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8/09 16:24
수수료가 500원은 아닐겁니다만..
음식점에서 3000원어치 카드 긁으면 뒤통수 근질근질하죠 저같은 경우엔 5000원이상만 카드 사용합니다.
12/08/09 16:25
수수료 500원은 말도 안되는 얘기죠.. 말씀하신대로 많아봐야 3%입니다.. 3천원에 500원이면 16.7%인데 이정도면 카드수수료가 아니라 사채입니다...
싸게 파니까 순수익이 적고 여기에 수수료까지 떼면 남는게 없으니까 거부하는거겠죠..
12/08/09 16:30
으악 그냥 카드수수료 얼마냐는 질문에 서론이 뭐이렇게!
간단히 답변드리자면 카드수수료라는건 상점의 총카드매출액 * 수수료율 방식이기 때문에 3000원짜리 짜장면을 10번 결재하던 30,000원짜리 팔보채를 한번 결재하던 중간상점에서 지불하는 돈은 동일하다 이겁니다. 물론 카드회사는 건당 들어가는 고정처리비용이 별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3000원 짜장면 * 10그릇이 손해라고 봐야죠. 수수료율은 신용카드 기준 2% 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이부분에 대한 더 자세한 답변은 아랫분이...
12/08/09 16:30
연매출 2억 이하 가맹점이면 수수료율도 신용카드 1.8% 체크카드 1.0% 선입니다.
뭐 현금을 선호하는 거야 매출기록이 남는 문제때문에 그러겠죠. 영세하니까 더 그럴지도요.
12/08/09 16:32
카드사 수수료 제외하고도 결제시마다 일정금액의 단말기통신료(?)가 붙습니다
괜히 담배한갑파는데 카드내밀면 조그만 슈퍼같은덴 주인들 인상이 구겨지는게 아니죠 약간의 과장은 있겠습니다만 괜히 그런소리하는게 아니죠 그리고 카드결제시에는 나중에 세금문제도 있어서 그러는겁니다 요부분까지 소비자가 신경 쓸 필요는 없구요 소액 카드결제 부분은 현재 여러모로 문제가 많죠 1000원이상 카드 거부시 벌금에서 5000원 미만은 카드결제거부로 바뀐다고 본적있는것 같은데 어떻게 됐는지 모르겠네요
12/08/09 16:37
사장이 뻥카를 치긴 했다. 카드 안받은 건 나쁜 짓. 그래도 이해는 해 주자.. 이 정도 입니다.
저 분은 아마 카드 계산으로 장부가 다 잡히고 거기서 부가세등등 까지 알차게 계산을 하신 금액을 말씀하신 것 같군요. 말하자면 매출 누락을 염두에 둔 현금장사를 하고 싶은 것 같습니다. 뭐 말씀하신 걸 대충 보면 저 분 한달에 이백미만으로 가져갈텐데 거기에 카드수수료 내고, 매출 잡혀서 세금까지 잡히는 건 싫을 것 같긴합니다. 그래도 카드 안받고 장사하는 건 기분 많이 상하지요. 장사를 해본 입장에서 저는 천원 이천원 카드 다 받았습니다만, 자주 오는 분이 저 금액으로 카드 결재 하면 솔직히 맘으로는 서운합니다. 저 금액은 두배 뻥튀기 장사해도 오백원 천원 남는건데 거기에 카드수수료에...
12/08/09 16:41
제 자신이 자영업자라서 그런지 1만원이하는 현금으로 지불합니다.(그대신 현금영수증은 끊습니다)
카드수수료는 판매업자의 이윤에 대해 붙는게 아니라 판매가 전체에 대해 붙기때문에 판매업자 입장에선 부담이 크죠.. 제가 저 사장이라면.. 카드로 2천원긁는 손님 짜증은 날겁니다.
12/08/09 16:55
잘아는건 아니고 예전에 어디서 본건데 카드수수료외에 단말기 사용룐가? 여튼 그게 카드 한번긁을때마다 몇백원씩 붙는다고 들었습니다. 만약 그게 맞다면 500원얘기가 맞을겁니다. 특히 대형프렌차이즈도 아니고 개인업자면 더욱 그렇겠죠
12/08/09 17:00
수수료가 진짜 소비자가 짜증나게 하는존재같아요. 뭐 일일히 현금들고다니게 조장하고, 현금뽑을라치면 주요거래 은행찾아야되고 없으면 결국 피해는 소비자가 보고 (본인이 수수료부담) 결제 작은금액으로 하면 눈치보이고.
12/08/09 17:15
대형마트같은 곳은 그냥 이용하지만, 영세사업장(체인점 포함)에서는 1만원 이하일 땐 웬만하면 현금 씁니다.. 안그러면 기분이 좀 그렇더라구요
12/08/09 17:29
어쩐지 약국에서 바이오톤 사는데, 약사가 카드는 16만 5천원. 현금은 15만원.
이라고 하길래 응? 뭐지? 했는데 뭔가 더 있었군요.
12/08/09 17:35
박카스 하나팔고 마진 오십원 남는데 카드 내밀면 오히려 마이너스 나옵니다....
카드는 오천원미만이면 그냥 현금으로 줍니다. 저희집도 장사를해봐서 카드수수료 무시 못합니다.
12/08/09 17:36
카드 수수료 + 단말기 통화료 + 세금으로 인한 과세
3개를 다 합쳐서 500원 정도라고 계산한거 같습니다. 약간 뻥카가 있을순 있어도.. 수수료 자체가 비싸긴 해요...
12/08/09 17:53
뻘질문에 많은답변 감사합니다 (_ _);;
위에썻듯이 사실 이집 면요리류가 너무 맛이 없어서 수요일특선볶음밥 할때 말곤 가기가 꺼려지는집인데 담주 수요일날 들려서 볶음밥 먹고 잔금처리하고 와야겠네요!
12/08/09 18:35
제가 들은바로는 업소마다 카드수수료가 다르다고 그러더라고요 유흥업소1,2종 이런곳은 카드수수료가 굉장히 세고
음식점도 상대적으로 카드수수료가 세다고 그러던데 병의원약국 같은 곳은 약한편이고요
12/08/09 19:11
사장 말이 맞을겁니다. 카드 긁으면 부가세 300원이 자동신고되니 수수료랑 합치면 500원쯤 되니까요. 많은 자영업자분들이 부가세도 포함해서 말씀하십니다. [m]
12/08/10 18:06
카드 수수료만 500원이 아니라, 나중에 세금까지 계산해서 카드수수료, 부가세, 소득세, 기타 비용까지 하면 대략 500원선인 것은 맞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