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JUNG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1/04 12:34:07
Name 보리야밥먹자
Subject [질문] 한달에 모바일게임에 14000원 현질하면 많이 쓰는편인가요? (수정됨)
저는 어느 모바일게임에 한 번에 7천원, 그것도 정말 어쩌다 3배수 쿠폰이 나왔을 떄만 그걸로 그렇게 현질하고

그마저도 그러는게 한달에 딱 두번을 절대 넘어가지 않아서 결국 한달에 14000원 정도 현질하는 셈인데

저 정도면 모바일 게임에 돈 많이 쓰는편인가요?

근래 모 국내 게임회사의 괴작들같이 현질을 어나더레벨로 안하면 제대로된 플레이 자체가 안되는 게임들은 예외로 해주시고 답변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

"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
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토끼공듀
24/01/04 12:37
수정 아이콘
뒤에 0이 하나 더 붙어도 많이 쓰는 것은 아닐껍니다.
Jurgen Klopp
24/01/04 12:39
수정 아이콘
소과금 축에도 못들걸요
늘새로워
24/01/04 12:39
수정 아이콘
소소한데요? 요즘 학생들도 그보다 많이 쓸걸요?
그린티미스트
24/01/04 12:41
수정 아이콘
취미생활이고 14,000면..그냥 공짜 아닌가요..
24/01/04 12:45
수정 아이콘
모든것은 수입에 비례한다지만

성인남성 기준 한달 15000원 정도는 쓸수있죠 충분히

20년전 바람의나라 한달 정액도 2만9천원쯤 했었는데요
Rorschach
24/01/04 12:47
수정 아이콘
영화 한 편 값이니 많이 쓰는건 아니죠. 요즘 어디가서 냉면 한 그릇 먹어도 12000원씩 하는데요 흐흐
24/01/04 12:48
수정 아이콘
극장 가서 영화 한 편 봐도 그거보다 많이 나오는거 생각하면 많다고는 못 말하죠
류지나
24/01/04 12:52
수정 아이콘
원신 같은 게임에서라면 달 14000원은 무과금하고 동급 취급 받습니다.
덴드로븀
24/01/04 12:53
수정 아이콘
https://www.gameple.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1948
[모바일게임 유저 줄고, 1인당 과금은 늘었다] 2022.03.11

1인당 거래액 최고점은 작년 11월로, 1인당 3만 원에 가까운 금액이다.
현재 역시 2만 3천원 가량으로 전년에 비해 높은 거래액이 표시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611794?sid=102
[韓 모바일게임 지출 '세계 1위'…이용자 90% 이상이 MZ세대] 2021.10.04.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기준으로 올 상반기 기기 1개당 게임 소비 지출액은 월평균 13달러(약 1만5185원)로 집계

모바일게임 과금러 평균치 보다 약간 아래 정도의 금액인것 같습니다.
은때까치
24/01/04 14:00
수정 아이콘
저거 과금러가 아니라 유저 (=과금러+무과금러) 1인당 과금액 같은데요?
그래프엔 문제가 없는데 그걸 해석한 기사에 오류가 있는걸로 보입니다.
코기토
24/01/04 12:59
수정 아이콘
지금 금액은 청소년이어도 부모님들이 인정해주실만한 건전한 액수라고 생각합니다.
24/01/04 13:01
수정 아이콘
한끼 밥+커피 값인데 충분히 쓸 수 있다고 봅니다. 술담배 하시면 조금 줄이면 되고 안하시면 술담배도 안하는데 그정도 충분히 쓸 수 있고요.
24/01/04 13:05
수정 아이콘
그정도는 무과금급..
24/01/04 13:09
수정 아이콘
무과금인데요?
은때까치
24/01/04 13:10
수정 아이콘
무과금과 과금 사이에는 넘을수 없는 인식의 간격이 있어서 이걸 평균 금액으로 따지는게 맞나 싶긴 하지만
과금러 사이에서는 저 돈은 대단히 매우 적게 쓰는거긴 하죠. 진짜 커피 2잔값이니까요.
전체 게이머 중에서는 대충 중간 정도 (0원이 절반정도 있을테니), 과금러 중에서는 하위 1% 정도가 아닐까 합니다.
24/01/04 13:15
수정 아이콘
거의 무과금이죠..
24/01/04 13:20
수정 아이콘
저도 그정도 쓰는데.. 한창때 다른게임 할때는 한달 10만원도 쓰고 했던 기억이 있기는 합니다.
주관적으로 한달 10만원까지가 소과금과 일반과금의 경계가 아닌가 싶어요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4/01/04 13:22
수정 아이콘
10만원 밑으론 무과금임 솔직히 크크
24/01/04 13:26
수정 아이콘
이게 가능한 거군요.. 돈계속 쓰게되서 모바일 게임 아예안하는 크
파르셀
24/01/04 13:28
수정 아이콘
전혀요
아이힌트
24/01/04 13:29
수정 아이콘
10만원 밑으로는 무과금이라고 생각합니다. 30만원 밑으로는 소과금이구요
플레인
24/01/04 13:37
수정 아이콘
사실상 무과금이죠. 미성년자셔도 가능
24/01/04 13:41
수정 아이콘
14000원 이면 치킨 한 마리도 안 되는데...무과금이죠
전 꽤 과금하다가 육아 중이라.....이제 기본 정도 패키지만 하는데 1달에 10 정도 합니다
절대불멸마수
24/01/04 14:21
수정 아이콘
게임현질에 한푼도 안쓰는 유저가 50%정도 된다고 댓글에서 읽었는데,

1원 이상이면 중간값을 넘는거죠.
사실 모든 사람이 게임을 하는 것도 아니니, (대충 절반 한다고 보면)
1원 현질을 하는 순간 상위 25%가 되는 걸로 생각되네요.

그게 큰 금액이냐 적은 금액이냐는 개인의 소득을 고려해서 답변해야겠지만요
왕립해군
24/01/04 14:22
수정 아이콘
패스 하나 사는 수준이면 뭐..
24/01/04 14:47
수정 아이콘
인터넷에선 하위권
현실에선 평균이상일겁니다.
페로몬아돌
24/01/04 15:02
수정 아이콘
과금 취급도 안해줄겁니다 크크크
아따따뚜르겐
24/01/04 15:05
수정 아이콘
14000원이면 게임 하나 월정액 넣는 수준인데, 보통 모바일 게임 하는 사람들 여러개 합니다.
24/01/04 15:16
수정 아이콘
아니요 저는 이달에 이미 15만원 박았습니다 띠로리..
애기찌와
24/01/04 15:34
수정 아이콘
14,000원이면..스팀으로 게임모으기하는 게이머들에게도 못미치는 축이 아닐까요 하물며 모바일 가챠라면..
24/01/04 15:38
수정 아이콘
무과금이라 보시면됩니다... 소과금도 아니세요...
모나크모나크
24/01/04 15:47
수정 아이콘
저게 많은 거면 모바일 게임 회사들 다 망합니다 ㅠ.ㅠ
24/01/04 15:51
수정 아이콘
무과금입니다
24/01/04 15:51
수정 아이콘
월정액 유저고 보통 이 유저 과금액이 5천~2만입니다.진짜 딱 즐기는 것만큼 내고 계시는 겁니다.
Far Niente
24/01/04 17:24
수정 아이콘
이걸 소과금도 아니라고 보는 시각이 지배적인 걸로 봐선 상식이 무너진 사회 같습니다..
24/01/04 17:38
수정 아이콘
게임(남의 저작물)을 이용하는데에 돈을 쓰는것이 잘못된것이 아니라는 인식이 바로섰기에 상식이 제대로 선 사회라고 봅니다.
Far Niente
24/01/04 17:41
수정 아이콘
무슨 무과금을 복돌이처럼 말씀하시는 데 모바일 게임에 돈을 쓰는 건 선택이죠
말씀하신 건 패키지게임에나 해당되는 얘기고 흔히 말하는 '과금'은 게임을 사는 게 아니라 게임 내 재화를 사는 개념인데
가챠에 수백씩 녹이는 게 상식이 제대로 선 건지는 잘 모르겠네요
24/01/04 18:00
수정 아이콘
(수정됨) 본문이 가챠에 수백씩 녹인다고 하면 위의 댓글들 모두 뭐라고 했겠죠.
하지만 월 17000원을 쓰는데 소과금도 아니라고 표현하는걸 상식이 무너진 사회라고 말씀하시는게 이상한거죠.
Far Niente
24/01/04 18:14
수정 아이콘
월 17000원은 과금도 아니라는 생각에 의아해하는 게 이상한건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과금은 과금이고 그게 상식인데.
24/01/04 18:22
수정 아이콘
위에 과금도 아니라고 하는말을 액면그대로 받아들이시면 곤란하죠. 보통 과금한다라는 단위 대비 지극히 적다라고 에둘러서 표현한걸 [17000원을 쓴건 돈을 아예 안쓴것이다]라고 해석하시면 어쩝니까
위에 그런식으로 댓글단 수많은 분들이 숫자도 셀줄 멍청이들이라 그런게 아니잖아요
24/01/04 18:51
수정 아이콘
맥주 그게 술이냐?라고 하는거랑 같은겁니다.
애주가들에겐 음료수처럼 느껴져서 한 말이지만 실제로 술이 아니다라는 뜻은 아니잖아요
열혈둥이
24/01/06 18:12
수정 아이콘
한달 취미생활에 만칠천원쓰는데 많이 쓰는 건가요? 라고 물었을때도 같은 대답이 나올거같은데
님은 그때도 상식이 무너진 사회라고 생각하실것같나요?
편견은 누가 가진지 다시한번 생각해보시죠
24/01/04 21:04
수정 아이콘
사회수준이 올라갔고 취미생활로 돈을 쓰는 범위도 굉장히 늘어났죠.
예전에 아이나 결혼으로 소비되던 돈들이 이제는 절반넘게 본인들에게 쓰이고 있는 상황에서는 오히려 이게 상식적일 수도 있습니다.

"어 나 취미에 한달에 만칠천원써" "그게 돈쓰는거냐?!" 이런거죠.

오히려 이런 커뮤니케이션이 상식일 수도 있습니다. 그냥 커먼센스죠.
저기다 대놓고 돈썼잖아 이게 돈쓴거아니냐고 따지면서 와 상식이 무너졌네 하면 이게 더 이상해지는게 아닐까요.
24/01/04 22:38
수정 아이콘
치킨 3만원시대에 이미 상식은 무너진 사회 맞습니다.
14000원 과금한거 가지고 호들갑 떨거 까지야... 1400만원 과금한것도 아니고....
Far Niente
24/01/04 23: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벌점 2점), 표현을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네~ 다음
24/01/07 06:07
수정 아이콘
사회 무너지기 쉽네요
24/01/04 20:58
수정 아이콘
무과금이네요 혹시 엠파이어앤퍼즐이라는 게임을 아십니까?
라라 안티포바
24/01/04 22:26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한달에 1.4만원이면...
패키지게임 다작하는 웬만한 분들보다 적게쓰실것같은데요;
같은 예산이면, 세일가 3.5만원짜리 게임사면 2.5개월간 아무 게임도 구매못하는 셈입니다.

아 작성자분을 늦게봤네요. 이분이셨구나...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4425 [질문] 이 중국술 이름 아실까요? [4] 비탈리샤콘느7355 24/01/11 7355
174424 [질문] 코딩하는데 Gpt4가 낫나요? [7] 붕붕붕8928 24/01/11 8928
174423 [질문] 성당을 처음 가볼려고 합니다... [11] 쩜삼이6867 24/01/11 6867
174422 [질문] 테블릿 추천 부탁드립니다! (용도기재) [6] 루체른6850 24/01/11 6850
174421 [질문] 7시간 이상 침대에 누워있으면 등이 아픕니다. [9] 10000s7875 24/01/11 7875
174420 [질문] 사무실 공유 폴더를 클라우드 서비스로 전환하는 방법 [9] stayclever7995 24/01/11 7995
174419 [삭제예정] 육아휴직 부정수급 신고 [5] 삭제됨7075 24/01/11 7075
174418 [질문] 사무실 업무용 중고 노트북으로 괜찮을까요 [9] 고드방7414 24/01/11 7414
174417 [질문] 컴퓨터 견적 문의. [16] 킹다람쥐7983 24/01/11 7983
174416 [질문] 짜파구리 물조절 질문드립니다. [7] 부처7640 24/01/11 7640
174415 [질문] 외계+인 2부 보기 전에 1부 봐야하나요? [7] nekorean7280 24/01/11 7280
174414 [질문] 싸구려 태블릿 추천부탁드려요 [5] 월터화이트9480 24/01/11 9480
174413 [질문] 일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24] 오하이오8837 24/01/11 8837
174412 [질문] 일본어 번역 관련 질문드립니다. [2] 예루리7525 24/01/10 7525
174411 [질문] 모바일쿠폰 발행에 관련해서 IT 잘 아시는분 자문을 구합니 [5] op..5628 24/01/10 5628
174410 [질문] k-매카시즘의 말로는 어떻게 될까요? [9] Keepmining7076 24/01/10 7076
174409 [질문] 신생아 지원 혜택 받으려면 조건이 있나요 [16] Alfine7376 24/01/10 7376
174407 [질문] 일본어 회화 빨리 좋아지는방법이 있을까요? [16] 콩순이6260 24/01/10 6260
174406 [질문] 유사과학을 흘러듣는 자세 [11] Beam87112 24/01/10 7112
174405 [질문] 데이터함께쓰기 유심을 꽂은 폰으로 테더링 사용 가능한가요? [2] 오드폘6476 24/01/10 6476
174404 [질문] 서울 일식당 추천 부탁드닙니다 [4] 무딜링호흡머신4915 24/01/10 4915
174403 [질문] 컴퓨터 견적좀 봐주세요! [4] 쪼아7611 24/01/10 7611
174402 [질문] 임기제 공무원에 대해? [5] 흰둥7525 24/01/10 752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