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10/30 17:31:52
Name SaNa
Subject [질문] 의료21에 질문좀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여기 의료 종사자분들 많이 계셔서 몇가지 질문드리고자 합니다.

저는 평소 감기걸리면 오래가고 (특히 기침감기) 목이 자주 잠겨있고 코가 자주막힙니다.
거기다 코골이도 심한편이고 친구가 수면중 무호흡도좀 한다고 하더군요

그러다 이번 회사근처 이비인후과에서 진찰을 받았었는데 그곳 의사선생님이

코가 문제가 아니라 편도가 일반인보다 크고 목젖부분에 숨구멍이 일반인보다 작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코골이도 심할거고 역류성식도염 증상도 보인다고 합니다.
다행히 코는 크게 문제가 없었습니다.

그럼 여기서 질문이

1. 회사 다니는중인데 편도절제수술 받는다면 추천 병원과 가격대 그리고 대략적인 회복기간을 알고 싶습니다.

2. 코골이 수술과 편도절제술은 별개 인가요?

3. 수면체크? 같은걸 해주는 진료시스템이 있는걸 들었는데 추천 병원과 가격대를 알고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푸르미르
24/10/30 18:06
수정 아이콘
3번은 저는 강남 지앤지 병원에서 수면 검사 받았는데 시설 깔끔해서 괜찮았어요.
거기서 검사하면 수술 필요한지 안내해주니 한번 알아보세요.
Alcohol bear
24/10/30 18:47
수정 아이콘
저도 지앤지에서 했는데 크크
양압기 5년찹니다..
24/10/31 10:12
수정 아이콘
강남 지앤지 병원 추천 감사합니다!
manymaster
24/10/30 18:20
수정 아이콘
수면체크? 수면다원검사 말씀하시는 거죠? 이제 의료보험도 적용 됩니다.
https://sports.donga.com/article/all/20220816/114964089/2

추천 병원까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24/10/31 10:13
수정 아이콘
오 의료보험 적용되면 부담이 줄어드네요 감사합니다~
백색왜성
24/10/30 18:48
수정 아이콘
지방 쪽에서 이비인후과 전문의 갓 달고 군의관 와있습니다
1. 추천 병원은 잘 모르겠고 네트워크 병원으로 서울에 엄청 많이 있는 걸로 압니다. 보통 로컬 쪽에서는 1박2일 입원 또는 당일 통원으로 진행후 1,2일 간격으로 수술 부위 및 상태 확인 위해 외래 방문하게 되고, 가격은 포괄수가제에 적용되어 있어 그리 비싸진 않으실 겁니다. 다만 그 외에 수액이나 비급여 회복성 재료대들 사용하면 더 청구가 될 수 있습니다.
회복은 최소 1주일부터 길게는 1달 보시면 됩니다. 1주일은 연식 드셔야하고 그 뒤에도 좀 딱딱한 음식은 가급적 피해주시면 되는데 약 열흘 지나면 크게 걱정 없는 수준입니다. 첫 2,3일이 좀 통증과 삼킬 때 통증이 힘드실 거고 이후에는 상처부위에서 피가 안나는게 중요합니다.

2. 네 성인에서는 거의 별개입니다. 소아는 거의 대부분 수면무호흡증이 편도절제술로 치료되는 경우가 많다면 성인은 편도절제술만으로 해결되는 경우는 낮습니다.

3.수면다원검사는 이미 이비인후과들 많이 하고 있어서 그냥 회사 주변 또는 집 주변에서 상담 받아보시는게 좋습니다. 이것도 특정조건 만족하면 의료보험 적용되서 별로 안 비쌉니다. 퇴근 후에 병원 내원해서 옷갈아입으시고 기기 부착하고 주무시고 다음날 6시경 기상해서 부착한 기계 떼고 퇴원하는 구조입니다
24/10/31 10:15
수정 아이콘
오 궁금한거 대부분 해결됐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러면 3번부터 진행해보고 거기서 추천해주는 방법을 선택하면 되겠습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GregoryHouse
24/10/30 20:11
수정 아이콘
비슷한 증상 있었고 수면검사 후 양압기 사용 중에 있습니다
제 경험담으로는 
1. 수술을 하진 않아 잘 모르겠습니다
2. 제 경우에는 코골이나 무호흡은 일시적 호전이 있을 수 있으나 성인 이후에는 수술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증상이 다시 나오는 경우가 잦다고 하면서 비수술적 치료를 우선적으로 해볼것을 권하셨습니다
3. 수면다원검사는 이비인후과에서 많이 하는데 어디서 하시든 큰 차이는 없고 13만원 정도 들었고 실비보험처리 되었습니다

양압기 사용 후 코골이 무호흡 모두 무증상에 가깝게 개선되었고 수면의 질이 매우 좋아져서 만족중입니다
24/10/31 10:18
수정 아이콘
아하 최대한 수술보다는 비수술적 치료가 선결되어야겠군요

일단 수면다원검사부터 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서낙도
24/10/31 16:49
수정 아이콘
양압기 사용 후 새 삶을 살고 있습니다.
새 삶을 살게 한 몇가 지가 있는데. 양압기가 최고네요..
처음엔 임대해서 쓰다고 지금은 구매해서 씁니다.
24/11/01 20:35
수정 아이콘
양압기 효용이 그정도예요? 알아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10687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3682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3336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6438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8328
181050 [질문] 엑스박스 발로란트 질문입니다. [1] 바람의 빛308 25/07/03 308
181049 [질문] 아이폰/아이패드 상단바 부분 누르면 스크롤 최상단으로 올라가는 거 끄는 법이 있나요? liten445 25/07/03 445
181048 [질문] 러시아어를 배우려고 하는데 왕초보라서 어떤 책을 봐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미키맨틀517 25/07/03 517
181047 [질문] 둘중 한명의 선수로 살아볼수 있으면 누가 더 매력적이세요? [11] 마르키아르1020 25/07/03 1020
181046 [삭제예정] 바르셀로나 vs FC서울 경기 티켓 구하시는분 있을까요? [4] 삭제됨1122 25/07/03 1122
181045 [질문] [사진첨부] 해당 나무의 이름이 뭘까요..? [1] 해버지1089 25/07/03 1089
181044 [질문] 원피스는 만화와 애니가 동시 진행일까요? [6] 회색사과1074 25/07/03 1074
181043 [질문] 위내시경 비수면으로 하면 큰일날까요....? [45] EnergyFlow2259 25/07/03 2259
181042 [질문] 사진보관용 외장하드에 대해질문드립니다. [9] 천우희1986 25/07/03 1986
181041 [질문] 뇌전증(간질) 약은 하루 12시간 간격을 꼭 지켜야하나요? 30분-1시간 정도 약 먹는게 늦어지면 위험한가요? [5] Succession2376 25/07/02 2376
181040 [질문] 정말 오래된 차인데 와이프 출퇴근용으로 타려합니다.이런 저런 질문즘 드립니다 [6] 하이킹베어2490 25/07/02 2490
181039 [질문] 선물용 양주 추천 부탁드립니다. [14] 우엉징아리2398 25/07/02 2398
181038 [질문] PC 견적문의 드립니다. [9] 종합백과1653 25/07/02 1653
181037 [질문] 옷(브랜드) 관련 질문입니다. [17] AquaMarine1225 25/07/02 1225
181036 [질문] 인터넷 전화기에 블루투스 이어폰을 사용하고 싶습니다. [2] 귀여운호랑이610 25/07/02 610
181034 [질문]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 1인당 최대 30만원 환급 [6] 유포늄1803 25/07/02 1803
181033 [질문] 붕괴 스타레일 질문.. [4] 속보859 25/07/02 859
181032 [질문] PC에서 무선으로 쓸 게임패드 추천 부탁드려요! [18] 꽃이나까잡숴1313 25/07/02 131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