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2/08 16:19:05
Name 망고치즈케이크
Subject [질문] 대출 갚는법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주담대를 갚고있는 직장인입니다.

전세금이 들어오게 되어 주담대를 일부 상환하려하는데요,

같은날에 갚는다는 가정하에

2억정도 되는 돈을 한번에 갚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1천정도씩 나눠서 20번 이렇게 갚는게 좋을까요

적용이율은 같을거같은데 느낌은 1천씩갚을때마다 원금이떨어지니 좋지않나 하는

문과스러운 생각이 들어서 질문글 남겨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러신머닝
25/02/08 16:39
수정 아이콘
같은 날에 갚으면 똑같습니다.
바카스
25/02/08 17:04
수정 아이콘
대출 상환에서 가장 중요한 건 얼마나 빨리 원금을 줄이느냐입니다. 적용이율이 같다면, 한 번에 2억 원을 상환하는 경우 잔액이 즉시 줄어들어 그 이후부터 발생하는 이자가 훨씬 적어집니다.

반면, 1천만 원씩 20번에 걸쳐 상환하면 각 회차마다 원금이 줄어드는 효과는 있겠지만, 전체 상환 완료 시점까지 높은 잔액에 대해 더 많은 이자가 누적되게 됩니다.

예를 들어, 같은 연이율이라도 초기 원금이 크면 그만큼 이자 부담도 크기 때문에 가능한 빨리 상환하는 것이 이자 부담을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다만, 몇몇 대출 상품은 조기상환 수수료나 기타 부대 비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해당 계약 조건을 다시 한 번 확인하시고 금융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요약하면, 별다른 제약(수수료 등)이 없다면 2억 원을 한 번에 상환하는 것이 이자 절감 측면에서 유리하겠지만, 투자 성향 차이이지 않을까 싶네요. 저 같으면 레버리지 감당 가능한 경우 더 굴리겠습니다.
25/02/08 17:47
수정 아이콘
중도상환수수료가 나와도 무조건 먼저갚는게 이득이죠... 이자가 얼만데요..
하아아아암
25/02/08 18:09
수정 아이콘
왜 그런 느낌이...
왓두유민
25/02/08 19:52
수정 아이콘
같은 날에 갚는데 원금이 떨어진다는 개념이 무슨 말씀이신지 잘 모르겠습니다 ;
덴드로븀
25/02/08 19:55
수정 아이콘
이체한도를 늘릴수가없는게 아닌이상 20번 나눠서 하면 엄청 귀찮죠.....

같은날에 갚으면 똑같습니다.
25/02/08 20:29
수정 아이콘
갚을 여건이 된다면, 중도상환수수료와 무관하게 최대한의 금액을 갚는것이 무조건 유리합니다
25/02/08 22:58
수정 아이콘
이해가 잘 안 가서 그러는데 천만원씩 20회 넣는다는게 20일에 걸쳐서가 아니라 같은 날 20번 넣는다 vs 2억 1번 넣는다 인건가요?
같은 날 갚는거면 어떻게 넣든 둘의 결과는 같지 않나요? 내가 상환하는건 원리금 총액이 아니라 원금이니까요.
짜부리
25/02/08 23:36
수정 아이콘
대출이자는 시간당으로 부과되는게 아니라 날짜로 부과됩니다..
타츠야
25/02/09 00:11
수정 아이콘
대출이자가 시간당으로 부과되든 날짜당으로 부과되든 이자 계산의 모수가 되는 금액을 빨리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1천씩갚을때마다 원금이떨어지니 좋지않나" -> 이걸 보니 뭔가 이자 계산식을 이상하게 생각하신 것 같네요.
김소현
25/02/10 20:50
수정 아이콘
이자율 대비해서 본인이 돈을 굴려서 이자율+현재가치할인율 만큼 더 벌 수 있으면 천천히 갚으시고요
아니면 한방에 갚아서 이자가 산출되는 원금을 줄이는게 무조건 이득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9720 [질문] 얼마전에 발매된 동키콩 게임 질문입니다. [4] Ha.록1941 25/02/14 1941
179719 [질문] 가족여행 장소 및 숙소 추천 부탁드립니다. [13] 플래쉬2319 25/02/14 2319
179718 [질문] 단거 먹고 속 느글느글한거 해소법 있을까요? [46] 그느누늉2881 25/02/14 2881
179717 [질문] 부산 기장 근방 맛집 추천 부탁드려요. [12] egoWrappin'2627 25/02/14 2627
179716 [질문] 삼성qled 보급형 vs tcl 755 [5] 교자만두2784 25/02/14 2784
179715 [질문] 부모님 건강검진 시켜드릴려고 하는데 해보신분 있나요? [7] 라리2483 25/02/14 2483
179714 [질문] 뇨끼 잘하는 집 추천 부탁드릴게요. [7] 신촌로빈훗2767 25/02/14 2767
179713 [질문] 4070Ti, i5-13600KF, 이 사양으로 32인치 4K 모니터는 무리일까요? [8] 귀파기장인3075 25/02/13 3075
179712 [질문] 갤럭시 화면녹화를 이용한 zoom회의 녹화 하루아빠2243 25/02/13 2243
179711 [질문] 소주파가 좋아하는 일본 술은? [13] Abrasax2882 25/02/13 2882
179710 [질문] 외부에서 온라인으로 컴퓨터 켜기!? [8] Part.33170 25/02/13 3170
179709 [질문] 노트북 공동구매한다는데, 아무리 봐도 구려보여서 그냥 따로 살까 하는데 어떨까요? [3] 에어컨2930 25/02/13 2930
179708 [질문] 주1일에 100, 주일에 200... 주7일에 700... [35] 윌슨 블레이드3741 25/02/13 3741
179707 [질문] [금융] 예금보다는 단기채권인가요? [2] 거북왕2941 25/02/13 2941
179706 [질문] 데스크톱 이륙 질문입니다. [12] 윤지호2591 25/02/13 2591
179705 [질문] 도수 있는 보안경 추천 부탁드립니다 :) Broccoli1971 25/02/13 1971
179704 [질문] 약 1100만원정도 개인간 계좌이체시 세금납부나 문제될 여지가 있을까요? (차량거래) [15] 걱정말아요그대4233 25/02/13 4233
179703 [질문] 아파트 전세 보증보험 가입해야 할까요 말아야 할까요 [5] 홈스위트홈3878 25/02/13 3878
179702 [질문] 이자소득 종합소득세 관련 문의 [2] Right3045 25/02/12 3045
179701 [질문] 이런 경우 돈을 얼마씩 나눠야할까요? [13] INTJ3446 25/02/12 3446
179700 [질문] 공유오피스 사업을 하려고 합니다. [6] 똥꼬쪼으기3094 25/02/12 3094
179699 [질문] 주식,투자관련)지표 중 어느 것을 우선순위로 생각하시나요? [4] 수금지화목토천해2001 25/02/12 2001
179698 [삭제예정] 어머님이 보이스피싱을 당했는데 휴대폰 좀비화? 이럴수가 있나요? [21] 승승장구3086 25/02/12 308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