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1/10/04 22:18:50
Name onDemand
Subject 난제군 난제야. 이걸 어떻게 푼담. (수정됨)
1.
담배불에 불을 붙인다. '칙' 라이터에서 나는 소리가 좋다. 눈을 살짝 감고. 크게 한모금 삼킨다. 하. 나쁘지 않다. 살랑살랑 움직이는 담배연기를 멍하니 쳐다봤다. 일렁이는 담배연기는 계속 봐도 질리지가 않는다.
옆에서 같이 담배를 피우던 형이 나를 부른다.

'야, 우리가 물리해석을 평생 하면서 이런 담배연기 하나 제대로 풀어 낼 수 있을거라고 생각하냐'

스쳐가는 질문에 깊게 생각에 잠긴다. 담배연기를 유동해석으로 풀어낸는 것은 난제다. 어려운 문제다. 담배연기는 연소 화학반응식이 들어간다. 고온 반응이고 또한, 난류성 기체다. 또 연기와 기체가 모두 들어가니 다상유동이다. 이중 하나만 들어가있어도 풀기가 어렵다. 그런데 세개나 들어간다.
그래서 내가 답한다.

'아니요. 못풀거같은데요.'
'그렇지? 그럼 이런 연구는 피해야 졸업 하겠지'

생각에 잠긴다.

'어려운거 하나만 들어가있는거 해요. 형'

졸업은 해야 할 것 같다. 그러면 어려운 건 피해야겠지.
또 연기를 한모금을 들이킨다.



2.
담배를 처음 핀 순간을 추억한다. 대학생. 뭐랄까. 복잡한 심정이었다. 뭔가 억울한 날이었다. 울고는 싶은데 변명거리가 없는 날이랄까. 우산을 안가져 온 날에 빗속에서 새똥을 맞았다. 그것도 아껴 입던 옷을 입고왔는데. 양말은 이미 젖어서 축축했다. 짧은 연애도 끝났고, 헤어지느라 과제는 제출기한을 맞추지 못했다. 사소한 것 하나 제대로 풀리는 일 없는 날이었다. 하지만 이런건 사소한 거니까. 넘어가야지. 사소한 것이 쌓여 가슴은 아려오는데 눈물은 나오지 않는 그런 날에 담배를 처음 물었다. 얇은 담배로 시작했다. 물론 입담배로.

그 날, '눈물을 흘리지 않는 것'은 쉬운일이고, '눈물을 흘리는 것'은 난제라고 생각했다. 어려운 일이다. 가슴은 아려오는데 변명거리가 없는 날. 난 어찌 할 바를 찾지 못한다. 그저 담배에 불을 붙이고, 담배연기로 최면을 걸면서 생각을 멈췄다. 변명거리를 찾는 것 보다. '칙'소리를 내며 타들어가는 것을 보는 것이 더 좋았다. 사소한 것들이 모두 다 타들어 갔다.



3.
대학생활은 부족했다. 모든게 조금씩 부족했다. 받은 용돈을 나름 한푼한푼을 아꼈다. 부모님께 용돈을 달라고 하는 내가 부끄러웠다. 대학교 다닐 때 이따금 형이 내 자취방에 놀러온 적이 있다. 다음날 아침 일찍 수업이 있다고 했다. 학교랑 가까운 우리집에서 자고 대학원 수업을 들으러 간다고 했다. 신기했다. 아침수업도 다 듣고. 역시 대단한 사람이다. 직장도 있는데 학교도 다니고. 학점도 높고. 정말 공부 할 사람은 따로 있다고 생각한다. 저녁은 먹었으니 집에서 맥주나 한잔 하자고 한다. 편의점에 들어갔다. 형이 바구니를 집어들었다. 그리고 맥주코너로 갔다. 화려하다. 언제부터 이렇게 다양한 맥주가 한국에 들어왔을까. 입맛을 다신다.

'이 형이 말야. 상여 탔거든. 먹고싶은 거 다 담아. 빨리.'
허세 가득한 말이 멋있어 보였다. 드라마에서나 나올법한 말처럼 들렸다. 나는 쭈뼜거렸다. 익숙한 맥주로 두캔정도 집어들었다.
그러자 형이 답답한 눈초리로 날 쳐다봤다. 그리고 날 재촉했다.

'야, 더 담아. 그러면 여기서 부터 여기까지 종류별로 하나씩 담자'
그러면서 맥주코너 한쪽 끝부터 다른쪽 끝까지 가리켰다.

편의점 바구니에 열캔이 좀 넘는 맥주가 담겼다. 신기했다. 그 순간 난 왜 눈물이 났을까. 슬프지도 않은데 말이다. 알 수 없는 이유로 인해 나온 눈물을 몰래 훔쳤다. 그리고 아무렇지도 않게 같이 집에 갔다. 그리고 어려운 일을 쉽게 해냈다고 생각했다.
비어있던 냉장고가 가득 찼다.



4.
가면의 고백이라는 책을 읽다가 비애(悲哀)라는 단어를 한자로 접했다. 처음으로. 슬플 비(悲)에 슬플 애(哀). 한 글자도 슬픈데 두 글자가 모두 슬프면 도대체 얼마나 슬픈 단어란 말인가. 슬플 비(悲)는 아닐 비(非)에, 마음 심(心)으로 이루어졌다. 非는 어긋난다는 뜻이다. 心은 몸의 중심으로 마음이 머무는 곳이다. 마음이 어긋남으로 인해서 슬픈 것. 자신의 감정에 조금 더 솔직해 지는 것 만으로도 마음의 어긋남을 줄여준다고 한다.되는대로 가면을 쓰고 있는 일상을 보내는데, 솔직한 내면을 들여다 본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조금 더 내 마음에 소리를 기울이며 솔직해지는 것은 연습이 필요한 일이다.

담배를 처음 피던 순간을 추억한다. 풀지 못하고 태워버렸던 일들. 사소하다고 생각했던 일들. 이런 사소한 것들을 모아서, 조금은 덜 사소한 것들로 만드는 방법을 찾는, 이런 어려운 일은 연습이 필요한 일이다.

* 손금불산입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3-09-22 01:20)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 게시글로 선정되셨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10/04 22:25
수정 아이콘
제가 참 좋아하는 스타일의 글이네요. 잘 읽었습니다.
onDemand
21/10/05 09:10
수정 아이콘
누군가가 좋아할만한 글을 쓸 수 있는건 고마운 일 같습니다.
AaronJudge99
21/10/04 23:30
수정 아이콘
대학원은...안가는걸로....



농담이고요..잘 읽었습니다
도라곤타이가
21/10/05 00:00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합니다. 표현하기 쉽지 않은 삶의 토막을 이렇게 술술 목구멍에 넘어가게 좋게 써주시는 글 참 맛있습니다.
onDemand
21/10/05 22:13
수정 아이콘
최근들어 주변에 힘들어 하는 지인들이 많은데, 사실 들어보면 큰 이유가 아니라 사소한 것이 쌓여서, 쌓인 것을 털어놓을 곳이 없어서 그런분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쓴 글이고 씁쓸하지 않게 쓰려 했는데, 맛있게 드셔주시니 감사합니다.
아비니시오
21/10/05 09:15
수정 아이콘
물리해석이면 FEM쪽이려나요. 현실세계를 돌리는 컴퓨터가 있다면 엄청난 성능이겠죠..
onDemand
21/10/05 13:00
수정 아이콘
FEM 맞습니다. 아직은 조그만 현실도 어렵네요.
21/10/05 11:15
수정 아이콘
[이풍당당]
감성터지는 글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762 세계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농작물들 [35] VictoryFood15627 23/08/11 15627
3761 그녀가 울면서 말했다. [28] ItTakesTwo15012 23/08/10 15012
3760 [LOL] 52세 할재(?) 플레 찍기 도전 성공 [45] 티터14811 23/08/10 14811
3759 [기타]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일반인 1호 기증자가 되었습니다 [6] Periodista15652 23/08/03 15652
3758 [역사] 산업혁명이 만든 기네스, 과학혁명이 만든 필스너우르켈 [27] Fig.114981 23/08/10 14981
3757 오래 준비해온 대답 [17] 레몬트위스트14790 23/08/08 14790
3756 나는 운이 좋아 칼부림을 피했다. 가해자로서든, 피해자로서든 [46] 상록일기15351 23/08/04 15351
3755 몇년이나 지난 남녀군도(+도리시마) 조행기 [4] 퀘이샤14114 23/08/03 14114
3754 사극 드라마에서 나오는 이방원에 대한 이성계의 빡침 포인트에 대한 구분 [29] 퇴사자14495 23/08/02 14495
3753 권고사직(feat 유심) [60] 꿀행성15957 23/07/30 15957
3752 가정 호스피스 경험기 [9] 기다리다13923 23/07/28 13923
3751 만년필 탄생의 혁신, 그리고 두 번의 뒤처짐 | 워터맨의 역사 [12] Fig.113490 23/07/26 13490
3750 교사들의 집단우울 또는 분노 [27] 오빠언니13934 23/07/22 13934
3749 초등학교 선생님은 힘든 것 같다... 아니 힘들다 [98] 아타락시아113771 23/07/20 13771
3748 제로 콜라 그럼 먹어 말어? [71] 여왕의심복14514 23/07/14 14514
3747 밀란 쿤데라, 그리고 키치 [10] 형리12527 23/07/13 12527
3746 [역사] 설빙, 샤베트 그리고 베스킨라빈스의 역사 / 아이스크림의 역사 [42] Fig.112534 23/07/11 12534
3745 중국사의 재미난 인간 군상들 - 위청 [26] 밥과글12552 23/07/10 12552
3744 펩 과르디올라는 어떻게 지금 이 시대의 축구를 바꿨는가. [29] Yureka12553 23/07/01 12553
3743 [기타] [추억] 나의 기억들 [10] 밥과글12813 23/06/19 12813
3742 [역사] 김밥은 일본 꺼다? / 김밥의 역사 [29] Fig.113568 23/06/28 13568
3741 자영업자 이야기 - 직원 뽑기에 실패하였습니다. [46] Croove13587 23/06/26 13587
3740 흔한 기적 속에서 꿈이가 오다 (육아 에세이) [14] 두괴즐14072 23/06/12 1407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