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08/09 16:17:36
Name Euphoria
Subject 뻘질문) 이 중국집 사장 말이 사실일까요?
일단 이 글은 누구의 잘잘못을 가리기위한 글이 아님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그냥 있던일에 조금 의아함이 생겨 한번 질게에 글을 올려봅니다.

점심이 되서 배가 너무 고픈 나머지 집근처 배달안하는 중국집에 갔습니다.

지갑에는 카드와 현금 12000원이 있었고 이곳은 집근처 임에도 불구하고 딱 2번밖에 안갔습니다.

처음갔을때 수요일 특선메뉴인 삼선 볶음밥을 의외로 맛있게먹어서 인상에 깊었던지라 그후 한달정도후 와서 이번엔 빨간짜장면이 있길래

한번 시켜봤는데 정말 최악의 맛이라서 아 두번다시 안와야지 하고 마음을 먹고있었지만

짜장면이 2000원이길래 배고픈데 그냥 싸게 먹자 싶어서 들어갔습니다.

대식가는 아니지만 너무 배가고파서 짜장면 곱배기 (3000원)짜리를 시켰고

맛있게 먹었습니다라고 말이 안나올정도로 그저 그런 짜장면 맛이었습니다.

여기 사장이 나이가 20대라 의외로 인테리어나 메뉴판같은걸 좀 세련되게 해서 장사좀 될라 생각했는데... 평소에 지나갈때마다 보면

그닥 장사가 잘안되는거 같더군요.(사실 대놓고 여기 맛이 별로에요라고 말해주고싶지만 굳이 말할필요가 없길래 가만히 있었습니다)

이글의 요지가 뭐냐하면 지금부터입니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만원짜리를 깨기 싫을때 있어서 지갑엔 12000원 짜장면값을 지불하면 9000원이 남아서 에이 카드로 긁어야지

라는 생각에 카드를 내밀었는데...

단품의 경우 카드는 안된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전 거짓말을 하고 지갑에 2000원을 보여주며 지금 2000원 밖에 없는데요? 라고 되물었는데

2000원만 받을테니 나중에 오셔서 더 달라고 쿨하게 말하시더군요. 여기에 덧붙여 """3000원짜리 카드로 긁으면 수수료 500원 나와요""""

라고 말하길래 에이 카드수수료 3~5%아니냐고 웃으며 다시 물어보자 정색을하며 진짜라고 말하더군요.

저야 뭐 손해볼게 없어서 2000원 내고 나중에 수요일날 시간날때 삼선볶음밥 먹으로 올겸 하고 돈을 지불하고 나왔습니다.

친구중에 약간 중소정도의 마트(편의점이 아닌)를 운영하는 친구가 있는데 그 친구가 담배한갑사고 카드로 긁는 사람은 손님이지만 정말 계산하기 싫다고 말을 하더군요.

피지알분들은 이 사장말이 사실이라고 보이십니까? 그게 아니라면 일반 중국집에서 카드수수료는 얼마나 나오는지 알고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8/09 16:24
수정 아이콘
수수료가 500원은 아닐겁니다만..

음식점에서 3000원어치 카드 긁으면 뒤통수 근질근질하죠 저같은 경우엔 5000원이상만 카드 사용합니다.
정지연
12/08/09 16:25
수정 아이콘
수수료 500원은 말도 안되는 얘기죠.. 말씀하신대로 많아봐야 3%입니다.. 3천원에 500원이면 16.7%인데 이정도면 카드수수료가 아니라 사채입니다...
싸게 파니까 순수익이 적고 여기에 수수료까지 떼면 남는게 없으니까 거부하는거겠죠..
ace_creat
12/08/09 16:27
수정 아이콘
수수료의 정도는 모르겠으나, 그닥 좋아할 만한 상황은 아니지요.
한선생
12/08/09 16:30
수정 아이콘
으악 그냥 카드수수료 얼마냐는 질문에 서론이 뭐이렇게!

간단히 답변드리자면 카드수수료라는건 상점의 총카드매출액 * 수수료율 방식이기 때문에 3000원짜리 짜장면을 10번 결재하던 30,000원짜리 팔보채를 한번 결재하던 중간상점에서 지불하는 돈은 동일하다 이겁니다. 물론 카드회사는 건당 들어가는 고정처리비용이 별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3000원 짜장면 * 10그릇이 손해라고 봐야죠.

수수료율은 신용카드 기준 2% 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이부분에 대한 더 자세한 답변은 아랫분이...
moisture
12/08/09 16:30
수정 아이콘
연매출 2억 이하 가맹점이면 수수료율도 신용카드 1.8% 체크카드 1.0% 선입니다.
뭐 현금을 선호하는 거야 매출기록이 남는 문제때문에 그러겠죠. 영세하니까 더 그럴지도요.
12/08/09 16:31
수정 아이콘
젊은 사람이 장사 잘하네요.
마카오톡
12/08/09 16:32
수정 아이콘
카드사 수수료 제외하고도 결제시마다 일정금액의 단말기통신료(?)가 붙습니다
괜히 담배한갑파는데 카드내밀면 조그만 슈퍼같은덴 주인들 인상이 구겨지는게 아니죠
약간의 과장은 있겠습니다만 괜히 그런소리하는게 아니죠

그리고 카드결제시에는 나중에 세금문제도 있어서 그러는겁니다
요부분까지 소비자가 신경 쓸 필요는 없구요

소액 카드결제 부분은 현재 여러모로 문제가 많죠
1000원이상 카드 거부시 벌금에서 5000원 미만은 카드결제거부로 바뀐다고 본적있는것 같은데 어떻게 됐는지 모르겠네요
정 주지 마!
12/08/09 16:37
수정 아이콘
사장이 뻥카를 치긴 했다. 카드 안받은 건 나쁜 짓. 그래도 이해는 해 주자.. 이 정도 입니다.

저 분은 아마 카드 계산으로 장부가 다 잡히고 거기서 부가세등등 까지 알차게 계산을 하신 금액을 말씀하신 것 같군요.
말하자면 매출 누락을 염두에 둔 현금장사를 하고 싶은 것 같습니다. 뭐 말씀하신 걸 대충 보면 저 분 한달에 이백미만으로 가져갈텐데 거기에 카드수수료 내고, 매출 잡혀서 세금까지 잡히는 건 싫을 것 같긴합니다. 그래도 카드 안받고 장사하는 건 기분 많이 상하지요.

장사를 해본 입장에서 저는 천원 이천원 카드 다 받았습니다만, 자주 오는 분이 저 금액으로 카드 결재 하면 솔직히 맘으로는 서운합니다.
저 금액은 두배 뻥튀기 장사해도 오백원 천원 남는건데 거기에 카드수수료에...
wish burn
12/08/09 16:41
수정 아이콘
제 자신이 자영업자라서 그런지 1만원이하는 현금으로 지불합니다.(그대신 현금영수증은 끊습니다)
카드수수료는 판매업자의 이윤에 대해 붙는게 아니라 판매가 전체에 대해 붙기때문에
판매업자 입장에선 부담이 크죠..

제가 저 사장이라면.. 카드로 2천원긁는 손님 짜증은 날겁니다.
다레니안
12/08/09 16:46
수정 아이콘
저도 1만원 이하는 현금결제하고 현금영수증 끊습니다.
간혹 현금영수증에도 묘하게 짜증내시는 분들도 많더군요. -_-a...
몽유도원
12/08/09 16:55
수정 아이콘
잘아는건 아니고 예전에 어디서 본건데 카드수수료외에 단말기 사용룐가? 여튼 그게 카드 한번긁을때마다 몇백원씩 붙는다고 들었습니다. 만약 그게 맞다면 500원얘기가 맞을겁니다. 특히 대형프렌차이즈도 아니고 개인업자면 더욱 그렇겠죠
12/08/09 17:00
수정 아이콘
수수료가 진짜 소비자가 짜증나게 하는존재같아요. 뭐 일일히 현금들고다니게 조장하고, 현금뽑을라치면 주요거래 은행찾아야되고 없으면 결국 피해는 소비자가 보고 (본인이 수수료부담) 결제 작은금액으로 하면 눈치보이고.
12/08/09 17:15
수정 아이콘
대형마트같은 곳은 그냥 이용하지만, 영세사업장(체인점 포함)에서는 1만원 이하일 땐 웬만하면 현금 씁니다.. 안그러면 기분이 좀 그렇더라구요
라리사리켈메v
12/08/09 17:17
수정 아이콘
카드수수료 + 단말기 통화료? + 세금 잡혀서 과세 구간 증가할 수 있음..
12/08/09 17:19
수정 아이콘
담배는 그래서 편의점에서-
12/08/09 17:25
수정 아이콘
지나가다가 많은 것을 배우고 갑니다...
된장찌개
12/08/09 17:29
수정 아이콘
어쩐지 약국에서 바이오톤 사는데, 약사가 카드는 16만 5천원. 현금은 15만원.
이라고 하길래 응? 뭐지? 했는데 뭔가 더 있었군요.
12/08/09 17:35
수정 아이콘
박카스 하나팔고 마진 오십원 남는데 카드 내밀면 오히려 마이너스 나옵니다....

카드는 오천원미만이면 그냥 현금으로 줍니다. 저희집도 장사를해봐서 카드수수료 무시 못합니다.
12/08/09 17:36
수정 아이콘
카드 수수료 + 단말기 통화료 + 세금으로 인한 과세
3개를 다 합쳐서 500원 정도라고 계산한거 같습니다.

약간 뻥카가 있을순 있어도.. 수수료 자체가 비싸긴 해요...
Euphoria
12/08/09 17:53
수정 아이콘
뻘질문에 많은답변 감사합니다 (_ _);;
위에썻듯이 사실 이집 면요리류가 너무 맛이 없어서 수요일특선볶음밥 할때 말곤 가기가 꺼려지는집인데 담주 수요일날 들려서 볶음밥 먹고 잔금처리하고 와야겠네요!
도라귀염
12/08/09 18:35
수정 아이콘
제가 들은바로는 업소마다 카드수수료가 다르다고 그러더라고요 유흥업소1,2종 이런곳은 카드수수료가 굉장히 세고
음식점도 상대적으로 카드수수료가 세다고 그러던데 병의원약국 같은 곳은 약한편이고요
고래밥
12/08/09 19:11
수정 아이콘
사장 말이 맞을겁니다. 카드 긁으면 부가세 300원이 자동신고되니 수수료랑 합치면 500원쯤 되니까요. 많은 자영업자분들이 부가세도 포함해서 말씀하십니다. [m]
하우두유두
12/08/09 21:44
수정 아이콘
카드수수료500원 X
카드수수료+부가세+단말기통화료 500원 O 이거에 가까울겁니다.
12/08/10 18:06
수정 아이콘
카드 수수료만 500원이 아니라, 나중에 세금까지 계산해서 카드수수료, 부가세, 소득세, 기타 비용까지 하면 대략 500원선인 것은 맞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2823 뻘질문) 이 중국집 사장 말이 사실일까요? [24] Euphoria4282 12/08/09 4282
142822 [lol]원딜선템으로 bf vs 도란 [26] 아브라카타브라2315 12/08/09 2315
142821 스마트폰 가장 싸게 사는 방법은? [3] 앉은뱅이 늑대1498 12/08/09 1498
142820 유게에 동영상 올리는 방법 부탁드립니다 [1] 말룡1591 12/08/09 1591
142819 야구에서 no strike, 3 balls 일 때 왜 타자는 기다릴까요? [16] 바카스2372 12/08/09 2372
142818 안산시에서 파주시 가는 빠른방법? [4] 아스날4478 12/08/09 4478
142817 코플스톤의 그리스로마철학사 구할 수 있는 헌책방, 헌책방 거리 몽키.D.루피1885 12/08/09 1885
142816 올림픽 종목중에 남녀 구분이 없는 종목이 있나요? [7] 학부대수학의반2150 12/08/09 2150
142815 지금 갤노트나 옵티머스 뷰 같은폰 사는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8] 아트라스1552 12/08/09 1552
142814 브금질문이요~ 카드값줘체리1302 12/08/09 1302
142813 아주아주 기본적인 물리 문제입니다... [2] 아나키1338 12/08/09 1338
142811 티스토리 초대장 부탁드려요 [3] 율곡이이1283 12/08/09 1283
142810 조카 컴퓨터 견적입니다. 봐주세요. [2] 가만히 손을 잡으1228 12/08/09 1228
142809 압축, 컴퓨터 관리, 동영상 재생, 음악 재생 프로그램 추천 부탁드려요. [1] Propose1574 12/08/09 1574
142808 노트북 or 태블릿 or 슬레이트 [5] 어떤날1396 12/08/09 1396
142807 컴퓨터 헤드셋 질문입니다 [2] 야누스1280 12/08/09 1280
142805 컴퓨터의자 사려는데 10만원 이하는 별로일까요?? [6] 히페리온4465 12/08/09 4465
142804 너무 외로워서 사람을 좀 더 많이 만나고 싶은데 좋은 방법 없을까요. [12] Afterglow2264 12/08/09 2264
142803 목동야구장 원정석(1루) 질문입니다. [2] 화력발전소2312 12/08/09 2312
142802 [LOL]형이 동생 아이디로 겜해서 랭점 떨궈놨는데 동생이 형을 발로 찼다면? [50] legend2178 12/08/09 2178
142801 축구관련 웹사이트, 사람들이 많이 찾는 커뮤니티 추천 부탁드립니다! [3] 道可道 非常道1310 12/08/09 1310
142800 lol 블라디미르 질문입니다 [10] 열정적으로2264 12/08/09 2264
142799 크롬 시작페이지 속도가 느립니다. 고양이맛다시다1665 12/08/09 166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