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10/08 14:27
물론 이런 인기요소는 좀 꿈보다해몽스러운 부분이 있긴한데 이게 가챠나 도박에서 매번 패를 까볼때의 그 느낌이 있긴 하단 말이죠.
또 하나 재미요소는 결과론으로 훈수두기가 쉽다는거. 이게 야구팬들 미치게 하고 좀 진상으로 만드는 부분이기도 한데, 분명히 인기요소기도 해요. 스포츠에서 피지컬적인 부분을 훈수두기는 어렵지만 뇌지컬파트는 훈수두기가 쉬운데 야구는 언제나 뇌지컬 영역이 있어서.
25/10/08 15:19
MLB도 맨프레드 커미셔너가 .. 야구 시간을 단축시켰더니. 시청률도 크게 오르고
팬들의 연령대도 많이 내려가서 현재 30대로 내려왔다더군요 아주 틀린말은 아닌것 같아요
25/10/08 18:35
(수정됨) 응원하는 팀 없이 경기 자체만 보면 골프처럼 뭔가 지루하게 느껴질 수도 있죠. 축구 농구처럼 계속 액션이 있는 것도 아니고
다만 골프가 스윙 외에도 많은 즐길거리가 있듯 야구도 순간마다 쪼이는 맛과 즐길거리가 있어서 그 액션의 부족함 (야구는 액션의 부족함이라기보단, 밀도와 연속성의 경우겠지만) 을 없애주죠. 그리고 어느 순간의 액션은 축구의 골 만큼이나 터지는 맛도 있고.. 별개로 한국프로야구는 일종의 종합스포츠엔터여가유흥산업이라 봅니다. 실제로 경기보면 경기력부터 관람문화까지 그런면이 다분하죠
25/10/08 15:46
늙은이 스포츠라던 소리 듣던 야구가 한국 일본에서 젊은이 유입 생기고, 올해는 미국에서도 시청자였나 관중이였나 여튼 팬들 평균연령 낮아졌다는 말 듣고나니 좀 설득력이 있는거 같기도…
25/10/08 16:42
야구만이라면 그렇게 생각할텐데 지금 축구(K리그)도 (야구보단 많이 부족하지만) 유의미하게 관중이 증가했거든요.
그저 코로나 버블 혹은 기타 다른 이유로 우리나라 문화생활이 바뀐게 제일 크다고 봐요
25/10/08 17:26
저도 야구 지루한줄 알았는데 직관 가보니 티비로 볼때보다 더 지루할 새가 없더군요. 이닝 끝나자마자 화장실 후다닥 갔다왔는데도 이미 던지고 있더라는
25/10/08 17:52
다른 종목과 달리 최하위팀이라도 1위팀을 스윕할 수 있다는 것도 크죠
압도적으로 치고 나가도 1위팀 승률은 6할로 수렴하고 하위권 팀이 답도없이 연패해도 4할대의 승률이 보장
25/10/08 18:48
디아블로2 디렉터가 그러더군요. 몹 한번 잡는 게 슬롯머신 레버 당기는 거라고.과금은 아니지만 매 사냥이 가챠인 거죠.
야구도 그공 하나당 슬롯머신 레버 한번같은 거죠
25/10/08 19:16
저도 이 댓글 적으려고 들어왔습니다 크크 이른 시기에 가챠 게임을 도입한게 디아2라고. 실제로 요즘 디아2유튜버 방송보면 아이템 확인할 때 긴장감 쪼으면서 확인하더라구요.
25/10/08 19:27
전 하이레버리지 상황과 로우레버리지 상황이 나뉘어져 있는게 좋다고 느껴집니다
대충 틀어놓고 라디오처럼 듣다가 주자좀 쌓이면 살짝 봐주고...
25/10/08 19:47
숏폼 컨텐츠도 본인 입맛에 맞는 영상이 뜰 때 까지 돌리는 가챠 같은거라는 글을 본 적이 있는데
그렇게 생각하니 확실히 비슷한 느낌이긴 하네요
25/10/08 20:05
투수가 공 던진다 - 타자가 치려고 시도 - 수비가 잡으려고 시도하는 모든 순간이 단 한명에게 스포트라이트를 가게 만들죠. 덕분에 하나하나 전부 수치화해서 기록 계산하기 좋구요
+ 25/10/09 07:35
저 논리 대로라면... 숏폼이 유행하는 이유는 야구랑 닮아서다! 라고도 할수 있습니다
야구 인기가 바닥을 찍었을때도 야구는 턴제시뮬레이션이고 숏폼이었어요 인문학적 해석(?)을 사람들이 좋아하는 지점이 있는데 그런거중 80프로는 저런스타일
+ 25/10/09 08:23
저도 동감합니다
결론에 이유를 갖다붙인 느낌이랄까.... 야구는 수십년동안 변한게 없는데.... 다른분 말처럼 인기가 인기를 부르는게 더 맞는 이유같은데...크크
+ 25/10/09 07:45
본문에 공감합니다. 본문을 보면서 든 생각인데, 본문은 숏폼시대에 야구인기가 하락하지 않은 요인이죠. 상승요인은 아닙니다.
제가 생각하는 상승요인은 일단 실시간 중계를 휴대기기로 볼 수 있는 인프라고요. 한국야구의 인기는 이 인프라가 확충되면서 쭉 상승해 왔죠. 다른 스포츠도 실시간 중계를 하는데, 다른 스포츠와 달리 '숏폼시대'에 어울리니까 다른 스포츠의 단점은 없는 상태에서 스포츠중계의 장점을 잘 흡수한 게 아닐까 싶습니다. 그리고 스포츠 중계가 흥하는 이유 중에 휴대기기만이 아니고, 진영을 나눠 싸운다는 점도 있는 것 같고요. 과거에 비해서 점점 더 소속감을 강렬하게 원하는 것 같아요. 게다가 스포츠는 옳고그름은 없고 니편내편만 있으니까 더더욱 몰입할 수 있고요. 옳고그름이 있어도 니편내편부터 따지는 사람이 많은데, 옳고그름도 없으면 더 매력적이지 않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