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7/09 20:01:56
Name 모아
Subject [삭제예정] [투자] 여유돈 어떻게 굴릴까요 (수정됨)
집사면서 대출을 최대한 끌어오다보니 2억 정도가 남았습니다.
중도상환수수료 때문에 당장 갚는건 억울하고 은행에 넣어두는건 더 억울한데 어디에 투자하면 좋을까요?
당장 큰돈 쓸일은 없고, 일부는 3년후 갚아야하지만 1억이상은 여유돈입니다.

퇴직연금은 생각없이 snp500과 미국채권에 넣고있는데
지금 미국주가 최고점이고 환율이 떨어진 상태라 2억을 한번에 넣는건 손해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오니
25/07/09 20:07
수정 아이콘
은행에 넣어도 2년이면 500~600 먹으실 건데...
얼마나 더 수익을 얻고 싶은지에 따라서 답이 달라질 것 같아요.
슬래쉬
25/07/09 20:23
수정 아이콘
2억이면 1년 이자가 500~600이 넘을텐데, 그거 먹을거면 갚아버리는게 낫지 않나요? ...
이오니
25/07/09 20:27
수정 아이콘
사실 저라면 투자고 뭐고.. 그냥 갚습니다.
슬래쉬
25/07/09 20:52
수정 아이콘
저는 반대로 화폐의 가치는 계속 떨어지기때문에
최대한 대출 받아서 (미래의 돈을 미리 땡겨와서) 투자를 하는게
일반인이 돈 벌 수 있는 가장 확률 높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5/07/09 22:00
수정 아이콘
뭐 레버리지죠 그게...
25/07/09 20:11
수정 아이콘
지금은 말 그대로 채권 제외한 모든 자산이 역사적 최고점 수준인 상태라 신규 진입하기 좋은 시점은 아닙니다.
슬래쉬
25/07/09 20:25
수정 아이콘
이정부가 부동산 하지 말고 주식(코인)하세요~ 라고 시그널을 계속 주는것 같은데
선택은 글쓴이님이...
25/07/09 20:30
수정 아이콘
구체적인 투자 계획 없는 상황이라면 부채 상환이 낫다고 봅니다
김유라
25/07/09 20:30
수정 아이콘
저에게 주시면 좋은데 쓰겠습니다.

아니면 미국 경기방어주 위주로 투자해보시는건 어떨까요? 최근에 좀 오르는 추세이긴 합니다만...
25/07/09 20:51
수정 아이콘
남의 말에 의존해서 투자하는 상황이라면 차라리 중도상환수수료 감내하고 상환하는게 낫지 않겠나 싶어요.
덴드로븀
25/07/09 21:01
수정 아이콘
A : 뭐? 원금을 보장해주는 상품이 있다고? 무슨 말도 안되는 소리를!
B : 정말이야! 원금도 보장해주고 무려 [이자] 라는 걸 줘!
A : 진짜? 그게 뭔데??
B : [정기예금]
A : 우와 쩐다. 당장 만들어야지
슬래쉬
25/07/09 21:02
수정 아이콘
대출이자가 더 비싸서 원금보장이 안되요!!!
망고치즈케이크
25/07/09 21:20
수정 아이콘
공부열심히하셔서 많이 뽑아낼수없다면 갚으십시요.
25/07/09 21:55
수정 아이콘
상환하세요 진심입니다 ㅠㅠ
슈퍼마린&노멀
25/07/09 22:1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1억 기준으로 2000만원은 비트 코인 사십쇼. 미국에서 지니어스 액트를 통해서 스테이블 코인을 통한 신규 채권 수요 확보에 목숨걸고 있습니다. 스테이블 코인 수요 늘리려면 코인에 대한 규제 더욱 완화해서 어떻게 해서든 코인 시장을 더 키워서 제도권에 가져와야합니다. 그런 과정에서 최고 수혜주는 당연히 비트코인이고 이제 채굴량도 얼마 남지 않았고 개인이 가진 물량을 기관에서 어떻게 해서든 가져가려고 혈안이 되어 있습니다. 한번 공부해보십쇼 다음 주도주는 스테이블 코인과의 연계성에서 시작됩니다.
25/07/10 21:49
수정 아이콘
비트코인 2017년에 손댔다가 약간 손해보고 털었는데 다시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5/07/09 23:20
수정 아이콘
투자 경험 없으시면 안 하는 게 좋으실 거예요. 오르는 종목이어도 잘못된 판단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혜리
25/07/10 01:25
수정 아이콘
저라면 그냥 비트코인에 1억, 하이닉스에 1억 넣어 놓겠습니다.
25/07/10 21:49
수정 아이콘
1억까지는 무섭지만 일부 금액 넣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5/07/10 02:34
수정 아이콘
본문을 보니 그냥 상환이 더 나은 선택입니다.
25/07/10 08:33
수정 아이콘
솔직히 일반인이 은행 이자 상회 하는 수익률 내기 쉽지 않습니다. 그냥 갚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에요.
호드람
25/07/10 08:37
수정 아이콘
SGOV etf 추천합니다. 리스크라고하면 미국이 망하거나 환율이 떨어질때 정도일것 같네요
25/07/10 22:10
수정 아이콘
찾아보니 미국 단기채권이네요 좋아보입니다
25/07/10 09:34
수정 아이콘
중도상환수수료 있어도 갚는 게 더 이득이긴 합니다. 원금이 줄어 상환 금액이 줄어들긴 하니까요.
수학적으로 만약 장기적으로 상환 계획이 없으면 갚는게 썩 좋은 선택은 아닙니다.
저도 똑같은 고민을 이 게시판에 올렸던 적이 있는데, 고민하다 며칠 뒤 코인이 떡락 해서 저점 매수를 잘 해서 지금 수익을 좀 보고 있긴 합니다.
Chandler
25/07/10 09:42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갚아 버리기 보다는 그 돈으로 뭐라도 하시는게 일반적으로는 나을겁니다

지금 뭐가 최고점이라서 못산다 이런 개념 보다는

최고점이라 들어가기 부담스러우면 다 넣는게 아니라 일부 넣되 다른 자산 비중을 올려야겠다 이런 마인드로 접근해서

분산투자하고 한방에 다사지 말고 분할매수한다 이런 마인드를 추천드립니다.

미장도 엄청 올라있지만 사실 그거보다 국장이 최근 어마어마하게 올라있어서 국장을 추천은 못하겠지만

이재명이 대놓고 리딩하는 코스피가 5000찍을거다 이런 뷰도 있으니 뭐 본인 판단하셔야죠

그래도 전 국장에서 하두 당한게 많아서 여전히 국장은 안보고 있습니다

그래도 주식에 몰빵하는건 아닌거 같구요

환율이 좀 빠져있으니 달러표시 자산을 좀 사두는 것도 좋을거 같습니다.

저는 에센피(splg) 나스닥(qqqm) 금(krx 금) 미 단기 국채 현물(토스증권이나 메리츠증권에서 요즘 소액도 가능합니다. 내년 5월 만기였나..하면 연 5퍼주더라고요) 장기채 etf(tlt) 나눠서 분산 투자중입니다. 저는 3: 3: 2: 1: 1 정도 비중에서 왔다갔다 하는데요. tlt는 장기우상향 보기는 어렵긴 하지만 워낙에 미국장기채가 지금 똥값이 되었다 보니 보니 어느정도 들고갈만하지 않나 싶습니다. tlt 배당도 연 4퍼정도로 월배당이 나오구요. 전 단기채를 현물로 샀지만 위에 말씀하신 것 처럼 sgov도 좋습니다. 대략 연 4~5퍼 정도를 매월 배당받는 현금성 자산이라서 환리스크만 감당하면 예금보다 낫습니다.

sgov가 골때리는 건 대신 환율이 올르면 내 자산의 가치가 커지니깐 좋으면서도 오른만큼 양도세를 냅니다. 반대로 내려가면 평가가치는 내려가지만 팔때 환차손만큼 양도세가 빠지고요. 일장일단이 있어요. 뭐 환율이 오르면 좋은만큼 팔때 환차익에 대해 양도세좀 내고 반대로 환율이 내려가더라도 양도세 절감이 되니 헷지가 좀 된다는 개념이면 sgov도 가져가는것도 괜찮습니다.

바로 다 저렇게 사기엔 환리스크도 크니깐 저라면 여유돈 원화 5천정도 두고 시간두고 1억 5천을 나누어서 사고 5천은 손해 좀 보더라도 저축은행 입출금계좌에 파킹해두다가 혹시 환율이 더 떨어질때를 대비해서 환율이 더 떨어지거나 위 자산들 값이 떨어지면 나누어서 환전 후 위 자산들을 살거 같습니다.
25/07/10 22:13
수정 아이콘
splg qqqm krx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5/07/10 09:5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번 정권동안은 코스피 지수에 투자하는 것도 괜찮을거라고 생각하는데 이미 너무 많이 올라 조정이 부담스러운 부분도 있고 국장에 데이신(...) 분들이 워낙 많다보니 함부로 권하기 어렵긴 하네요.
25/07/10 22:12
수정 아이콘
제가 바로 그 국장에 데였던 사람입니다 흑흑
엘브로
25/07/10 10:13
수정 아이콘
예적금으로 일단 그냥 가지고 계시다가
뉴스에서 급락이다 아우성친다고 뉴스뜨면 그때 매수검토하세요.
25/07/10 10:29
수정 아이콘
지수 초고점에 투자해서 이자만 내다가 말라죽을 수 있습니다.
지금 같은 장에 투자해서 초반에 벌다가 코로나때처럼 쭈욱 빠지면 말라죽습니다...
25/07/10 14:35
수정 아이콘
중도상환수수료가 이자보다 무조건 쌉니다. 확실히 계획한 투자처가 없다면 빚이라도 줄여 놓으시는게.. 마음 편하십니다.
래머리지 끌어다다 투자라는건 정말 몇년에 한번 있는 폭락장에서나 그나마 유효한 전략인것 같습니다.
향기나는사람
25/07/10 15:47
수정 아이콘
https://pgr21.net/qna/176950?divpage=70&sn=on&ss=on&sc=on&keyword=%ED%96%A5%EA%B8%B0%EB%82%98%EB%8A%94%EC%82%AC%EB%9E%8C
작년 딱 이 맘때 제가 쓴 글입니다. 참고하시길
저때 당시에도 나스닥 최고점이라는 말 많았는데
지금시점에서 보면..
이혜리
25/07/10 16:01
수정 아이콘
오 여기도 제 댓글 있네요,
제 댓글 대로 했다면 얼추 1.5억 정도 수익이 낫었겠군요!
바위꿈틀
25/07/10 18:29
수정 아이콘
라고 할때 살걸
44년신혼2년
25/07/10 16:54
수정 아이콘
저희도 작년 7월에 집 사면서 대출 받는 과정에 중간에 뜨는 구간이 2달 있어서 대출을 풀로 받고
마무리 된 다음에 여유돈이 생겼었는데 저희는 남은 돈은 모두 상환했습니다.
중도 수수료가 발생하긴 하지만 이후 이자 부담이 줄어드는걸 선택 했네요.

어짜피 투자 했으면 까먹었을 거라고 생각해서...그냥 상황 하는게 안전하다고 생각 해서요..
25/07/10 22:14
수정 아이콘
저도 2달이 떴는데 비슷한 상황이었네요 신혼축하드립니다 흐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10908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3902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3607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6710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8614
181104 [질문] (야구) 두 선수중 어떤 선수를 더 선호하실까요? [7] 퀴즈노스919 25/07/11 919
181103 [질문] 읽었던 소설을 찾습니다. [2] 스덕선생924 25/07/10 924
181102 [질문] 오래된 아이패드는 앱을 못쓰나요?? [8] 제니1792 25/07/10 1792
181101 [질문] 일본 렌터카 차종 질문드립니다. [11] 쉬군1545 25/07/10 1545
181100 [질문] 단기간 목돈 굴릴 방법 [12] 뉴턴제2법칙2092 25/07/10 2092
181098 [질문] 폴드7 민트는 1TB가 안나오는거겠죠? [9] 하나1533 25/07/10 1533
181097 [질문] 비슷한 신발 추천 좀 부탁 드립니다. [2] 괴도키드1155 25/07/10 1155
181096 [질문] 어린이 자전거 보조바퀴 장착 관련 질문입니다. [4] Nal_rA[UoS]651 25/07/10 651
181095 [질문] 중국산 스마트링 써보신분 계실까요? [5] 시무룩1190 25/07/10 1190
181094 [질문] 이사 생각중에 질문드립니다. [11] 싸구려신사2511 25/07/09 2511
181093 [질문] 모니터 연결 질문드립니다 [4] 월터화이트1833 25/07/09 1833
181092 [삭제예정] [투자] 여유돈 어떻게 굴릴까요 [36] 모아3834 25/07/09 3834
181091 [질문] 혹시 피싱 메일인가요?ㅠㅠㅠ [10] 싱싱싱싱2339 25/07/09 2339
181090 [질문] 주말에 여는 자동차 정비소 서울쪽 추천 부탁드립니다 [2] WarJoy1782 25/07/09 1782
181089 [질문] 펠티어 제습기 쓸만할까요? [1] No.101254 25/07/09 1254
181088 [질문] 내몽골이 중국이었다니!! 중국 로밍하신 분 내몽골에서 카드 사용법 좀 여쭤봅니다 [12] 콩순이2000 25/07/09 2000
181087 [질문] 네이버 멤버십 / 엑박 게임패스 쓰는 분들께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11] 단다니 쿨쿨1460 25/07/09 1460
181086 [질문] 부모님 노후. Voo&Qqq vs 제피&제큐 [11] wish buRn2063 25/07/09 206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