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23/05/24 20:57
나온지 반년도 안된 서비스에 책까지 나오는건...그것도 신뢰성이...
커뮤니티 참고해서 그냥 해보시면 됩니다 그게 이해가 제일 빠르고 결과에 대해서 검증하고 해보시면 됩니다 빙챗도 챗지피티 기반이고 해당내용에 인터넷 검색결과까지 근거들어 답변을 줍니다
23/05/24 21:55
저도 책 매니아라 이것저것 찾아봤는데
차라리 유튜브가 더 건질게 많았습니다. 책은 화제성을 이용해 한탕해보려는 게 너무 많아서 찾다 포기함
23/05/24 22:56
pgr에서 어느 분이 추천해준 서울시 자료가 저는 좋았습니다.
얼마전 개정판도 올라왔네요. https://sdf.seoul.kr/research-report/2077
23/05/25 09:48
먼저 다음의 질문들에 답해보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1. AI 원리에 관심이 있느냐? 응용에 관심이 있느냐? 2. 수학과 통계학에 대한 기반 지식이 어느정도인가? 간단한 코딩을 할 수 있느냐? 3.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관심이 있느냐? 아니면 음성 및 언어처리에 관심이 있느냐 일단 간단한 코딩을 할 수 있으면 책 한 권 보면서 ai 코딩 따라해보는 것이 좋은 것 같아요.
23/05/25 11:56
세부적인 정리 감사합니다.
1. AI 원리에 관심이 있습니다. 제가 직접 응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을 이해하고 다른 사람을 통해서 활용할 수 있는 학습정도를 원합니다. 2. 수학과 통계에 대한 기본 지식이 있습니다. 간단한 코딩은 못합니다. 3. 다양한 데이터에 관심이 있습니다.
23/05/25 11:15
23/05/26 19:50
저도 조금 찾아봤었는데, 관련되어서 IBM / 구글에서 설명 잘되어있는 유튜브 영상들이 많더라고요. 다른 개인 유튜버들보다는 이러한 대형 회사들에서 올리는 유뷰트 영상들이 그래도 사전 검증도 잘 했을거고 너무 Hype되지 않은 시선으로 AI의 현실에 대해서 설명해줘서 좋았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