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11/07 18:25:44
Name 깃털달린뱀
Subject [질문] 해외송금 시 코인으로 보내는 게 메리트가 있나요?

실제로 할 생각이나 능력은 전혀 없고 그냥 유튜브로 스테이블 코인 관련 이야기를 듣고 순수한 호기심에 질문 드려봅니다.


예를 들어 유학, 이민 등의 목적으로 해외에 있는 자기 계좌로 돈을 송금한다고 가정할 때 기존 은행, SWIFT 망을 통하면 일단 환율도 불리하고 거래 수수료도 세고 시간도 오래 걸리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냥 USDT 같은 스테이블 코인을 국내에서 매수 -> 개인 지갑 -> 해외 거래소 -> 현금화 한다면 거래비용도 훨씬 절감되고 송금 시간도 단축할 수 있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이게 실제로 워킹 할까요?

제 생각에 난관은

1. 코인으로 자금 국외 반출하는 게 불법일 수 있음
2. 개인 지갑에서 해외 거래소로 돈을 옮기는 게 빡셀 가능성
3. 여러 단계를 거쳐야 돼서 생각보다 수수료가 많이 나와서 메리트가 없을 수 있음

정도네요. 각국 정부가 돈세탁, 불법 돈 단속한다고 암호화폐 거래를 슬슬 제도권에 넣고 있는 걸로 아는데 거기서 걸리려나요?

혹시나 아시는 분 계시면 어떠한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저는 해외계좌도 없고 혹여 돈 보낼 일 있으면 차라리 비용을 더 내더라도 안전한 제도권 은행을 택할 극한의 쫄보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코카스
24/11/07 18:41
수정 아이콘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00701481 개인 송금으로도 쓰는 사람들이 있고 실제로 중소규모 무역 거래에서도 꽤 사용한다고 합니다.
타츠야
24/11/07 18:48
수정 아이콘
이건 홍보 기사일 가능성이 높네요. 100만 달러나 되는 거액을 이걸로 받다니.
그리고 기사에 나온 것처럼 매출 신고 안 하는 경우는 탈세하라는 이야기라.
모찌피치모찌피치
24/11/07 20:06
수정 아이콘
실제로 거래 많이 합니다. 그리고 거액이라고 더 위험한 것도 아니고요.
타츠야
24/11/07 20:08
수정 아이콘
그럼 궁금한 점이 있는데 매출 신고는 따로 되는 것일까요? 거액은 혹시 사기 가능성이 없을까 라는 우려인데 없나보군요.
모찌피치모찌피치
24/11/07 20:29
수정 아이콘
사기라고 하면

순전히 돈을 받는 A 입장에선 오히려 일반 은행송금보다 안전할 수도 있지만,

돈을 주고 받는 행위가 아닌 그 밖에 탈세라던가 다른 문제는 생길 수도 있죠.
깃털달린뱀
24/11/07 18:59
수정 아이콘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02599211

찾아보니까 이게 외국환거래법 위반이라는 얘기도 있어서... 잘 모르겠네요. 위법이라도 그냥 현실적으로 안걸릴테니 하는 건지... 어렵군요 이쪽 동네도.
초콜릿
24/11/07 19:00
수정 아이콘
현재로서는 1은 불법이 아닌 것으로 알고 있고요. 일단 코인은 외국환이 아니고... 금융당국에서도 이제 막 국경 간 가상자산 이동에 대해서 논의가 시작된 상황으로 알고 있습니다. (국경 간이라는 표현은 당국이 쓰는 표현이고, 실제로는 개인 지갑 간의 이동이 국내인지 국외인지 다 알 수는 없겠죠.)
2는 어렵지 않습니다. 개인 지갑에서는 당연히 옮길 수 있는 것이고, 국내 거래소에서도 트래블 룰 연동이 되어 있는 해외 거래소라면 간편하게 옮길 수 있습니다.
3도 수수료가 얼마 안 합니다. 빗썸에서는 USDT (TRON 네트워크) 수수료가 입출금 모두 무료이기도 하고, 개인지갑을 써도 충분히 작습니다.
그래서 실제로 저 프로세스가 어느 정도 돌아가고 있어서 금융당국에서도 스테이블 코인을 이용한 국경 간 자산 이동에 관해서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것이고요.
깃털달린뱀
24/11/07 19:06
수정 아이콘
음 그러니까 정리하면 거래소 -> 거래소의 경우는 트래블룰 연동된 거래소라면 바로 가능하고 아닌 거래소도 중간에 개인지갑 껴서 옮기는 게 딱히 법적, 실질적으로 제약이 없나보네요. 수수료도 싸고. 물론 앞으로는 규제가 점점 신설되겠지만요.

답변 감사합니다. 호기심이 해결 됐습니다!
유료도로당
24/11/07 19:06
수정 아이콘
해당 국가 거래소에 USDT / (해당국화폐) 페어가 뚫려있는 국가간이라면 매우 편하고 효율적이죠.
우리나라도 그게 된지 얼마 안됐습니다. 최근에 빗썸과 코인원 같은 국내 거래소에 USDT/KRW 페어가 생기면서 원화로 USDT를 사고파는게 자유로워진거죠.
깃털달린뱀
24/11/07 19:08
수정 아이콘
몇 년 전엔 쥐꼬리만한 돈이나마 바이낸스 보내겠답시고 별 이상한 잡코인으로 환전해서 보냈다가 다시 팔고 별 짓을 다 했는데 요샌 많이 편해졌나보군요.

솔직히 불법도 아니고 수수료도 싸고 거래도 빠르다면 개인 입장에선 굳이 은행 갈 필요 없는 정도긴 하겠네요.

감사합니다.
프즈히
24/11/07 21:03
수정 아이콘
사실 코인이란 것의 탄생 배경에 저런 목적도 있죠.
비트코인 백서를 보면 은행 시스템이 거래 비용을 증가시키고 소액 거래를 제한하는 문제를 야기한다고 지적합니다.
국내 은행간 계좌이체가 사실상 무제한 무료인 한국인 입장에서는 은행이 코인보다 비싸다?는게 잘 안와닿는데 어쩌다 국제송금 할 일이 생기거나 해외에서 급하게 현금이 필요해지면 자연스레 코인이 생각납니다.

말씀 주신 스테이블 코인은 조금 더 대중화 되면 거래소조차 건너뛸 가능성도 있어봅니다.
만일 누구나 usdt을 개인 지갑에 얼마간 넣어두고 있는 시대가 오면(한국에는 영원히 도래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계좌이체 필요 시마다 거래소 쓸 필요도 없어지겠죠. 그냥 개인 대 개인으로 쏴버리면 되니까요.
아르헨티나 같이 자국 통화가 불안정한 곳은 usdt보급률도 높다고 하고요.
깃털달린뱀
24/11/08 09:21
수정 아이콘
그쵸. 국내 금융시스템은 꽤나 편해졌는데 해외송금은 영 귀찮은지라. 해외에선 ATM에서 돈 뽑을 때 수수료도 비싸고.
코인 자체가 발명된 이유기도 하지만 확실히 한국에선 별로 화폐로써의 메리트가 없는 것 같긴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8606 [질문] 핸드폰 개통 내용인데 조건이 흔히 말하는 바보호X인가요? [6] 실버벨3579 24/11/14 3579
178605 [질문] 대전 가볼만한 곳 질문드려요 [10] 허저비3893 24/11/13 3893
178604 [질문] 엄무용 컴퓨터가 죽었어요ㅠㅠ [2] 휴울3995 24/11/13 3995
178603 [질문] 코인판은 어떤식으로 돌아가나요? [9] 깃털달린뱀4767 24/11/13 4767
178602 [질문] 디즈니 플러스 계정 공유 질문드립니다 [4] 리코타홀릭4360 24/11/13 4360
178601 [질문] wd 외장하드 5테라 가격 이 정도면 괜찮은 편인가요? [8] 실제상황입니다3671 24/11/13 3671
178600 [질문] 컴조립 중에 메인보드 뒷면 기스 ㅠㅠ [2] 밥과글2910 24/11/13 2910
178599 [질문] 차량 앞유리 크랙으로 인한 교체 [4] 세이밥누님3446 24/11/13 3446
178598 [질문] 연말정산 배우자공제 빼야할까요? [9] 탄야3690 24/11/13 3690
178597 [질문] 코인 떡상으로 배아파 죽겠는데 위로 좀 해주세요. [45] K55449 24/11/13 5449
178596 [질문] 바이낸스 선물 거래 질문입니다 [2] LeNTE4162 24/11/13 4162
178595 [질문] 전세 연장 관련 질문드립니다 [1] 삭제됨2593 24/11/13 2593
178594 [질문] USB 바로가기 바이러스 치료 법 [2] 라이너스3862 24/11/13 3862
178593 [질문] 갤탭 a9시리즈에 호환되는 펜 [5] 오타니3681 24/11/12 3681
178592 [질문] G카(구 그린카)의 취소 수수료 약관이 이해가 안되서 질문합니다. [5] 큐알론4202 24/11/12 4202
178591 [삭제예정] 와이프가 소파수술 받았는데 비행기 타는건 무리일가요? [12] 파쿠만사5001 24/11/12 5001
178590 [질문] 예전 pgr에서 본 글(짤)을 찾습니다 [2] 신성로마제국3486 24/11/12 3486
178589 [질문] 여대간 서열이 어떻게 되나요? [11] Mini Maggit5410 24/11/12 5410
178588 [질문] 대전 출퇴근 문의입니다. [10] Like a stone3040 24/11/12 3040
178587 [질문] 전기매트 이제품 괜찮은가요?? [3] kogang20012685 24/11/12 2685
178586 [질문] 바람의 나라 질문입니다 [11] 김경호3324 24/11/12 3324
178585 [질문] 복도식 아파트는 정말로 바람이 안 통하나요? [15] amalur4567 24/11/12 4567
178584 [질문] 게이밍 헤드셋 블랙샤크 vs MMX 300 pro vs M50x STS 모스티마2595 24/11/12 259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