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4/05 10:42:03
Name 독서상품권
Subject [질문] 한국에서 주식투자자들 중에 빚내서 주식하는 사람들 비율이 많나요?
국장 미장 닛케이 다 안가리고요

저는 빚내서 주식해본적 한번도 없고 앞으로도 절대 그러지 않을 생각입니다만

빚내서 주식한다는건 미장에서 티큐 속슬에 전재산 몰빵하다 요즘같은 장에 왕창 날려먹는것처럼 위험해보이는데

한국 내 주식투자자들 한정으로 그렇게 빚내서 주식하는 사람들 비율이 유의미하게 많나요?

자세한 정보를 가지고 계신다면 더욱 감사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슬래쉬
25/04/05 10:55
수정 아이콘
일단 저는 하는 중입니다 (주변에도 대부분 그러시고요)
저는 레버리지는 안합니다
25/04/05 10: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https://news.nate.com/view/20190106n01249?mid=n1101

옛날 기사긴 하지만 참고해보시지요. 지금은 훨씬 더 많아졌을 것 같네요.

그리고 저건 양지(?)에서 통계에 잡히는 숫자일 뿐, 음지에서 통계에 안 잡히는 숫자는 파악이 불가능에 가까울 것 같습니다. 예컨대 예전에 저의 친척들 중에 한 분이 급하게 돈 들어갈 일이 터졌다면서 저희 아버지로부터 큰돈을 빌려갔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주식하시다 날린 적이 있었죠.

증권사에서 고객들 예수금 출처를 일일이 묻지 않으니까요.
나그네큰꺅도요
25/04/05 11:08
수정 아이콘
일단 주식담보대출을 쓰든가, 신용대출을 받아서 그걸 다이렉트로 주식에 꽂는 경우만 생각하면 요새 많이 늘었다 해도 과반이 넘거나 하진 않을거고요. 하지만 총 포트폴리오에 대출이 남아있는데 주식 현물도 보유하고 있다면 결국 빚으로 주식 산 거나 마찬가지거든요. 유의미하게 주식 투자하는 사람중에 그렇지 않은 사람이 더 드물겁니다.
덴드로븀
25/04/05 11:10
수정 아이콘
(수정됨)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205313?sid=101
[빚투하던 2030은 고금리 맞고 퇴장…그 자리엔 간 커진 5060] 2023.10.26.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866882?sid=101
[50세 이상 중장년층 주식 빚투, 2년새 18% 늘어] 2024.10.29.
8월 말 전체 신용거래융자 잔액이 17조8829억원으로 같은 기간 8.3%(1조3787억원) 늘어난 것을 감안하면
50세 이상 투자자의 빚투 증가세가 강한 것이다.
한편 20∼39세 투자자의 신용거래융자 잔액은 2022년 2조3772억원에서 올해 8월 말 2조1614억원으로 9% 감소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19/0002930327?sid=101
[거래대금·빚투 회복中…돌아오고 있는 서학개미들] 2025.03.07.
일명 '빚투'로 불리는 신용거래융자잔고 또한 늘어나고 있다.
신용거래융자잔고는 지난 5일 기준 18조3537억원으로 연초(15조6823억원) 대비 3조원 수준 증가했다.
위탁매매미수금은 8926억원에서 9368억원으로 증가했다

신용거래융자잔고는 그냥 코스피/코스닥 추세에 따라 움직이는 느낌이고, 전체 주식 참여자 중 비율은 대다수라고 보긴 힘듭니다.
우리나라 주식 활동계좌수가 몇백만 단위고 빚투하다 담보 부족이 뜨는 계좌가 만개 단위 정도로 움직이는 느낌이네요
25/04/05 11:17
수정 아이콘
있어요. 주변에서도 봤구요. 얼마나 많은진 모르겠네요.
회색사과
25/04/05 11:23
수정 아이콘
꽤 있죠. 

그리고 대출로 주식하는게 레버리지하는 거랑 비슷해보이지만 
진동하는 횡보장에서 녹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25/04/05 11:50
수정 아이콘
부동산도 대부분 레버리지인것처럼 주식도 많습니다.(신용대출 포함)
이민들레
25/04/05 15:20
수정 아이콘
대출금이 있는 상황에서 보유한 주식이 있다면 대출받아 투자하는거나 마찬가지인 셈이죠.
+ 25/04/05 19:43
수정 아이콘
주식 커뮤가면 신용미수 몰빵하는 사람이 90프로 이상이고 안 그런 사람은 찾을 수 없습니다.

현금으로 하다가 원금손실이 너무커지니 물타고 싶은데 돈이 없으니 신용써서 물타고 다시 주식이 내리면 신용은 담보율 유지 안하면 반대매매가 나가니 카드론이나 집담보 대출 땡겨서 여기서 또 빚을 내고 버티디가 또 한번 주식이 내려 담보율이 부족하면 이젠 스탁론으로 넘어갔다가 스탁론 쓰고도 또 주식이 내려 이미 원금이 아니라 가진 재산 모두다 날라가고 수억원의 빚쟁이가 되는 경우가 정말 많습니다.

주식세계는 본인 재산이 1000만원만 있어도 1억 넘게 빌려주니 뉴스에 나오자나요...

https://www.fnnews.com/news/202504011550341839

한국증시 반대매매 100억원 이상 속출이란 말이 전부 빌려서 주식한 사람들 이야기입니다...

본인돈으로 하는 이상 상장폐지가 아니고선 아무리 주식이 내려도 반대매매 당하는 일은 없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08284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1172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79979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3108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4643
180246 [질문] 셔틀버스 9시 출발이면 9시 땡 출발인가요? [19] 소용락1500 25/04/05 1500
180245 [질문] 한국에서 주식투자자들 중에 빚내서 주식하는 사람들 비율이 많나요? [9] 독서상품권1525 25/04/05 1525
180244 [질문] 물걸레청소 기능이 없는 로봇청소기도 있을까요? [3] 콩탕망탕1182 25/04/05 1182
180243 [질문] 이 노래 제목이 뭘까요? [3] 법규1100 25/04/05 1100
180242 [질문] 독서 많이 하시는 분들께 질문 드려봅니다. [17] WhiteBerry2603 25/04/04 2603
180241 [질문] 외장하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6] 유니꽃1552 25/04/04 1552
180240 [질문] 샤오미 1세대 로봇청소기 고장 증상 [2] 빼사스1323 25/04/04 1323
180239 [질문] 다자녀 특공시 자산 책정 기준 궁금합니다.(개인사업자) [4] 8억빠1378 25/04/04 1378
180238 [질문] Windows 11 윈도우 추천 배경화면 바꾸기 [1] 서쪽으로가자1290 25/04/04 1290
180237 [질문] 정게에 댓글이 안 써집니다. [9] 럭키비키잖앙1520 25/04/04 1520
180236 [질문] 앱플레이어 때문에 블루 스크린이 뜨는 듯합니다. [9] 공룡1839 25/04/04 1839
180235 [질문] 라면 한박스를 샀는데 유통기한 2달 남은게 왔는데요. [20] 밥도둑3247 25/04/04 3247
180234 [질문] chatgpt 지브리풍 변환 말고 [15] 게임2851 25/04/03 2851
180233 [질문] 패드에 문제가 있는 상황일까요? [6] flowater2562 25/04/03 2562
180231 [질문] PC 2대에서 폴더나 파일을 자유롭게 옮길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17] 카리나2845 25/04/03 2845
180230 [질문] 현재 석촌호수/여의도 벚꽃 상태 [17] 허저비2504 25/04/03 2504
180229 [질문] 사무용 PC 견적추천부탁드립니다. [3] 교자만두1345 25/04/03 1345
180228 [질문] 요새 주말 아침 공항 혼잡도 어떨까요? [5] 핸드레이크1365 25/04/03 136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