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6/28 03:08
운동시 통증이 없다가 쉬면 아픈건
아직 운동부위 근육,인대,관절이 충분히 단련되지 않아서 일경우가 큽니다. 저역시 운동매니아인데 며칠만 안하다 하면 특정부위에 통증이 옵니다. 그러다 다시 충분히 강해지면 사라지는데 엉덩이 위쪽이니 유연성도 같이 있을겁니다. 스쿼드가 왜 최고의 운동량 근육활동을 가진 운동이냐면 이게 근육만 피스톤을 하는게 아니라 발목-무릅-골반-허리-등-어깨 마지막 팔목까지 전부위의 관절이 최고각도의 범위로 움직이는 운동이기때문입니다. 말그대로 각부위의 관절이 유연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하체가 아무리 튼튼해도 오십견을 가진 사람은 스쿼드를 못하는게 어깨와 팔목의 운동반경이 따라가지 못하는거고 허리의 유연성이 낮은 사람은 아예 부상의 위험성이 큽니다. 무릅자체가 아닌 무릅 내외측의 장딴지 근육이 이어지는 부분에 하다못해 책상,의자에 부딪쳐 멍이 생기기만 해도 스쿼드하기가 힘듭니다. 글쓴분 상태로 보면 유연성이 떨어지는게 한요인이 아닌가 하네요 근력은 받쳐주어도 유연성이 떨어지는 상태에서 중량늘리면 엉덩이쪽이 아픈경우가 있으니까요
12/06/28 10:58
경험상은 레그레이즈 때문인거 같은데요 누워서 레그레이즈를 하면 아마 땅과 기립근 사이에 공간이 들리게 될겁니다.(다리를 내릴때 그렇게되곤 하죠.) 그렇게되면 운동후에 통증이 생기죠. 그래서 저는 레그레이즈보다는 리버스크런치로 느낌만 주는 식으로 운동하고있습니다.
레그레이즈할때는 등이 떨어지지 않도록 신경쓰면서 하구요. 중량이 급하게늘면 정체기도 급하게 옵니다. 천천히 올리는게 좋습니다.
12/06/28 11:18
중량이 늘면서 척추기립근에 무리가 간거 같네요
특별히 걱정할 상태는 아닌 것으로 생각이 듭니다. 운동 전후에 허리근육을 충분히 풀어주세요 그리고 레그레이즈시 다리를 편 상태로 올리는 각도를 높이면 척추에 안좋은 영향을 미칩니다. 무릎을 약간 굽히시고 척추가 지면과 많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