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5/08/11 21:09:47
Name 포스트시즌
File #1 Screenshot_20250811_210144_Samsung_Internet.jpg (408.7 KB), Download : 1229
File #2 Screenshot_20250811_210149_Samsung_Internet.jpg (299.9 KB), Download : 1230
Link #1 이대호 유튜브
Subject [스포츠] [KBO] 역대 최고의 데뷔시즌 임팩트




92 염종석.

롯데의 마지막 신인왕이자 마지막 우승의 에이스.

데뷔 후 9승까지 전부 완투승에 고졸신인으로 투수골글수상.

당시 평자책 1위를 독점하던 선동열을 제치고 평자책 1위까지 차지.

해태팬으로서 92 플레이오프는 롯데가 아닌 염종석한테 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정도.
혼자서 2승에 그 중 1승은 완봉승.

데뷔시즌 만큼은 그깟 류현진이라고 말할 수 있는 인물이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PolarBear
25/08/11 21:10
수정 아이콘
롯데의 에이스갈기... 모두다 윤학길이 아니었다고..
市民 OUTIS
25/08/11 21:21
수정 아이콘
정규시즌 한정이면 류현진 --> 이대호 선수와 MVP 경쟁이 이슈가 커서
포스트시즌 포함이면 염종석이죠. 한국시리즈에선 박동희 선수가 주역이었지만 플레이오프에서 염종석은 대단했죠. 바깥쪽 슬라이더 제구가(좌우로 긴 스트라잌존 때문이기도 했지만) 엄청나서 그냥 못 치는 공이었죠.
LuckyVicky
25/08/11 21:45
수정 아이콘
염종석 WAR이 그 해 MVP였던 41홈런 장종훈보다, 트리플크라운 류현진보다 높습니다

정규시즌 한정해서 염종석이 더 위였다고 해도 이상하진 않을 정도..

41홈런 임팩트와 팀순위 땜시 요즘 기준으로 투표해도 장종훈이 탔겠지만, 세이버가 발달한 현재에 염종석이 그 해 최고 선수란 의견이 상당했을 겁니다
市民 OUTIS
25/08/11 22:11
수정 아이콘
성적이 아니라 임팩트를 얘기한 겁니다. 그래서 근거를 엠브피 이슈를 든 겁니다. 짧은 댓글이라...
서로 다른 시즌 평가할 때 워가 비교하기 편하기도 하고 시대가 다르고 경쟁상대도 달라 저도 존중을 많이 합니다. 그래서 염종석 선수가 더 낫다는 거 압니다.
그때 대학 신입생 시절이고 롯데를 응원하지 않고 고졸과 대졸 신입에 대해 크게 신경 쓰지 않았던 걸로 기억해서 염종석 선수가 정규 시즌에 류만큼 임팩트가 있었는지 모랐기 때문에 전 류를 우위로 두었습니다.
포스트 시즌은 플레이오프 한정 염종석 선수보다 나은 선수가 있었나 싶을 정도로 압도적이라 기억합니다.
포스트시즌
25/08/11 21:50
수정 아이콘
정규시즌 한정이어도 염>류죠.

성적은 물론이거니와 인기도 염종석이 위죠,
市民 OUTIS
25/08/11 22:17
수정 아이콘
인기도 염이 우위였나요? 제가 롯데를 응원하지 않아서 잘 모르겠습니다. 인터넷이 없던 시절이고 매일 중계도 아니어서 서울에 있던 저로선 체감이 되지 않았습니다.
포스트시즌
25/08/11 22:23
수정 아이콘
92년이면 서태지와 아이들이 난 알아요 로 전국을 강타했을 때 그 서태지와 비교될 정도였으니...
市民 OUTIS
25/08/11 22:49
수정 아이콘
전 서태지를 싫어해서 그와 비교하면 와 닿지가 않아요(농담) 롯데를 응원 안 해서 모르겠네요.
인터넷이 없던 시절이라 타 팀 팬과 소통이 힘들지 않나 싶네요.
25/08/12 11:54
수정 아이콘
빙그레팬은 염종석의 임팩트가 잊혀지지 않아요 ㅜㅜ
92염종석 93선동열 임팩트가 06 류뚱과 비교하면 차원이 달랐죠
야구 인기도 틀리고 인지도도 틀리고 06류뚱임팩트는 팬한테는 엄청났지만 일반인한테는 베이징까지 듣보투수(ㅜㅜ)급이여서
市民 OUTIS
25/08/12 13:59
수정 아이콘
오래된 빙그레-한화 팬 분은 이렇게 기억하시는군요.
저는 류뚱 이후로 한화 팬이 되서... 생각해 보니 그 당시가 프로야구 암흑기여서 일반인까지 큰 영향력은 없었겠네요.

반면, 부산, 경남에선 작성자이신 포스트시즌님 말처럼 서태지급 인기도 가능했을 것 같네요. SBS개국이 얼마 안 됐고 부산쪽 민방은 핵심 프로그램만 공급받고 나머지는 자체 제작을 했다고 들었는데, 그래서 지역 야구팀은 거의 전 경기를 중계했다는게 사실이라면 엄청 대단했을거라 봅니다.
시대와 지역이 다르니 각자 느끼는 게 차이가 나네요. 많이 배우네요.
열혈둥이
25/08/12 14:41
수정 아이콘
류의 위대함은 순간의 폭발력이 아니라
자타공인 최강의 투수인데도 10승도 못챙겨주는 암흑기의 한화, 두번의 어께수술에도 불구하고 끝나지 않고 계속되는 그의 강인함이죠.

순간 그보다 더 위대했으면 어떻습니까. 류현진은 근 20년을 위대했는데요.
25/08/11 22:20
수정 아이콘
WAR로 하면 신인 시즌 류현진 보다 위로 갈 선수들은 제법 있습니다. 염종석도 그렇고 타자로는 양준혁이나 박재홍도 있구요.
市民 OUTIS
25/08/11 22:41
수정 아이콘
WAR로 따진다면 그렇죠.
시대를 달리하는 평가요소로 절대평가처럼 느껴지는 지표지만 양과 박 시절엔 타율, 타점이 중요 지표였고 도루도 가치가 높았죠. 쓰잘데기없는 투수 승률도 3관왕 중 하나였던 시기였고...
지금 본문은 그 시절의 그 사람들이 평가한 걸 얘기하는거니까 war만 말할 순 없게죠.

염종석 선수는 지금 더 좋은 평가를 받죠. 그 시대의 평가도 중요하고 현재의 새로웅 평가도 중요하죠. 근데 염은 포스트 시즌 활약이 너무 좋아서 더 좋아질 재평가도 있나 싶긴 해요. 바같쪽 슬라이더를 본 사람은 이견이 있을 수가 없죠.
25/08/12 00:32
수정 아이콘
정규시즌 임팩트 한정이면 충분히 그럴수도 있습니다
당시 그냥 투수 신인왕이라고 하면 비슷한 급의 선수들이 있었거든요
순수 고졸이라는 보정이 들어가니 엄청난 전대미문급이 된겁니다만
그건 그해 정민철도 같이 등장해서 잘하니 임팩트가 좀 희석된 점이 있죠

근데 어차피 그때부터 이미 포스트시즌 절대강자였던 해태를 상대로 압도하면서
유일무이한 임팩트를 남긴것이 염종석의 데뷰시즌이라 거기서 굳이 정규시즌 한정할 필요가 있을까 싶습니다

재미있는 건 막상 한국시리즈에서는 그 정도는 아니었는데 삼성과 함께 정규시즌 강자임에도
포스트시즌 약자로 취급받던 빙그레를 상대로 비교적 쉽게 우승한 터라 그건 별 티가 나지 않았죠
25/08/11 21:23
수정 아이콘
박세웅이 3대 안경 에이스가 될 줄 알았는데..
25/08/11 21: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염종석 100승 찍네마네 하던 시절에 야구를 보기 시작해서 잘 몰랐는데, 정말 대단한 선수였군요. 꺼무 뒤져봤는데, 데뷔시즌 혹사 때문에 100승에서 딱 7승이 모자란 채 은퇴했다 하니 아쉽습니다.
25/08/11 21:38
수정 아이콘
이번에 저도 기록 찾아봤었는데 대단한 선수더라고요 크크크크
그리고 저거 바로 전 컨텐츠인 동원과기대도 재밌습니다
세인트
25/08/11 21:41
수정 아이콘
염종석의 슬라이더는 진짜였어요.
하 그때 선수님께서 제 머리 쓰다듬으시고 사인만 안 해주셨어도 지금까지 꼴빠로 고통받지는 않았을건데 ㅜㅜ 크크크크
요키와 파피용
25/08/11 21:42
수정 아이콘
당연히 안현민일 줄 알았는데 갈길이 머네요
포스트시즌
25/08/11 21:51
수정 아이콘
안현민도 대단하긴 한데 23살때 데뷔 시즌이고
염종석은 그냥 고등학교 갓 졸업하고 막 프로 입단해서 저런 성적을 낸거라 차이가 크죠.
김유라
25/08/11 22:00
수정 아이콘
저 때는 팀 베이스가 기본만 되면 진짜 투수 한 명 갈아서 우승하는게 가능했던 시기라서... 임팩트가 더욱 강했죠.
25/08/11 22:21
수정 아이콘
나이차이가 꽤 큽니다. (고교 졸업 후 바로 vs 군필신인)
15년째도피중
25/08/12 13:37
수정 아이콘
제가 kt팬이지만 두 시대를 다 체감해 본 입장에서 염종석입니다.
이건 당시 시대 때문에라도 어쩔 수 없습니다. 당시에 혹사 소리가 나오면 지금 기준으로 정말 심한 혹사. 물론 현민이가 남은 기간 어떻게 하느냐에 달린 거지만.
이정재
25/08/11 21:55
수정 아이콘
마 롯데우승 시켜봤나
나막신
25/08/11 22:11
수정 아이콘
오타니가 와도 롯데로 우승 못시킨다는점에서 무리뉴선생님의 명언이..
25/08/11 22:22
수정 아이콘
92년에 저 형님 덕분에 꼴데에 심장을 바친 이래로 30년 넘게 고통받는 중입니다.

설마 그 뒤로 우승을 한 번도 못 할거라고 생각하지도 않았지만, 꼴데까지 되버릴줄은 진짜 몰랐네요. 
Darwin4078
25/08/11 23:53
수정 아이콘
신조오 사사게요!! ㅠㅠ
-PgR-매니아
25/08/11 22:25
수정 아이콘
최동원 염종석 ㅠㅠ 안경낀 우완 에이스....세웅아....
환경미화
25/08/11 23:55
수정 아이콘
xxx : 한국시리즈에서 1선발이 2승만 해도 팀이 우승이 가능해?
Zakk WyldE
25/08/12 00:01
수정 아이콘
92년 아직도 기억이 생생합니다.
우리 삼촌 같이 생긴 사람이..

(절대로 작년에 고등학생이었다고 믿을 수 없었습니다.
실력으로도 얼굴로도…)

어떻게 저렇게 던지는거지??
육십칠키로
25/08/12 02:08
수정 아이콘
95년도 초3시절 야구잡지(였나 스티커북이었나)에 나와있는 염종석 집주소보고 친구들이랑 우르르 찾아가본게 인생 자랑이라면 자랑입니다 크크(염종석 선수는 없고 아버님만 계셨는데 '종석이 결혼식 갔다' 하시며 미리 사인되어 있는 종이 나눠주셨어요)
베이컨치즈버거
25/08/12 10:0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최근엔 야구 잘 안봐서 가물가물하긴 했는데, 염종석이 롯데 영구결번이 아니었네요? 왜 된 줄 알았지? 왜 아니지? 될법하지 않나? 란 생각이 막 떠오름.
25/08/12 11:21
수정 아이콘
내가 왜 저때 로떼 어린이 야구단을 해서 평생을 고통받나, 야구 알지도 못하는 완전 꼬맹이었는데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퀘이샤
25/08/12 12:36
수정 아이콘
92년 삼성상대 준플 1차전 염종석 선발이었는데 삼성이 2루를 못밟았습니다
市民 OUTIS
25/08/12 14:04
수정 아이콘
기억에만 의존해서 생각을 정리하고 싶어서... 안 찾아봤는데
염종석 선수는 준플, 플레이오프에서 엄청났다는 제 기억이 맞네요.

더불어 준플, 플레이오프에서 혼자 캐리하고 한국시리즈에선 아니었던... 염종석 선수의 타자 버전이 김용국 선수였나? 삼성의 내야수네요.
물론 이때는 삼성이 우승을 못했던 걸로 기억하고, 김용국(?) 선수 때문에 처음으로 삼성을 응원했네요. 아마도 우승은 해태였을 거고...
우승팀보다 준우승팀 선수 하나가 더 기억에 남는 경우였습니다.
25/08/12 14:38
수정 아이콘
준플 자체가 투수 딱 2명으로 끝났...
퀘이샤
25/08/12 17:38
수정 아이콘
2명이 한점도 안 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기타] 스연게 재오픈 및 운영방침 공지 [38] jjohny=쿠마 20/05/10 229027 0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252984 0
공지 댓글잠금 [기타] 연예인 성범죄의 피해자 등에 대해 언급/암시/추정/질문하는 등의 행위를 금지합니다. [1] jjohny=쿠마 19/03/15 390616 0
공지 [기타] 몇몇 표현들에 대하여 가이드라인을 재공지합니다. [24] 17/10/25 461755 0
89636 [스포츠] 위기의 다저스를 구하러 오타니가 간다.mp4 [32] insane2957 25/08/13 2957 0
89635 [스포츠] [KBO] 현재 리그 탑 불펜 투수는 [33] 손금불산입3740 25/08/13 3740 0
89634 [스포츠] [KBO] 키움 "주승우 부상은 연투 때문 아니다" [4] 손금불산입2908 25/08/13 2908 0
89633 [스포츠] [KBO] 3명 밖에 없는 크보 통산 1,000승 감독 [17] 손금불산입2992 25/08/13 2992 0
89632 [스포츠] 여자배구 u21 월드챔피언십, 베트남 몰수패 [8] 빼사스3122 25/08/13 3122 0
89631 [연예] 유주 미니 3집 타이틀곡 'REPLY' M/V Davi4ever2183 25/08/12 2183 0
89630 [스포츠] 코디 폰세 KBO 개막 선발 최다연승 15연승 신기록, 김경문 감독 통산 1000승 달성 [51] SKY925967 25/08/12 5967 0
89629 [스포츠] [KBO/LG] 과연 염경엽 감독은 업적작에 성공할 것인가? [38] 무적LG오지환6023 25/08/12 6023 0
89628 [기타] CGV 하계,의정부태흥 폐점 31일까지 영업 [14] SAS Tony Parker 5156 25/08/12 5156 0
89627 [스포츠] [KBO] 리그 2위인데 트럭시위 시작된 한화 [114] 손금불산입7164 25/08/12 7164 0
89626 [연예] 슈주 은혁을 가지고 노는 문샤넬 [21] MoonWatch7844 25/08/12 7844 0
89625 [스포츠] 옌스 카스트로프 대한민국 국가대표팀행? [35] 及時雨6541 25/08/12 6541 0
89624 [스포츠] [KBO] 흔들리는 김서현 8월 전경기 실점 중 [23] 손금불산입4787 25/08/12 4787 0
89623 [스포츠] [KBO] 10개 구단 비디오판독 번복률 [10] 손금불산입3467 25/08/12 3467 0
89622 [스포츠] 크리스탈 팰리스 컨퍼런스리그행 [6] MeMoRieS3611 25/08/12 3611 0
89621 [스포츠] [해축] 커뮤니티 실드로 비관할 필요 없는 이유 [5] 손금불산입3026 25/08/12 3026 0
89620 [연예] 케이팝 데몬 헌터스 'Golden', 빌보드 핫100 1위 달성 [58] Davi4ever6280 25/08/12 6280 0
89619 [스포츠] [해축] 2025년 여름 손흥민 포함 ‘10명’ 레전드 이별 [8] 시나브로4200 25/08/12 4200 0
89618 [스포츠] [KBO] 역대 최고의 데뷔시즌 임팩트 [37] 포스트시즌6584 25/08/11 658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