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JUNG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2/12 22:51:29
Name INTJ
Subject [질문] 이런 경우 돈을 얼마씩 나눠야할까요?
친구네 회사에

학생이 교육,체험겸 근로하러 오고

회사에서 자격되는 사람들에게 강사의 자격을 주어

재단같은 곳에서 소정의 강의비를 지급하는 제도가 있다고 합니다


과외처럼 하는 것은 아니기에 같이 일하는 다른

동료 및 부하직원도 같이 알려주며 하는 것이므로

이 강의료를 적당히 분배하려 한다고 합니다.


이 친구의 경우 이미 임대 등으로 일정 기타소득이 발생하는

상황이었는데, 이 강의료가 들어오게 되면

세율이 올라가는 다음구간으로 가게 되어

세금이 추가발생한다고 합니다



예를들어 타부서는 200만원이 들어왔으면
강의자 선정된 사람이 딱히 추가소득이 없어
n분의 1  해서 40만원씩 가진다면

이 친구는 그렇게 되면 정작 본인은
추가발생 세금으로 손해를 보게 되는거죠


저는 추가세금발생한 만큼 제외하고 분배하는게 낫지 않냐 라고 말을 해줬는데

또 알게 모르게 불만이 있나봅니다.

옆 부서는 얼마씩 나눈다던데
기타소득있는건 자기 사정아니냐 같은



이런 경우 어떻게 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하시나요?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

"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
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성야무인
25/02/12 22:56
수정 아이콘
어차피 이 강의료가 들어오는 사람은 하나가 아닌가요?

사전에 3.3%으로 주는곳에서 공제 받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금액이 크면 모르겠지만

대략 10에서 30만원 사이정도라면

지정된 사람이 3.3% 공제받고

N으로 나누면 큰 문제가 없을 듯 합니다.

물론 3-4천원이 불만이다라고 하면 할 말 없겠지만

금액이 적으면 굳이 복잡하게 해봤자 회사만 피곤해 집니다.
25/02/12 23:05
수정 아이콘
종합소득세, 기타소득 관련해서

친구가 챗지피티로 계산해보니(정확하진 않겠지만)

세금 생각안하고 1/n 할 경우

자신의 몫은 걍 늘어난 세금으로 나간다고 하네요
알라딘
25/02/12 23:02
수정 아이콘
그냥 N빵하면 되요
세금 더내는거도 추가분에 대해서만 떼는건데...
불량사용자
25/02/12 23:07
수정 아이콘
세율 구간 그 정도 넘어가서 손해 보는 케이스는 극히 드물텐데요.
우상향
25/02/12 23:07
수정 아이콘
세율구간은 개인사정이라는 말이 나올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타부서 사례가 이미 있다면 1/n 분배가 일반적인 상황인데, 특정 개인의 사정으로 자기 몫이 줄어드는 걸 이해해주기는 쉽지 않죠.
세금 때문에 손해보기 싫다면 윗선과 얘기해야지 동료직원들과 분배로 다투면 좋지 않을 것 같네요.
손금불산입
25/02/12 23:39
수정 아이콘
정말로 강의료를 받아서 손해가 되는거면 안받으면 되는거 아닌가요...? 기여도가 동등한데 다른 사람분을 가져오려고 하면 반발이 안나올 수가 없을 것 같네요.
캡틴백호랑이
25/02/13 01:03
수정 아이콘
받는 사람을 다른 팀원으로 지정한 다음 나누는게 안 되는건가요?
혹시 그게 안되는거라면 본인 사정이니 그냥 n빵 하는게 맞는거 같습니다.

본인이 원래 하고 있는 임대 소득으로 인해 다른 팀원들이 손해를 봐야 할 필요는 없으니깐요.
Courage0
25/02/13 06:59
수정 아이콘
세금자체가 구간별 과세입니다
늘어난 소득에만 세율이 적용되는데 들어온 돈이 다 세금으로 나간다는 것은 말이 안되죠
25/02/13 09:57
수정 아이콘
아 들어온돈이 100이라치면
증가한 세금이 10이고
10명이 나눠서 10씩 가지면
본인은 남는게 없다 이런 느낌이었습니다
젤나가
25/02/13 08:21
수정 아이콘
제가 봤을 때는 구간 상승 자체가 문제라기보다 강의료에 대한 세금을 강의료 지급받는 사람이 전부 납부하는 게 문제 아닌가 싶은데요.
만약 세율 구간이 24%에 있다고 하면 200만원 기준으로 5명이 나눠 가진다고 할 때 1인당 나눠 받는 금액이 40만원인데 강의료를 받는 사람은 48만원을 세금으로 내야 하는 거거든요. 이런 상황이면 친구분께서 기타소득이 있건 없건 그냥 구조적으로 손해를 볼 수밖에 없어요.
어떤 분께서 3.3% 공제 얘기 하셨는데 기타소득 분리과세는 기타소득으로 받은 금액 합계가 300만원 미만일 때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만약 1년 동안 필요경비를 뺀 강의료가 3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라면 종합과세 대상이라 본인 세율 구간만큼 세금을 낼 수밖에 없어요.
개인마다 세율 구간이 다른 경우라면 생각보다 꽤 복잡한 문제입니다. 개인 사정으로 치부할 만한 문제는 아닌 것 같고 제 생각엔 친구분께서 약간 손해를 보더라도 강의료를 받는 대상 중에서 가장 낮은 세율을 적용 받는 분을 기준으로 세액을 계산한 다음 그 만큼을 제외한 부분에 대해서 n분의 1을 하는 게 그나마 납득할 수 있는 방안이 아닐까 싶은데 잘 설득을 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네요.
회색사과
25/02/13 08:26
수정 아이콘
그 손해보신다는 분이 분배의 호스트인가 했는데, (200에 대한 세금을 오롯이 맞는)
그거라면 세금 떼고 n빵이 맞을 거 같고요. (실질 소득 n빵)

세전에 나눠서 지급되는 거라면
세전 분배 금액 기준으로 기여도만큼 나눠주는게 맞고, 그 사람이 세금을 얼마 맞는지는 알빠노죠.
이혜리
25/02/13 08:41
수정 아이콘
증분되는 부분에 대한 구간별과세입니다
100만원까지 10% 였다면 120만원 번다고 20% 떼는게 아니라 초과되는 20만원에 대해서만 20% 예요.
25/02/13 09:58
수정 아이콘
답변들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9833 [질문] 서양의 취업문화에 인맥과 연줄이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는 이유가 있을지요...? [23] nexon4343 25/02/25 4343
179832 [질문]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중에 뭐가 더 유리한가요? [10] 날아라조슈아3992 25/02/25 3992
179831 [질문] 주식 트레이딩용 PC로 적당할 지 문의 [6] 타카이3150 25/02/25 3150
179830 [질문] 40대 들어서 소변에 거품이 나오기 시작했는데 [28] 상근이5590 25/02/25 5590
179829 [질문] 공인중개사 방문하는 노하우 같은 게 있을까요? [24] Aiurr3355 25/02/25 3355
179828 [질문] 회사선배 선물 질문입니다. [13] 싸구려신사2929 25/02/25 2929
179827 [질문] RTX 50 시리즈 노트북은 언제쯤 나오려나요? 삭제됨2205 25/02/25 2205
179826 [질문] AMD 라데온 시리즈는 영 못 쓸 정도로 드라이버 문제가 심각한가요? [20] 미키맨틀4092 25/02/24 4092
179825 [질문] 게임추천 부탁드려요(몬스터헌터 와일즈) [8] 나뚜루3007 25/02/24 3007
179824 [삭제예정] 예림(yerim) 이라는 이름이 영어로 발음하기 힘들까요? [11] 삭제됨3528 25/02/24 3528
179823 [질문] 부모님 영양제 (어머니) 추천 부탁드립니다 [13] EY3003 25/02/24 3003
179822 [질문] 레드 데드 리뎀션 2 남아도는 돈 어디다 쓰나요(스포) [10] 일신3889 25/02/24 3889
179821 [질문] 예전에 올라왔었던 아파트 소송에 관한 글을 찾고 있습니다. [1] 김피탕맛이쪙2744 25/02/24 2744
179820 [질문] qcy t13 시리즈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Pygmalion3094 25/02/24 3094
179819 [질문] 요즘 평일 김해공항 체크인 및 주차 질문입니다 [11] 모나크모나크3722 25/02/24 3722
179818 [질문] 아이폰 se3, 13미니, 16일반 고민중입니다. [12] 로각좁3909 25/02/23 3909
179817 [질문] 몸에 갑자기 두드러기?알러지? 반응 있는데 피부과 가야하나요 [12] Alfine3592 25/02/23 3592
179816 [질문] LOL 블루레드 밸런스를 맞출 근본적인 해결책이 있을까요? [14] 미뉴잇3375 25/02/23 3375
179815 [질문] YES24 티켓팅 관련 팁 있을까요 [2] 3628 25/02/23 3628
179814 [질문] 이 물건이 어떤 제품인지 아시는 분..? [3] SaiNT3862 25/02/23 3862
179813 [질문] 오래전에 봤던 영화인데 제목을 기억못하겠네요. [4] 마지막처럼3918 25/02/23 3918
179812 [질문] 지금 pgr 글꼴 저만 바뀐 것 같나요??? [5] 스트롱제로3928 25/02/22 3928
179811 [질문] 의자 때문에 고민입니다! 추천좀 해주세요ㅠ [3] 골드쉽3878 25/02/22 387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