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9/22 10:08:26
Name 탄야
Subject [삭제예정] 중학생 자녀 학원 거부
중2 아들이 있는데 성적은 하위권입니다.
학원은 수학, 영어, 드럼(취미) 다니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난 주에 이틀 연속 학원을 안 갔습니다.
첫날은 자다가 안 가고, 다음 날은 집을 나와선 집 근처에서 서성이다 그냥 들어왔더라고요.
왜 안 갔냐 물으니 '가기 싫어서' 라고 답하네요
왜 가기 싫으냐 물으니 학원공부랑 숙제가 너무 부담스럽다고 하더군요

올해 초 수학 학원을 추가했을 때
숙제를 힘들어해서 학원에 말해서 숙제를 줄여주겠다고 했는데
그때는 본인이 거부했거든요(자존심 때문인 듯)
그런데 이번엔  혼자 공부하고 싶다고 말하네요

솔직히 이번에 자기 의견을 말해서 좀 놀랐습니다.
이녀석이 평소에는 자기 의견을 거의 말하지 않아요
뭘 물어보면 늘 몰라요만 하고요.

어릴 때부터 말이 없어서, 학교에서 무슨 일이 있는지 전혀 모르니 아내가 많이 답답해 했습니다.
병원에 가보니 ADHD 진단을 받아 약을 6년째 먹고 있습니다.
성격은 워낙 순해서 동생이랑 싸운 적도 거의 없어요
교우관계도 잘 알 수 없었는데
올해는 담임 선생님이 이상 행동을 보시곤 연락을 주셔서
그나마 학교 생활을 어떻게 하는지 조금은 알게 됐습니다.

저는 일단 혼자 해보라고 했습니다.
대신 조건을 걸었어요.

공부 계획서를 작성할 것
방과 후 3시간은 꼭 공부할 것
공부한 내용과 시간을 노션에 기록할 것
공부하는 동안은 웹캠을 켜두기(감시보다는 스스로 공부 시간과 집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아이도 수긍했고 지금 3일 정도 했는데 의외로 집중하더군요
솔직히 공부 머리가 좋은 것 같진 않아(ㅠㅠ) 큰 기대는 안 하고요.
다만 처음으로 스스로 의견을 내고 실행하는 모습이라
성공하든 실패하든 좋은 경험이 되지 않을까 하면서 한달 정도는 지켜보려 합니다.

제가 이렇게 하는 게 맞는 걸까요..?

아무래도 자녀 얘기가 좀 있어 차후(한달 뒤 쯤)에 삭제예정입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9/22 10:15
수정 아이콘
이게 습관으로 잘 정착되면 진정한 자기주도학습이 되는겁니다.
학원가에서 호들갑떠는거 말고요
25/09/22 10:45
수정 아이콘
솔직히 안될거 같긴한데
경험삼아 해보는것도 나쁘지 않은 것 같아서요
25/09/22 10:48
수정 아이콘
아 근데 저는 웹캠은 괜찮은데 노션기록이 귀찮을거 같거든요. 어차피 웹캠자체가 유사기록이라 생각해서
차라리 탄야님이나 탄야님 와이프한테 공부했던 내용을 자랑하게 하고 그걸 칭찬해주는 걸로 바꾸는건 어떨까요?
물론 인내심이 굉장히 필요하겠지만 크크크크
빼사스
25/09/22 10:16
수정 아이콘
중3 딸아이를 키우고 있습니다. 중2~중3 쉽지 않은 시절입니다. 중2 땐 그나마 좀 따라오던 아이인데 중3부터 풀어지기 시작하네요. 누구 말로는 학원만 잘 가도 성공이라고 하더군요. 예상 외로 많은 아이들이 혼자 뭘 해보겠다고 하는데, 실제로 혼자 끈기 있게 유지하기 어렵더라고요. 부모가 바짝 붙어서 관리를 해주거나 아니면 그냥 풀어놓거나. 주변에 어떤 경우엔 그냥 도박이나 나쁜 애들과만 어울리지 않아도 성공했다고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좌우지간 중2 2학기부터가 본격적인 갈등의 시작이니 마음 단단히 잡고 아이랑 자잘한 갈등은 빚더라도 큰 싸움이 나진 않게 잘 관리해 주세요.
25/09/22 10:44
수정 아이콘
현실적인 조언 정말 감사해요 ㅜㅜ
유티엠비
25/09/22 10:16
수정 아이콘
현재 학원 운영하고 있습니다.
자녀의 뜻 존중하신것 아주 잘하신겁니다.
마음에 안차시겠지만 억지로라도 믿어주시기 바랍니다.
옆에서 지켜봐주시고 격려 많이 해주시기 바랍니다.
25/09/22 10:45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김건희
25/09/22 10:21
수정 아이콘
혼자서 무언가를 하는 게 얼마나 대단한 일인데요. 계속 믿어주고, 칭찬해주시면 될 것 같네요.

나는 니가 어려운 일을 잘 해내서 기쁘다. 니가 계속 잘 해낼 거라고 믿는다.
힘들면 언제든지 이야기해라. 우리 같이 이야기해서 답을 찾아보자.

이런 말들을 우리가 사회에서 듣는다고 생각해보세요. 잘 하고 계신 겁니다.
25/09/22 10:44
수정 아이콘
성공하던 실패하고 다시 학원을 다니던 아니면 다른 길을 알아보던 좋은 경험이 되지 않을까 하네요
감사합니다
크산테
25/09/22 10:22
수정 아이콘
계획서 작성, 매일 방과 후 3시간 공부 및 기록, 웹캠켜두기라니.
미혼이고 자녀도 없지만 제 기준에서 숨막히네요.
25/09/22 10:43
수정 아이콘
조건을 힘들게 걸긴 했습니다
그냥 핑계 대는건지 진심인지 알수가 없어서요
조언 좀 부탁드려요
크산테
+ 25/09/22 11:18
수정 아이콘
당연 진심으로 가기 싫은거라 생각합니다.
가긴 싫은데 부모한테 학원은 간척해야되니 집근처 서성이다 들어갔다는게 너무 슬프네요. 지금이야 할게없으니 그랬다지만 수틀리면 진짜 엇나갈거같은... 뭐 저야 공부는 뒷전에 친구들이랑 놀려고 학원 나갔던 입장이라 그렇게 느끼는걸수도 있겠네요
25/09/22 10:49
수정 아이콘
빡세보이긴 해요.
점처 업데이트 하는식이 좋을 것 같긴한데
덴드로븀
25/09/22 10:31
수정 아이콘
[병원에 가보니 ADHD 진단을 받아 약을 6년째 먹고 있습니다.]
다른 병원에서 재검사를 받아보는것도 추천드립니다. 6년은 많은게 바뀔수있는 시간이니까요.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고 도와주시는건 매우 잘한겁니다.
그러나 공부 계획서 + 3시간 공부 + 노션 기록 + 웹캠이라는 콤보는 아직 중2 에겐 지속 가능성이 그리 높아보이진 않습니다.

조건을 좀 빼거나 줄여보고 차근차근 레벨업 하는 느낌나게 계획을 짜는게 어떨까 싶네요.
25/09/22 10:4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조건을 낮추는 방향으로 다시 조절하겠습니다
계획서는 인강과 참고서를 결정하기 위해서 작성하는지라 일회성이에요
웹캠은 2주 정도 해보고 없애려고 합니다.
노션은 제가 직접 확인하게 되면 잔소리를 할까봐...
공부한 진도를 한줄씩 작성하라고 했습니다
공부시간은 줄이는 편이 좋을까요?
덴드로븀
25/09/22 10:48
수정 아이콘
역지사지를 해보면 됩니다? 흐흐

학원을 아예 안가게 되는거니까 최종적으로는 3시간 정도 하는게 맞긴 하겠지만
1~2시간을 기본으로 하고 결과보면서 유동적으로 해보는것도 나쁘진 않겠죠.
Blooming
25/09/22 10:46
수정 아이콘
학원은 정해진 진도를 나가는걸 우선하는 방식이라 공부할 의지를 꾸준히 유지하기 어려운 ADHD학생이 따라가기 어렵습니다. 맞춰서 지도해주는 과외도 생각해 보세요.
나른한우주인
25/09/22 10:46
수정 아이콘
교우관계 문제인데 저렇게 말하는 경우도 있으니 유심히 지켜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최대한 믿어준다는 분위기가 생겨야 좀 더 대화를 이끌어내실 수 있으실거 같아요.
수정과봉봉
25/09/22 10:48
수정 아이콘
가끔 주말이나 격주로 혼자 공부하는데 잘 안되거나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는지 물어봐 주시고, 같이 고민하거나 방법을 찾아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셧업말포이
25/09/22 10:50
수정 아이콘
성적이 하위권이라면
1. 3시간 공부는 무리입니다.
2. 목표를, 성적 올리기보다 무언가를 열심히 해보는 경험을 갖게 하는 쪽으로 잡으심이 좋을 듯하고
3. 혼자서는 하는 것보다, 개인 또는 소규모 교습으로 무언가를 익혀보는 경험이 좋을 것 같습니다.
2024헌나8
25/09/22 10:51
수정 아이콘
솔직히 그렇게 해봤자 학력증진에 도움은 안될건데요
해본다는거 자체에 인생에 의미가 있을것같아요
파고들어라
25/09/22 10:52
수정 아이콘
저는 웹캠 좋아 보입니다.
실시간 감시용이 아니라 하이퍼랩스 같은걸로 기록했다가 나중에 일주일~한달치 모아서 보면 달성감을 느낄 수 있거든요. 공부시간 중에 내가 딴짓 했는지 확인도 되고. 요즘 세대는 자기 기록을 비디오로 남기는데 거부감이 없는거 같아요.
계획 - 실행 - 기록 - 달성률 확인 이 사이클만 익혀도 공부가 문제가 아니라 인생에 도움이 많이 될겁니다.
+ 25/09/22 11:2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단 현상황에서 억지로 학원을 보내도 학생과 학원 선생님 서로만 힘들어질뿐일겁니다.

다만 그것과 별개로 "혼자 공부하는 것"에 대해 큰 기대는 하지 않으시는게 좋습니다. 예외가 있겠지만 스스로 자기주도학습이 가능한 친구는 극소수고 본문의 정보만 봤을때 아이가 그 3시간 동안 스스로 의미있는 공부를 할거라 보이진 않습니다. 사실 책을 펴서 뭘 해야 될지도 모를 가능성이 커요. 얼마 가지 않아 스스로의 한계를 느끼고 뭔가 다른 대책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 봅니다.
한걸음
+ 25/09/22 11:22
수정 아이콘
공부로 밥 벌어먹고 사는 30대 후반인데도 써주신 조건이 숨막히네요. 제 성향이 P여서 그럴수도 있겠지만요.
엘브로
+ 25/09/22 11:34
수정 아이콘
자기주도학습 좋습니다
다만 조건이 아이와 의견을 조율하면서 정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부모님 의견으로 일방적으로 정하지는 마시고요
공부는 장기적으로 해야하는데, 꾸준히 할수 있는 수준으로 해야죠
완성형폭풍저그
+ 25/09/22 11:48
수정 아이콘
하위권에다 학습에 흥미가 없다면, 공부가 아닌 다른 분야에서 아이의 관심사는 무엇이고, 잘하는 것은 무엇인지를 찾아내는게 더 낫지 않을까요??
공부라는 것은 재능이 있던가, 노력할 수 있는 정도의 흥미와 의지가 있어야 하는데 현재상황에서 보기로는 둘 다 없어 보여서요.
한달 정도 지켜보시고 스스로 잘한다면 다행인데, 실패한다면(며칠 지나지 않아) 아이가 잘하는 것을 함께 찾아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김성수
+ 25/09/22 11: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가 고2때까지 게임만하다가.. 당연히 학원도 안 다녔고, 고3 때 기본 15시간씩 공부해서 운 좋게 서울에 있는 대학 간 케이스이긴 합니다. 문제집 살 돈도 없어서 쓰던 문제집 얻어서 지워서 풀고 그런적들도 있고요. 결국 대학교에서 공부하는 것보다는 독학으로 배우는 게 더 낫겠다 싶어 대학교는 그만뒀지만 말이죠. 개인적으로는 독립심을 기른다거나 정서적, 인격적으로 성장이 된다면 결국에는 공부는 찾아서 하게 되어 있다는 주의라서 학원이 대수인가 싶습니다. 어차피 주변 사람들을 돌본다거나 사회적으로 기여하고 싶다거나 하면 뭐든 배워서 무언가 성취를 이뤄내긴 해야 하거든요. 그런게 없어도 정서적으로 감명 받는 것들이 많아지면 하고 싶은 것들이 생겨나고 그러면 또 공부를 하게 됩니다. 물론 책임감이 필요 없는 환경이고 딱히 관심 분야도 없으면 그냥 놀면서 사는 것도 잘 사는 것이라고 생각하지만요. 요즘 세상 사람들 시선은 저와 반대이긴 하지만 저라면 애초에 도덕적인 부분 말고는 아무 것도 강제 안 할 것 같아요. 사람마다 교육관이 틀리니... 뭐가 됐던 잘 해결되시길 바랍니다!

(참고로 제 동생도 공부를 안 한 케이스인데.. 얘는 아예 고3 때까지 싹 다 놀고 항상 전교 꼴찌권 이었습니다. 집에서 당연히 아무런 강요도 없었구요. 근데 책임감 부분은 강하다고 느껴지지는 않았지만 분명히 독립심이 잘 단련되었고 정서적으로 잘 성장했어서 잘 살 것이라는 것에 한 치의 의심도 없었죠. 지금은 그래도 나름 이름 있는 기업에서 시니어 개발자로 또래에 비해서는 분명히 밥 벌이 잘 하며 행복하게 살고 있습니다. 뭐 어차피 밥 벌이 잘 못하더라도 행복하게 잘 살았을 것 같지만요.)
+ 25/09/22 12:00
수정 아이콘
자녀 분과 많은 대화 해보시고 꼭 공부 아니어도 좋으니까 취미나 재능을 찾을 수 있게 도와주시는 게 어떨까요
먼가 항상 조건을 걸면 꼭 트러블이 생기더라구요 아니면 성취감을 높혀가는 방법으로 아주 작은 것 부터 같이 해보심이 어떨지 책을 한권 일주일에 같이 정해서 읽고 얘기한다던지 그래도 좋으신 부모님이 이렇게 고민도 하시고 조언도 구하시는 거겠죠 조금만 너그럽게 봐주심이 좋을 듯 합니다
+ 25/09/22 12:02
수정 아이콘
3시간은 힘듭니다..
책읽기 같은거도 포함해주시는 걸 추천합니다.
어휘력은 모든것의 기본이라 책읽는 습관도 중요하거든요
웹소설이든 만화든.. 부모님이 함께 골라주신다면 더 좋겠네요
+ 25/09/22 12:48
수정 아이콘
공부도 재능이라 안되는걸 붙잡고있는것도 고통입니다.
그리고 기초가 있어야 자기주도학습하면서 혼자 공부하는거지,
하위권이라면 책봐도 본인이 뭘 해야할지 방향성부터 못잡아서
공부를 2시간하든 3시간하든 별 도움이 안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혼자 공부하는시간을 과도하게 늘리는건 오히려 흥미만 떨어뜨릴수도 있을것같네요.

아직 혼자서 공부할 수 있는 시기가 아닙니다... 공부 잘하는 친구들도 독학하면 인강들으면서합니다.
공부라는건 방향성없이 책펴고 문제푼다고 되는게 아닙니다.

이건 공부 에대한 얘기고, 중학생이고 하위권이면 공부보다는 다른진로쪽을 빨리 탐색하는게 나을수도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13067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6059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6073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9154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71414
181743 [삭제예정] 추석 연휴때 할만한 게임 있을까요? LiXiangfei77 25/09/22 77
181742 [질문] 소비쿠폰 2차 이의신청 정공법216 25/09/22 216
181741 [삭제예정] 중학생 자녀 학원 거부 [30] 탄야1363 25/09/22 1363
181740 [질문] 웹툰 추천 부탁 드립니다. 강풀류? [1] 배려629 25/09/22 629
181739 [질문] 선크림 실내에서도 잘 바르시나요 [10] 오타니쇼헤이1981 25/09/21 1981
181738 [질문] 챗gpt가 짜준 운동프로그램 검토 부탁드립니다. [3] 고흐의해바라기1536 25/09/21 1536
181737 [질문] 스위치2를 잘 살 수 있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2] 나래를펼쳐라!!1677 25/09/21 1677
181736 [질문] 부동산 잘 아시는분 계실까요? 전세관련 질문드려요 [5] JP-pride1542 25/09/21 1542
181735 [질문] 다음주 MBC LCK 결승 중계는 TV로밖에 못 보나요? [5] Bronx Bombers1654 25/09/21 1654
181734 [질문] 노무쪽 잘 아시는분 답변좀 부탁합니다 [2] 너이리와봐685 25/09/21 685
181733 [질문] 크롬에서 특정 사이트가 특정 타이밍에 안 열리는데... [3] wook98698 25/09/21 698
181732 [질문] 할리데이비슨 모형 [2] 세타휠3108 25/09/20 3108
181730 [질문] 이 팝송 제목이 뭔지 알 수 있을까요? [2] 잘가라장동건3854 25/09/20 3854
181729 [질문] 비타민C는 복용후 4-6시간 뒤에는 몸 밖으로 배출되는지요...? [14] nexon5272 25/09/20 5272
181728 [질문] 캐슬은 놀이동산이겠죠? [14] toto4603 25/09/20 4603
181727 [질문] 미용실에서 남자손님하고 여자손님 중에 누가 더 매출에 도움이 되나요 [32] liten8307 25/09/19 8307
181726 [질문] 발더스게이트3 1막 관련 문의드립니다 [15] 공놀이가뭐라고3782 25/09/19 3782
181725 [질문] 근거리 도수 안경 효과 있을까요? [25] 교대가즈아3558 25/09/19 355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