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20/09/17 09:48
https://mdphd.kr/100
궁금해서 검색해보니 이런 포스팅이 있네요. 간단히 요약하자면 "의사"는 면허고, '학사, 석사, 박사'는 학위라서 범주가 다름. 의학 석사와 의학 박사는 의사 중에서도 '의학에 대한 학문적 연구'를 원하는 의사들이 따는 학위로 의사 면허와는 아무 상관없음.
20/09/17 09:49
타과는 석박사를 하려면 다른 취직 등의 기회를 버리고 추가로 수 년의 시간과 비용을 들여서 인생을 갈아넣어야 합니다.
주위 의사 친구들을 보면 의사들은 레지턴트 하면서 석박사 과정을 진행하기 때문에 어차피 갈리는거 정신만 조금 더 갈리면 되는거라 그냥 레지턴트하면서 박사까지 같이 진행을 많이 하더군요
20/09/17 10:00
석박통합과정이 생긴이후에는 군의관 또는 전역후 펠로우까지 하면 무난하게 박사딸 수 있긴합니다.
물론 박사논문의 경우는 심사가 생각보다 까다로워서 날로먹기는 쉽지않습니다.
20/09/17 10:06
석.박사를 위해 학교에 더 남아야하는자
vs 어짜피 안해도 학교에 더 남아있어야하는자... 후자가 학교에 있는김에 할 확률이 더 높겠죠 흐흐흐
20/09/17 11:50
대학병원 남고 싶으면 최소 석사학위는 따놔야 되고, 박사 진행 중이어야 합니다. 요즘은 대학병원이 일도 많고 책임도 많고 소송도 잘 걸리는데 월급은 대기업 과장 정도라 인기가 떨어져서 학위 많이 안 따는 추세입니다.
20/09/17 12:27
학교에 교직으로 남으려면 PhD가 있어야합니다. PhD없이 임용되더라도, 꼭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요. 교직 남을 생각이 없으신 분들은 대학원가는것 자체를 귀찮아하시는 경우도 많습니다.
20/09/17 13:22
개인적으로 연구하는 자연계열에서 MD PhD가 최고라고 생각하는데 임상쪽에서도 전문의하려면 공부를 더 해야하니까 학위까지 따는 게 아닐까욧
20/09/17 13:46
요즘은 대학병원 남을 생각 없으면 잘 안 합니다
해도 석사 정도까지만... 그리고 의전 나오면 자동 석사라서 대학원 간다고 하면 박사과정으로 가게 되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