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20/09/28 13:51
세대를 이어가야 한다는 본능적 무의식의 발현이 아닐까요?
내가 살아나서 또 붕가붕가해서 아이를 낫는 것 보다는, 이미 태어난 녀석이 앞으로 살아가는 게 더 효율적이기도 하고... 그런 의미에서 저는 저런 상황에서는 노인을 먼저 구하는 것에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20/09/28 13:55
읽어보긴 했는데.. 위기에서 아이들을 구하는 인간심리를 그저 본능이나 유전자에 적혀있어서 라고만 말하고싶지는 않아서요. 물론 그 요소도 있겠지만요.
20/09/28 14:05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7080401032712000001
이런 책이 있네요. 제가 전문가는 아니지만 아이를 어느정도 소중히 하는 것은 본능이고 타인의 아이를 구하는 것이 내 목숨을 걸 정도의 일이라는 정도의 가치관은 교육에 의한게 아닐까 합니다.
20/09/28 14:34
바로위에 책 소개해 주셨네요.
원래 인간은 성인 되기 전엔 사람 취급 못받는게 보통이었습니다. 연애결혼 이런 것도 부르주아들이 만들어낸 거고 (연애는 하지만 결혼과는 별개)
20/09/28 16:06
일단은 적으신것에 대한 것들 전부 다 포함이죠.
사회적 동물은 자신의 아이가 소중하듯 남의 아이도 소중한것이고, 그러기에 각자 자신의 아이만 지키는게 아니라, 전부가 다 같이 지키는 것이죠. 모성본능과 같은 사회적 동물들의 본능입니다.
20/09/28 17:29
저도 문제 상황에서 사람들이 항상 아기를 먼저 말하는 것 볼 때마다 신기했고 저도 정확히 딱 저러한 선택지들을 생각 해봐서 많이 공감되는 질문이네요. 크크크 저는 우선순위를 꼭 정해야 한다면 대체적으로 아기보다는 노인 분들을 우선 시 하는 편이라 유독 더 의구심이 생기는 편이기도 했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