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5/04/07 13:00:25
Name SAS Tony Parker
Link #1 https://m.entertain.naver.com/article/609/0000972318
Subject [연예] 유아인, 이만하면 복귀 성공 ‘승부’ 135만 손익분기점 넘겼다
유아인의 스크린 복귀작이기도 한 '승부'는 판권 판매 등으로 손익분기점을 90~100만까지 낮췄다.

별개로 누가 사고는 쳐도 작품은 걸어주는게 다른 사람들 도와주는게 아닐까 싶네요 트롤링 한번에 딴 사람 커리어도 붕 뜨니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선플러
+ 25/04/07 13:05
수정 아이콘
평이 너무너무 좋더라고요. 특히 바둑계내에서 반응이 진짜 좋아요.
경마장9번마
+ 25/04/07 13:06
수정 아이콘
저도 작품 걸어주는 것에는 동의는 하지만 반대로 생각하면 본인의 잘못으로 인하여 다른 사람들이 엄청난 피해를 본다는 사례들이 있어야 사고도 좀 덜 치지 않을까 합니다. 물론 왜 연예인만 뚜드려 맞아야 하냐 는 별개이긴 합니다.
불쌍한오빠
+ 25/04/07 13:07
수정 아이콘
영화 재밌어요
유아인 연기도 좋았지만 이병헌 연기가 대단합니다
+ 25/04/07 13:12
수정 아이콘
벌어들인 돈은 그대로 기부를 하거나 제작사가 갖거나 하는 식으로 해야하지 않나 싶습니다.
그나저나 손익분기가 엄청 낮네요..
SAS Tony Parker
+ 25/04/07 13:15
수정 아이콘
넷플의 위엄
쪼아저씨
+ 25/04/07 13:15
수정 아이콘
ott 에 선판매? 같은걸로 해서 많이 낮췄다더라구요.
츠라빈스카야
+ 25/04/07 14:32
수정 아이콘
보통 영화는 손익분기점을 100으로 칠 때 그걸 영화관 수입만 가지고 넘냐 못넘냐를 계산한 다음에 나중에 2차시장 수입을 넣어서 소위 '극장에선 못넘었지만 2차 판매 합쳐서 수익은 났다'인 영화들이 꽤 되는데...
이런 영화는 100중에 선판매로 이미 얼마간(50이나 60이라거나...아무튼) 충당한 후에 나머지만 가지고 영화관 손익분기 얘기를 하니...사실상 조삼모사긴 한데, 손익분기 넘겼다도르 타이틀 따기엔 비교적 수월하죠.
+ 25/04/07 13:13
수정 아이콘
김수현보다 더 빨리 복귀할거같은..
유일여신모모
+ 25/04/07 13:57
수정 아이콘
김수현은 힘들 듯 합니다.
바카스
+ 25/04/07 14:15
수정 아이콘
배우 선배들의 마약 사례를 봐선 유아인도 수순이죠. 근데 김수현은 궤가 조금 다른듯 합니다.
쵸젠뇽밍
+ 25/04/07 13:22
수정 아이콘
복귀 성공 같은 제목을 달아주는 기자가 문제를 만드는 거죠.
이후 촬영을 한 작품을 통해서 복귀 성공이니 할 일이지.
이 전에 찍은 걸 갖고 복귀성공이니 어쩌니하니까 배우와 작품을 별개로 볼 수 없게 만드는 거죠.
+ 25/04/07 18:59
수정 아이콘
크 진짜 맞는 말씀..
+ 25/04/07 13:28
수정 아이콘
유아인은 주지훈 사례보면 몇년쉬다 복귀할꺼 같은데 김수현은 못할것 같은..
씨네94
+ 25/04/07 15:30
수정 아이콘
마약범들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충분히 복귀 가능한데 성범죄??류는 메인스트림에선 쉽지않죠.
위르겐클롭
+ 25/04/07 13:32
수정 아이콘
배우들이야 다른데서 알아서 잘벌테니 그렇다쳐도 일반 스탭들이 개봉이나 공개 안되면 피해가 큰듯요. 넉오프 그거도 그래서 골치아플듯요
문성은
+ 25/04/07 13:35
수정 아이콘
영화 흥행이랑 유아인 복귀는 별개 아닌가요? 사건이 터진후 찍은 영화가 흥행에 성공했다면 몰라도 그 전에 찍은 영화인데 복귀 운운은 개연성이 없어 보여요. 저도 유아인 한명으로 인해 이 영화가 비판 받는건 영화에 관련된 다른 사람들이 피해보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SAS Tony Parker
+ 25/04/07 13:36
수정 아이콘
기자 제목 어그로가
된장까스
+ 25/04/07 14:44
수정 아이콘
오히려 유아인 때문에 창고 영화되고 망할뻔한 영화인데 기자가 어그로 끌려고 일부러 이러는거죠.
감자감자왕감자
+ 25/04/07 15:43
수정 아이콘
이 영화자체가 예전에 찍어놓고 유아인때문에 넷플에서 짤리고 겨우겨우 개봉한거아닌가요? 이걸 복귀 성공이라니 이상하긴 해요.
+ 25/04/07 13:41
수정 아이콘
어릴 때 바둑 배울 때 이창호 세대라 영화관 갔었는데 제 기억속에 돌부처 라고만 갖고있었던 이미지가 있어서 그런지 좀 ??? 하긴 했지만 영화 속 이미지가 고증을 거쳤으니 맞는거겠죠?

개인적으론 위의 이유로 유아인의 이창호역 보단 이병헌의 조훈현 역에 감탄했네요. 이병헌은 신이야..
선플러
+ 25/04/07 13:48
수정 아이콘
저는 오랜 바둑팬은 아닌데 이번 영화로 관심이 많이 생겨서 관련해서 이것저것 많이 찾아 보니까
이창호의 어린 시절은 각색이 많이 들어갔다고 합니다. 이창호는 어렸을 때 부터 이창호였다고 하네요.
다만, 영화적으로 이창호가 조훈현을 만나면서 변화하는 모습을 극대화 하려 했다, 는 식으로 이해하더라고요. 바둑팬들이
전기쥐
+ 25/04/07 14:06
수정 아이콘
영화속 어린시절 이창호 성격은 실제 이창호 성격이랑 거의 정반대라고 보면 됩니다.
조랑말
+ 25/04/07 14:07
수정 아이콘
어릴 때 이창호 세대라...
어린시절 각색은 흥미롭네요.

저도 진심으로 좋은 영화 잘 봤습니다. 바둑 둘 줄 안다니깐 와이프가 깜짝 놀라면서 아저씨처럼 보네요
ANTETOKOUNMPO
+ 25/04/07 16:51
수정 아이콘
저는 이창호가 이창호가 아니라서 불호입니다.
비중이 낮으면 몰라도 이정도 각색을 하려면 남기철(서봉수) 처럼 다른 이름을 썼어야지
이창호 본명으로 나오면서 이렇게 까지 다른 사람을 만들어 버리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 25/04/07 13:42
수정 아이콘
좀 웃긴 이야기긴 한데 사람들의 역치가 높아져서
강력범죄나 성범죄가 아닌 이상 여차저차 넘어가는
케이스가 늘어날거 같긴합니다.
+ 25/04/07 13:53
수정 아이콘
빨았던 약도 히로뽕은 피해서 나락 안가는 선을 지켰고
연기력은 확실해서 의지가 있다면 복귀는 언젠가 하지 싶네요
인기나 반응이 예전 같진 않겠지만 그건 대중 개개인이 받아들이기 나름이고
+ 25/04/07 14:02
수정 아이콘
유아인이 또 찍어놓았던 하이파이브라는 영화도 여름에 개봉한다네요.
이건 흥행 꽤 잘 시키는 강형철 감독 영화라 더 잘될수도 있어요
전기쥐
+ 25/04/07 14:06
수정 아이콘
유아인은 그래도 언젠간 복귀하겠죠.
아라온
+ 25/04/07 14:09
수정 아이콘
김수현보다보니 선녀처럼 보임!
SAS Tony Parker
+ 25/04/07 14:10
수정 아이콘
상대평가 크크크
빵pro점쟁이
+ 25/04/07 14:26
수정 아이콘
충분히 자숙하고 반성하면 유아인 정도급 배우는 복귀 가능하죠

"연기로 보답하겠습니다" 같은 상투적인 멘트가 아니라
"약빤 연기력이 뭔지 제대로 보여드리겠습니다" 하지 않는 이상 말이죠
당근케익
+ 25/04/07 14:29
수정 아이콘
복귀는 이거 이후에 또 찍냐가 핵심인거고
이건 그냥 불매운동까진 안갔다정도이지
복귀는 좀..
타시터스킬고어
+ 25/04/07 14:30
수정 아이콘
영화는 진짜 마음에 들었습니다
탈리스만
+ 25/04/07 14:36
수정 아이콘
바둑 좋아하시는 아버지랑 같이 보고 왔는데 너무 좋아하시더라고요. 저도 재미있게 봤습니다.
씨네94
+ 25/04/07 15:29
수정 아이콘
성범죄나 흉악범죄도 아니고, 개과천선해서 반성 많이 하고 본업 열심히 하면 되는거죠 뭐.
Chrollo Lucilfer
+ 25/04/07 16:31
수정 아이콘
이창호 어린 시절 부분에서 몰입도가 조금 떨어졌지만
바둑계를 잘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각색한 거 겠죠.

실화 여부는 차치하고서라도
진부한 부분은 꽤 많이 있었는데, 영화는 좋았습니다.

제자를 자식처럼 길러서 키워내고
거기서 부모자식 간의 감정 비슷한게 싹 튼 다는게
뭔가 요즘 세상에서는
쉽사리 상상하기 힘든 감동을 주더라구요.
+ 25/04/07 18:51
수정 아이콘
그냥 시간도 지났고 썩히면 안되는 영화라 개봉한거고
그 영화가 잘된건데 이걸 성공적 복귀라고 타이틀 다는건 어그로죠.
+ 25/04/07 20:58
수정 아이콘
사회통념과 법의 간극같은건가봐요.
형법상 유죄인 유아인보다 무죄인 김수현이 더 불쾌한 사람들이 많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기타] 스연게 재오픈 및 운영방침 공지 [38] jjohny=쿠마 20/05/10 219485 0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244021 0
공지 댓글잠금 [기타] 연예인 성범죄의 피해자 등에 대해 언급/암시/추정/질문하는 등의 행위를 금지합니다. [1] jjohny=쿠마 19/03/15 375883 0
공지 [기타] 몇몇 표현들에 대하여 가이드라인을 재공지합니다. [24] 17/10/25 448304 0
87910 [연예] (약후) 라잇썸 초원 & 나영 최근 무대 직캠 & 움짤 모음 Davi4ever46 25/04/07 46 0
87908 [스포츠] 개인적으로 통쾌함 관점에서 꼽아본 독일월드컵 3경기 [3] TQQQ813 25/04/07 813 0
87907 [연예] 긁혔다는건 이런게 아닐까 [11] 제논3828 25/04/07 3828 0
87906 [스포츠] 한화이글스 크보 역사상 초유의 타격부진 [28] 핑크솔져3029 25/04/07 3029 0
87905 [연예] [피프티피프티] 미니 3집 선공개 싱글 'Perfect Crime' 리릭 비디오 [8] Davi4ever1553 25/04/07 1553 0
87904 [연예] 빌리의 첫 유닛 문수아X시윤 'SNAP (feat. sokodomo)' M/V Davi4ever843 25/04/07 843 0
87903 [연예] 지구오락실3 티저 [13] 강가딘3122 25/04/07 3122 0
87902 [스포츠] [NBA]플인토레이스에 합류한 덴버 [21] Mamba1686 25/04/07 1686 0
87901 [스포츠] 프로 바둑기사가 이야기 해주는 영화 승부 vs 실제스토리 [9] insane3781 25/04/07 3781 0
87900 [스포츠] [MLB]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 토론토와 14년 $500M 연장계약에 합의 [15] kapH2387 25/04/07 2387 0
87899 [연예] 2024년 한류스타(배우/가수) 탑5 [8] VictoryFood2480 25/04/07 2480 0
87898 [스포츠] [KBO] 알아둬도 쓸모없는 잡다한 25시즌 LG 트윈스의 기록 이야기 [27] Story2141 25/04/07 2141 0
87897 [연예] 넷플 드라마 [악연] 그럭저럭 볼 만 하네요 [18] a-ha2826 25/04/07 2826 0
87896 [스포츠] 현재 일본프로야구 평균 관중수 [13] 민머리요정2990 25/04/07 2990 0
87895 [연예] 유아인, 이만하면 복귀 성공 ‘승부’ 135만 손익분기점 넘겼다 [38] SAS Tony Parker 4585 25/04/07 4585 0
87894 [스포츠] [해축] PSG 리그1 우승 확정, 이강인 우승 추가 [5] 손금불산입1864 25/04/07 1864 0
87893 [스포츠] [해축] 둘 다 못 이긴 1위, 2위 (2).mp4 [3] 손금불산입1084 25/04/07 1084 0
87892 [스포츠] [해축] 나름 1점 차 치열한 사투 중.mp4 [1] 손금불산입997 25/04/07 997 0
87891 [스포츠] [F1] 막스의, 막스에 의한, 막스를 위한 그랑프리 (일본 그랑프리 간단리뷰) [16] kapH1610 25/04/07 161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