자면요.
일단 보수쪽의 논리 중 가장 무서운 것은 너도 나도 살면서 어떻게든
법이면 법 규칙이면 규칙을 악용하면서 얍삽하게 살아왔지 않느냐
이런 말입니다. 하지만 한마디면 끝입니다.
저기 님 공직자의 윤리라는게 있습니다.
우리 아이들이 뭘 보고 배워야 하는지
그들에게 책임이 있는것이지요... 이 말요.
그나마 중도내지 진보쪽 공직자는 덜 부패했으니까요.
CHECKdanmalgi
10/07/21 16:40
수정 아이콘
"제 친구의 의견으로는 보수쪽 사람들이 읽는 조-중-동의 신문이 주는 무게감이 무거워서 그런거라고 생각한답니다."
무게감이 무거워서 그런게 아니고, 그들이 프레임을 선점해서 그렇습니다. 사안에 대해서 토론할 때, 사안을 바라보는 시각, 해석 방법등을
"보수쪽 사람들"이 정해서 그렇습니다.
다소 생경한 예를 들어보자면, 고 최진실씨 사건 때, 수구 언론 및 당시 홍준표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인터넷 댓글문화'로 사안을 특정지어 놓고, 사람들로 하여금 그 테두리 내에서 치고 받도록 유도했습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결론도 없는 아우성으로 흐지부지되었습니다. 하지만, 저는 당시의 사건이야말로 우리 사회에 만연한 우울증에 대해서 제대로 탐구하고 해결하기위한 단초를 제공했다고 생각하고, 고인에게는 미안하지만, 좋은 기회가 왔다고 생각하고 여러모로 관련 자료를 준비하고 있었지만, 어디가서 말한마디 못해보고 끝났습니다.
즉, 수구 언론 및 그 무리들은 자신을이 원하는 방법으로 말하기를 잘하고, 진보 세력은 뒤만 따라다니다가 할 말 못하고 끝나는 것입니다.
소인배
10/07/21 16:45
수정 아이콘
일단 한국 진보가 그런 데 약한 면이 있고, 주로 보수 쪽에서 들고 오는 논거를 뒷받침하는 근거가 어느 정도는 조중동에서 날조된 기사 내지 자료일 때가 많았습니다. 최소한 제 주변에선 그랬어요.
소나비가
10/07/21 16:52
수정 아이콘
보수는 현실적, 진보는 이상적인 면이 있습니다.
보수가 현실을 빗대어 진보를 까면 진보가 답하기 힘든 경우가 많죠.

예를 들어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논리로만 보면 공산주의 보다 더 좋은게 어디 있습니까?
다면 현실적용에 문제가 있기에 몰락하고 있을 뿐이죠..
내일은
10/07/21 17:01
수정 아이콘
일단 글쓰신 분이 보수이십니다. "나에게 이익이 되면 그만이다"가 보수의 핵심이죠.
아직 보수와 진보의 구분에 대해 명확한 인식이 없으신 듯 합니다.

보수의 '논리'가 진보의 '논리'를 압도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보수는 '현실'을 중시하지, '이론'을 중시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글쓰신 분은 '논리' 중 일부분인 '현실의 논리'을 잘못 이해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평등을 중시하는 좌파냐, 또는 평등을 경시하는 우파냐 하는 논쟁은 이론적인 논쟁이 벌어질 수 있지만
'이론'보다는 '전통과 현실'을 중시하는 보수가 논리 싸움에서 이길 수는 없습니다. 대개 보수는 진보를 이기는 방법은 대개 '권력'입니다. 진보 쪽 논리는 당연히 현실을 '훨훨' 날아다닐 수 밖에 없습니다. '(보수가 주장하는)현실'에 없는 것을 이 현실에 인간의 지혜와 노력으로 만들어내자는 것(그러니까 '이론'을 주장할 수 밖에 없습니다)이 '진보'이므로 지금 하나의 현실이자 권력으로 구현되는 것을 주장하는 것을 '진보'라 부를 수 없기 때문입니다.
내일은
10/07/21 17:10
수정 아이콘
조금도 첨언하자면
KT 광고 카피인 '다 그래를 뒤집어라'가 진보의 핵심을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세상이 다 그렇지만 "그렇지도 않은 세상이 가능하다",
"어떻게 가능한가"라는 질문에 "이렇게 가능하다"(이론)을 내놓는 것이 진보이기 때문입니다.

세상이 "다 그래"(서 나에게 이익이 되니까 뭘 바꿔)라고 답한다면 그건 보수입니다.
10/07/21 17:41
수정 아이콘
소위 입진보가 많아서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직접적인 사유를 통해서 나온 생각이 아니라, 들은 풍월로 이리저리 떠드는 사람 말입니다. 그에 반해 입보수는 적습니다. 입으로만 떠드는 사람은 젋은이들에서 많이 찾을 수 있는데, 젋은이들은 전반적으로 진보성향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최근들어 운동권을 비롯한 진보주의자들에게 시크하게 비웃음을 날리며 보수적인 생각을 말하는 이들이 ' 쿨가이 ' 로 취급받고 있기 떄문에 입보수도 굉장히 많아지고 있네요.

추가적으로 내일은님 의견에 공감합니다. 실용주의가 보수적 성향입니다. 따라서 보수적 의견을 들으면 공감이 갈 수 밖에 없죠. 개인적으로 보수는 현실의 이익을 최대한 쫒고 진보는 현실의 이익을 팔아서 낮은 가능성으로 미래의 이익을 사는거라고 생각합니다.
동료동료열매
10/07/21 17:52
수정 아이콘
모리님 의견에 공감합니다. 입진보가 많고 자칭 진보라는 대학생들도 이야기 들어보면 논리의 깊이면에서 형편없을때가 많아요. 저는 모 사이트에서 그런 분위기를 많이 느끼는데 진보쪽 관련기사 하나만 나오면 와아아아~ 하면서 지지해주고 띄워주고... 아무튼 그렇더군요.
10/07/21 20:21
수정 아이콘
10명 중 8명은 실패하고 2명만 성공하는데 너라고 별 수 있겠냐 하는 게 보수 즉 현실주의자이고 내가 안 된다는 보장이 어디있냐는 게 진보 즉 이상주의자입니다. 주식할 땐 다들 진보적이 되죠.
10/07/21 21:57
수정 아이콘
어르신들이 젊은 사람들 보다 정치에 관심이 많아서 그렇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컴퓨터, 패션, 여가생활 등에 관심을 기울일때 그런데 관심 없는 어르신들은 시사쪽 신문이나 잡지, 뉴스를 많이 보십니다.
그래서 선거 참여율도 더 높은 것이구요.
10/07/22 00:43
수정 아이콘
논리적으로 생각해보면 결국에 진보는 자체적 결함을 갖게 됩니다.
보수를 안정, 진보를 변화라고 간단히 일반화해본다면, 결국 보수는 기능론적인 이야기고 진보는 갈등론적인 이야기로 회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실제로 그렇다는게 아니라 논쟁을 하다보면 그렇게 되는 경우가 상당수라는 것이지요.)

그런데, '갈등'을 인정하고 '변화'를 지향했는데, 이것이 이루어진다면? 결국엔 이 모든게 안정과 기능론적인 구조를 위한 것이라는 궁극적인 결론이 나오게 되지요. 중요한 것은 '궁극적'인 것이 아닌데도 말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6615 좀 시원하게 잘 수 있는 방법이 없나요? [17] 오승환투르크2420 10/07/21 2420
86614 일반인들 사이에서 말다툼이 붙으면 왜 보통 보수쪽이 이길까요? [24] 양산형젤나가2351 10/07/21 2351
86613 카오스 연습하는방법좀 ㅜㅜ [6] 말룡2071 10/07/21 2071
86612 햄스터 키워보신분들 질문좀 드릴께요 [1] Kristiano Honaldo1469 10/07/21 1469
86611 제가 사기당한 건가요??? [7] 아웅6493 10/07/21 6493
86610 노트북으로 어디서나 무선 인터네 할 수 있는 방법은 어떤게 있나요? [3] 소나비가1509 10/07/21 1509
86609 옵티머스Q 어떤가요? [5] romanson1872 10/07/21 1872
86608 자우림-매직카펫라이드 남자가 부른 영상이나 음성있나요? [2] RookieKid2157 10/07/21 2157
86607 자게의 갤럭시 플레이어 관련글을 보고 의문점~~(egg사용) [17] 허저비2122 10/07/21 2122
86606 쿡앤쇼존이 네스팟인가요? [1] 녹차한잔의여2475 10/07/21 2475
86605 점을 뺐는데요...정상적으로 돌아올려면 어느정도 걸리나요? [3] 철의동맹1517 10/07/21 1517
86604 인중을 맞으면 왜 죽을 수 있나요? [16] 비몽13505 10/07/21 13505
86603 전자 사전 추천 부탁드립니다. [3] 둥이1497 10/07/21 1497
86601 포항 불꽃축제 가보신분 계신가요?? [3] 인스네어리버1518 10/07/21 1518
86600 어제 오후 5시 30분에 이영표 선수가 나온 티비프로그램 보신 분? [2] 문다니엘1503 10/07/21 1503
86599 대명 비발디 오션월드에 처음 가보려고 합니다.^^; [5] goGo!!@heaveN.1899 10/07/21 1899
86598 자전거 전조등 질문드려요. [4] Joon1380 10/07/21 1380
86597 유소년들을 즐겁게게임하면서 체력을 키우는 방법 없을까요 ? [2] Rookie-Forever1520 10/07/21 1520
86595 아이팟터치 16GB 이상의 저렴한 세대에는 뭐가있을까요? [3] 冷봄3393 10/07/21 3393
86594 ubuntu server 파티션 질문 [1] 마남1353 10/07/21 1353
86593 [아이팟] 지연된쓰기실패.. 암울하네요 흑흑 [5] 冷봄3804 10/07/21 3804
86592 유머 내용이 알고 싶어요... [6] 좀참자1869 10/07/21 1869
86591 혈당질문? [1] 도동공용1754 10/07/21 175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