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5/11/07 00:08:05
Name petrus
Link #1 https://www.sportsseoul.com/news/read/907268
Subject [스포츠] 이동국은 히딩크 감독 당시 운이 지지리도 없던 케이스 같네요.
1999년부터 2000년 사이에 4개 대회를 뛰었습니다.

1999 U20 월드컵 - 2000 북중미 골드컵(1월) - 2000 시드니 올림픽(9월) - 2000 아시안컵(10월)

요즘 같으면 성인무대 데뷔를 하면 U20 대회는 차출을 안 하는 게 관례인데 그런 시절도 아니었고요.

아시안컵 때는 무릎에 테이핑까지 하고 뛰면서 득점왕을 차지하게 됩니다.

문제는 허정무 감독이 사임하고 히딩크 감독이 오면서 다시 처음부터 무한경쟁을 해야 하는 상황이 된 거죠.

몸은 이미 아작이 나 있었는데... 그래서 히딩크 감독 초창기에 전년도 아시안컵 득점왕임에도 컨페더레이션스컵 같은

메이저급 대회에 못 나왔죠. 엔트리 떨어지고 월드컵 기간 동안 술로 세월을 보냈다는 게 지금 보니 이해가 가더군요.

처음에는 이동국이 활동량이 적어서라고만 생각했는데 저 대회 일정을 보니 활동량이 적었던 게 이해가 갈 정도더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검은 바다
25/11/07 00:13
수정 아이콘
저도 어릴 때 이동국 잘하는데 왜 국대 안 뽑히는지 의아 했었네요.
55만루홈런
25/11/07 00:40
수정 아이콘
저땐 잘하면 어려도 너무 갈아버렸죠
Jedi Woon
+ 25/11/07 00:48
수정 아이콘
제 군 입대 동기인 이동국 선수 입니다 크크
입소대에서 보면서 참 안타까운 느낌이 들었죠.
그리고 이 글을 보니 고종수가 생각나네요.
매번같은
+ 25/11/07 12:19
수정 아이콘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3/11/19/2003111970199.html
그 유명한 입대짤이 나온 현장에 계셨겠군요 크크.
전기쥐
+ 25/11/07 01:00
수정 아이콘
어렸을때 잘한다고 몸을 너무 갈아버려서..

그런데도 롱런한게 참 대단합니다.
+ 25/11/07 01:05
수정 아이콘
1998년에도 프랑스 월드컵 -> U-19 월드컵 -> 방콕 아시안게임을 소화했죠. 그것도 아마추어가 아니라 프로로 리그 뛰면서...
Ashen One
+ 25/11/07 02:49
수정 아이콘
이동국은 20대엔 기대에 비해 못한다는 생각만 들다가, 30대가 되면서 대기만성한 느낌이...
윤니에스타
+ 25/11/07 10:26
수정 아이콘
아실 분들은 알겠지만, 이동국의 20대는 미들스브러 흑역사도 있었고 커리어가 그닥이었죠. 30대에 최강희 감독을 만나고 그때부터 날라다녔습니다. 아래 댓글도 달았지만, 분명 이동국의 폼이 절정일 때가 많았는데 그때 월드컵을 뛰지 못한 게 너무 아쉽습니다.
+ 25/11/07 03:02
수정 아이콘
커리어초반 혹사가 유망주에게 안좋게작용한 케이스인데
야말도 풀경기보면 전반에 번뜩이다가 후반에 아예 안보이는 경우도 종종 있어서 이선수도 걱정되는 부분입니다 유로때는 안그랬는데
사이버포뮬러
+ 25/11/07 04:28
수정 아이콘
잘 이겨내고 오래 활동해서 다행입니다
시나브로
+ 25/11/07 05:08
수정 아이콘
부활과 롱런 사례 중 대표적인 한국 축구 선수.
2009년 K리그 전북 현대 우승이 꽤나 센세이션 했는데 저 때까지도 최강희는 아예 모르다시피 했고 이동국 때문에 전북 현대에 관심 갔었죠.
윤니에스타
+ 25/11/07 10:27
수정 아이콘
전북 왕조의 주역이죠. 진짜 그때 이동국은 K리그의 레반도프스키 같았다는..
Chasingthegoals
+ 25/11/07 10:59
수정 아이콘
그 때 전북이 우승했던 당시 성남 감독인 신태용이 무전기 매직이 더 기억에 남았습니다 크크크
광개토태왕
+ 25/11/07 05:43
수정 아이콘
아... 전 자만해서 2002년 월드컵때 국대에 안뽑힌거라고 생각했었는데 나름 이유가 있었군요...
태바리
+ 25/11/07 08:34
수정 아이콘
그러면서도 국대 꼬박꼬박 소집시켰죠.
그당시 소속팀 감독이었던 최순호가 제발 그만 좀 불러라 3개월만 시간 주면 몸 제대로 만들어 놓겠다고 인터뷰 까지 했는데도 불러내더니 결과는 최종엔트리 탈락.
엘브로
+ 25/11/07 08:38
수정 아이콘
06년 월드컵에는 폼이 굉장히 좋아 해줄거 같았는데, 부상으로 본선못가서 아쉬웠었죠
10년 월드컵에는 너무 아쉬웠던 물회오리슛....
맥심골드
+ 25/11/07 09:07
수정 아이콘
혹사 수준의 경기를 소화한 것도 맞습니다. 다만 그 와중에 클럽에서 엄청 논다는 얘기가 많이 퍼져있어서 대중들에게 몸 관리 못한다는 선입견이 있었죠.
윤니에스타
+ 25/11/07 10:21
수정 아이콘
히딩크가 그래도 평가전 등등 꽤 많은 경기에 이동국을 출전시켰는데 말이죠. 2002년 초 북중미 골드컵 이후부터 주전 윤곽이 잡힌 걸로 기억하는데 그때부터 이동국의 이름은 없었던 것 같네요. 그래도 엔트리에는 들 줄 알았는데.. 히딩크의 선택은 황선홍 주전에 안정환 서브였네요. 당시 둘이 컨디션이 좋아서 이동국 자리가 없긴 했습니다. 4년 뒤에는 부상으로 낙마에 또 4년 뒤에는 우루과이전은 물회오리슛으로 욕을 바가지로... 이게 다가 아니죠. 또 4년 뒤엔 K리그를 씹어먹고 있었는데 하필이면 감독이 홍명보... 또 4년 뒤엔 감독이 이동국과 불화가 있었던 신태용... 진짜 불운의 아이콘입니다.
나라망친내란당
+ 25/11/07 10:27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 와중에 늦은 나이에 불려와서 신태용 감독 시절 아시아 예선 중심 잡아 줬던 건 참 고마운 일이죠. 적어도 2014 브라질 월드컵 아시아 예선&2018 러시아 월드컵 예선은 이동국이 쏠쏠한 역할을 해줬다고 봅니다. 하필 최전성기였던 2006 독일 월드컵이 십자인대 부상으로 출전 못했던 것이 너무 안타까웠죠. 사실 2002년은 혹사 및 본인이 여러가지 멘탈이 흔들릴 일이 너무 많았다고 보고요. 그래도 리그에서는 독보적 레전드여서 그정도만 해도 훌륭한 선수였음은 부정하기 어렵긴 해요.
윤니에스타
+ 25/11/07 10:32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최강희가 감독 되고서 이동국을 썼었죠. 부진한 경기도 있었지만 중요한 경기에서 한방씩 터뜨려 줬고요. 저는 06년 부상은 어쩔수 없다고 봅니다. 그냥 누굴 탓할 게 없잖아요 부상은? 그런데 14월드컵과 18월드컵때는 전북에서 폼이 정말 좋았습니다. 당시 국대 주전 스트라이커들이 다 별로였는데(14 박주영;; 18 김신욱;;) 이동국을 아예 안 데려간 건 명백한 실책이라 생각하네요.
과수원
+ 25/11/07 12:24
수정 아이콘
14년은 실책이 아니죠 선택일뿐...흐흐
나라망친내란당
+ 25/11/07 10:22
수정 아이콘
이동국이 타고난 선수 였기 때문에 20대에 저리 혹사 당하고도 결국 살아남아 40대 까지 선수 생활을 할 수 있었다고 봅니다.
하필 떠오르던 시기가 한국 축구의 패러다임이 바뀌는 순간이어서 그게 너무나 본인에게는 아쉬웠겠죠.

정말 가진 재능에 비하면 그 꽃을 다 못 피운 선수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그런 아픔이 있었기 때문에 리그 레전드가 될 수 있었다고 보고요.
+ 25/11/07 10:24
수정 아이콘
막판에 몸을 회복을 했어요. 이동국의 마지막 평가전도 좋았어요. 그런데 그전에 결정했어요. 히딩크 혼자결정이 아니라 스탭들 다 모여 결정했어요. 그때 당시 스탭 전부다 운동량이야기 했어요.
나라망친내란당
+ 25/11/07 10:3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운동량은 일종의 핑계라고 봅니다. 실제로 황선홍도 많이 뛰는 스타일은 아니었죠. 히딩크 감독이 포지션 별로 비슷한 스타일을 원하지 않았고, 이동국-김도훈은 황선홍과의 경쟁에서 밀린 게 컸다고 봅니다. 당시 황선홍은 우리나라 스트라이커 중에 컴플리트 포워드에 가까운 스타일이어서 결정력, 포스트 플레이, 연계 플레이, 공간 창출 등 장점이 가장 많았어요. 그러니 선발로 쓰인 겁니다. 이동국은 당시 포스트 플레이와 공간 창출 면에서 약했고, 김도훈은 결정력은 뛰어났으나 골에어리어를 벗어났을 때 영향력이 약했죠. 최용수는 독수리슛이 임팩트가 커서 그랬을 뿐, 포스트 플레이 만큼은 확실했고, 공간 창출도 준수했습니다. 안정환은 전형적인 처진 스트라이커여서 유형상 겹치는 선수가 없어서 뽑혔죠.
+ 25/11/07 10:33
수정 아이콘
프로 세계에서 운으로 모든걸 설명 하려는건 어리석은 생각이라고 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기타] 스연게 재오픈 및 운영방침 공지 [38] jjohny=쿠마 20/05/10 235796 0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259174 0
공지 댓글잠금 [기타] 연예인 성범죄의 피해자 등에 대해 언급/암시/추정/질문하는 등의 행위를 금지합니다. [1] jjohny=쿠마 19/03/15 399959 0
공지 [기타] 몇몇 표현들에 대하여 가이드라인을 재공지합니다. [24] 17/10/25 471370 0
90582 [스포츠] [KBO] 크보 즉전감 포수 리스트 [27] 손금불산입2312 25/11/07 2312 0
90581 [스포츠] [KBO] 팀별 WAR 100위 내 선수 보유 순위 [8] 손금불산입1572 25/11/07 1572 0
90580 [스포츠] [해축] 위기의... 이재성이... 진짜 구함.mp4 [11] 손금불산입1740 25/11/07 1740 0
90578 [스포츠] 이동국은 히딩크 감독 당시 운이 지지리도 없던 케이스 같네요. [25] petrus6276 25/11/07 6276 0
90576 [스포츠] 김혜성 입국 인터뷰 중 김선생 보고 폭발 [226] 핑크솔져12495 25/11/06 12495 0
90575 [스포츠] 호날두를 긁히게 만든 메시의 인터뷰.txt [29] insane6414 25/11/06 6414 0
90574 [스포츠] [KBO] 2025 트레이드 한시즌 경과 현황 [17] 손금불산입6708 25/11/06 6708 0
90573 [스포츠] [KBO] 노시환 "폰세, 와이스 둘 다 떠날지도" [75] 손금불산입8463 25/11/06 8463 0
90572 [스포츠] [해축] 유망주가 경기를 터뜨림.mp4 [5] 손금불산입4063 25/11/06 4063 0
90571 [스포츠] [해축] 최근 바르셀로나의 불안 요소.mp4 [6] 손금불산입2927 25/11/06 2927 0
90570 [스포츠] [해축] 펩시티 챔스 홈 23경기 연속 무패.mp4 [4] 손금불산입2464 25/11/06 2464 0
90568 [스포츠] 'GOAT 호소인' 호날두 "메시가 나보다 낫다고? 전혀…이제는 겸손하지 않겠다" [111] 전기쥐8248 25/11/05 8248 0
90567 [스포츠] 프로야구단이 축구처럼 유스클럽식으로 간다면... [27] leeman7189 25/11/05 7189 0
90566 [스포츠] '울산프로야구단' 내년부터 퓨처스리그 참가.. 울산시·KBO 협약 [63] 及時雨6961 25/11/05 6961 0
90565 [스포츠] [KBO] FA 자격 선수 명단이 나왔습니다. [49] Story6668 25/11/05 6668 0
90564 [스포츠] 아이들 야구시키는데 드는 비용.jpg [47] 핑크솔져9151 25/11/05 9151 0
90563 [스포츠] 피츠버그 배지환 웨이버 공시 [16] MeMoRieS5286 25/11/05 5286 0
90562 [스포츠] [KBO] 3년 연속 규정이닝, 10승 투수 [25] 손금불산입3565 25/11/05 3565 0
90561 [스포츠] [해축] 2025 골든 보이 수상자는 데지레 두에 [6] 손금불산입1644 25/11/05 164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