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10/02 19:07:46
Name 구경남b
Subject [질문] 치과선생님들의 고언을 듣고싶습니다.


왼쪽 아래 어금니 파절로 치과에 방문했는데


두 군데에서 신경치료 진단받았어요. 신경치료 하면 반드시 크라운도 진행되는 건가요?

크라운 진행할 때 치아 내부 빈 공간은 레진으로 채우는 작업하고 크라운으로 들어가서 비용이 추가된다는데,
이 역시 통상적인 치료방식인지 궁금합니다.


마지막으로 크라운 재료는 지르코이나 권유받았는데 이유는 심미적 요인, 그리고 금(gold)은 가격차이가 많이 나게 비싸다는 이유였어요.
요새는 지르코니아로 많이들 한다고.
단점은 없는지 몰어보니, 파절이 될 수도 있는데 이건 딱딱한 음식을 무리하게 씹어가며 먹거나 하는 경우라 하더군요.

통상적으로 크라운은 지르코니아로 하는게 국롤인지, 실제 금 크라운은 가격 차이가 많이 나는지,
혹시 메탈은 거의 사장된 재료인지두 궁금합니다.

듣기론 지르코니아는 치아를 많이 삭제해야 한다고 들어서, 혹시 지르코니아를 택하기 때문에 1차 레진 시술도 추가되는 건가 싶거든요.

최대한 치아를 보존하고 싶긴 한데, 선생님들의 고언을 듣고싶습니다. 나이는 30대초중반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10/02 20:11
수정 아이콘
신경치료 하면 크라운은 필수입니다. 앞니의 경우엔 심미적인 이유로 하지 않을 때도 있긴 하지만, 뒷니는 우리가 계속 저작을 해야만 해서 시간이 지나면 크라운이 없는 치아는 마모되고 빌드업 해놓은 틈새로 박테리아 침투가 가능해서 신경치료가 실패할 확률이 올라갑니다. 앞니는 상대적으로 저작을 덜 하고, 관리도 쉽고 신경치료가 실패할 확률이 낮습니다. 한국은 금니를 여전히 많이 하고있다 들었는데, 여기 미국이나 유럽은 질코니아가 대세이고요, 앞니에는 이멕스라는 다른 재료가 하나 더 있긴 합니다만 어금니는 질코이나가 파절될 확률이 제로에 수렴합니다 (물론 의사분께서 치아삭제를 딱 알맞게 하는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치아 삭제에 예민한 분들이 있지만, 대를 위해서 소를 희생해야 할 때가 있는데 이 경우가 이에 해당됩니다. 크라운을 씌워야 신경치료가 실패할 확률이 현저히 낮아집니다 (물론 이것도 신경치료를 잘했을 경우에만).
구경남b
25/10/02 20:18
수정 아이콘
설명 감사합니다. 혹시 지르코니아 크라운 이전에 레진으로 1차 채우기 작업도 해야해서 비용이 추가된다던데 이것 역시 통상의 과정일까요? 충치로 치아 내부가 비어서 그렇다고 설명을 들었어요.
+ 25/10/02 23:0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요즘 금 합금이 원가가 너무올라서.. 아직 골드를 넘는 재료는 없는것같다고 생각하지만 이제 치과재료에서 금은 사라질겁니다.
지르코니아가 이런저런 단점이 있음에도 대세가 될수밖에 없습니다.
신경치료하고 씌우는건 어느치과를 가도 크라운 안하자는곳은 없다시피 할겁니다. 대학병원조차 그렇게 합니다. 앞니는 좀 다른얘기 일수도있으나 큰어금니를 안씌우는곳은 거의 없다고보셔도됩니다.

레진은 근관치료과정에서 뚫린 근관와동을 충전하는과정이며 흔히 코어라고 부릅니다. 이역시 자연스러운겁니다. 근관치료 이후에는 당연히 따라오는과정입니다.
다만 코어비용을 받고 안받고는 결국 수가의문제라고 보시면 됩니다.

단순히 수가만 고려하지마시고 근관치료 잘 해줄곳에서 치료받으세요.. 돈보다 고려할 부분이 많은데 환자입장에서는 수가말고 다른걸 정확하게 보기 어렵다는건 안타까운 부분이긴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13335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6358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6393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9489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71860
181824 [질문] 대전복합터미널에서 인천공항까지 버스로 가려고 하는데 가는 구간 모두 버스전용차로로 가나요? [1] 욱쓰178 25/10/02 178
181822 [질문] 치과선생님들의 고언을 듣고싶습니다. [3] 구경남b769 25/10/02 769
181820 [질문] 라면 레시피 추천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18] Thirsha743 25/10/02 743
181819 [질문] OTT 계정 공유 서비스 합법? [10] Part.31101 25/10/02 1101
181818 [질문] 카톡 업데이트 안하면 프로필 변경 안되나요? [2] 소녀시대931 25/10/02 931
181817 [질문] 본체 하드디스크가 말썽입니다. [3] 농심너구리840 25/10/02 840
181815 [질문] 이태원 외국음식 맛집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7] 아이시스 8.02205 25/10/02 2205
181814 [질문] 오지 근무, 숙소가 없어서 차박 생각중인데 어떨까요 [53] RED eTap AXS4254 25/10/01 4254
181813 [질문] 발목 삐었을때 침을 반대쪽 발에 맞나요? [4] 리멤버3089 25/10/01 3089
181812 [질문] 할로우 나이트 질문입니다. [3] 마포구 보안관2142 25/10/01 2142
181811 [질문] 마비노기 모바일 같은 모바일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15] 윈터3032 25/10/01 3032
181810 [질문] 스팀에 엘더스크롤 오블리비언 리마스터 한글 질문입니다 [3] 건이강이별이1649 25/10/01 1649
181808 [질문] 보조모니터를 켜면 본체 모니터가 꺼졌다가 커집니다. [10] 보로미어3207 25/09/30 3207
181807 [질문] 닌텐도 스위치2 구입방법문의 [19] 먼산바라기3379 25/09/30 3379
181806 [질문] 스팀서 오리게임(ori X)이 유용하다길래 사보려는데요 [6] Cand2826 25/09/30 2826
181805 [질문] 보험 계약 대출 금리 연3.5% 후 주식 배당주 투자 어떨까요? [5] 영길2900 25/09/30 2900
181804 [질문] 조니워커 블루 4병 사려고 합니다. [18] longtimenosee3196 25/09/30 3196
181803 [질문] 정리나 기록 잘 활용 못하시는 분들 많으신가요? [13] 호비브라운1657 25/09/30 165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