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3/20 08:47:12
Name 하나둘셋
Subject [질문] 이런 상황에서 퇴직금 DC형 vs DB형
주변에 다 DB만 있고  DC에 대해 잘 아는사람이 없어   글써봅니다
관심을 가지게돈건 최근 주가가 많이 떨어져서 투자를 하고 싶은데  현금이 없는 그지라 그렇습니다


제 연봉은 현재 대략 6~7천이고  만 7년 회사 다녔고 대략 13년은 더 다닐거라 생각합니다      
퇴사시점의 제 연봉은 8천~9천 정도를 예상합니다  (대기업이긴 하나 워낙 상승이 없는회사고 업계도 불황이고..)


수중에 현찰은 1도 없고 주식같은걸 사고싶은데 방법이 없어서요

누군가는  안정적인 회사면 DB가 낫다는데   안정적이긴 하고요..
대신 제가 돈이없어서 이기회에 투자를 안하면 안될거같고 그렇습니다

DB는 퇴사시점의 연봉 x기간으로 알고있는데   DC로가면 퇴사시점의 연봉은 안중요해지는건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3/20 08:51
수정 아이콘
dc는 월급의 1/12를 적립해 주는 제도 입니다
현재까지의 금액은 최근 3개월간 평균 월급 X 근속연수로 DC 계좌로 납입해주고 이후로의 월급 및 상여금은
1/12만큼 퇴직연금 계좌로 꽂아줍니다

DB는 퇴사 시점을 기준으로 3개월 평균 월급 X 근속연수로 지급 됩니다

DB에서 DC로 퇴직연금 전환은 가능하나 DC에서 DB로는 불가능 합니다

만약 내 평균 임금 상승률이 4프로라면 퇴직연금 수익률도 편하게 4%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DC로 퇴직연금을 운용해서 내 임금 상승률보다 높게 갈 수 있다면 DC 아니면 DB로 가야 되나
대부분의 직장인이 임금 피크제를 지난 시니어가 아닌 이상 수익률이 임금 상승률을 넘기 힘들지 싶습니다
회색사과
20/03/20 10:18
수정 아이콘
BTK 님이 잘 설명해 주셨지만

DB 는 퇴직 시점의 기준 월급 * 근속 연수로 몰아주는 거고
DC 는 해마다 그 해 기준 월급으로 정산해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운용에 대한 책임과 주체는 받는 분께 있는 거구요.

연봉이 안정적으로 오른다 or 인상률 이상 잘 굴릴 자신 없다 —> DB 하시면 됩니다.
20/03/20 11:46
수정 아이콘
사회 초년생의 경우 승진 & 연봉이 오를일이 많기 때문에 무리해서 DC로 하지 않아도 될 것 입니다.
하지만, 어느정도 직책이 있고 승진과 연봉이 오를일이 크지 않을 경우에는 DC의 변환도 고려해볼 필요는 있습니다.

저도 주변에 물어보면 사회 초년생일 경우에는 DB로 한 다음에 경험을 쌓아서 DC로 전환을 권유하기는 합니다.

만약 DC로 전환하고 싶다면, 일희일비 하지 마시고, 길게 생각하시길 바랍니다.
퇴직연금 관리하는 은행 담당자에게 연락해서(회사에서 물어보면 알려줍니다.) 최근 추천 포트 폴리오 받으신 다음에, 결정해보시길 바랍니다.
김소현
20/03/20 14:26
수정 아이콘
연봉인상률이 연 2프로만 넘어도 몇년간은 무조건 DB라고 봅니다.
(시중금리 2프로이상은 몇년간 없을것 같다는 예상입니다.)
설마 DC형으로 직접 굴리셔서 연봉인상률 이상의 돈을 복리로 불릴 자신이 있으시다면 DC고요.
DC형으로 직접 굴리지 않고 예금만 해놓는다면
현재 우리나라의 모든 은행은 퇴직금을 받아서 그냥 정기예금에 부어놓고 방치해놓는 현실입니다. 그래놓고 운용수수료 떼가죠..
왜 그렇게 하냐고 물어보니 대다수 근로자들이 신경도 안쓰는데다가, 원금손실 안나는 방법이라고 하죠.
20/03/20 15:37
수정 아이콘
DC는 매년 정산받기떄문에 퇴사시점의 연봉은 별로 중요하지 않죠..

개인적으로 퇴직금 자체가 투자목적으로 만들어진게 아니기 때문에 정산은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애초에 중도퇴직금 정산 받는거 자체가 특정사유 아님 허가되지 않을꺼에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3276 [질문] NBA 2K 시리즈를 대체할만한 농구 게임 추천해주세요. [15] 톨기스6865 20/03/20 6865
143275 [질문] 갤럭시s20의 기능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9] 소이밀크러버4044 20/03/20 4044
143274 [질문] 환율이 얼마나/며칠간 떨어질까요? [11] 한걸음4800 20/03/20 4800
143273 [질문] 운전중 들을수 있는 유튜브 추천 부탁드립니다. [6] 노젓는뱃사공4665 20/03/20 4665
143272 [질문] 이런 상황에서 퇴직금 DC형 vs DB형 [5] 하나둘셋4056 20/03/20 4056
143270 [질문] 다리 근육통 탐브레디4811 20/03/20 4811
143269 [질문] 마우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5] 잘생김용현3913 20/03/20 3913
143268 [질문] 하이드로콜로이드(습윤패치) 질문입니다. [3] 오프 더 레코드3370 20/03/20 3370
143267 [질문] 과민대장증후군 질문입니다 [13] 하위1%3723 20/03/20 3723
143266 [질문] 컴 업글 메인보드 질문드립니다 [4] Lakto3546 20/03/19 3546
143265 [질문] 우리나라 주택별 특징을 다룬 책 추천부탁드립니다. 므라노3230 20/03/19 3230
143264 [삭제예정] 어린 아들 키우면서 화나는 문제 (삭제예정입니다) [17] 삭제됨6841 20/03/19 6841
143263 [질문] 오픽 인강 들어야할까요? [1] 맹물3202 20/03/19 3202
143262 [질문] 아웃도어 브랜드 츄리닝 추천 부탁드립니다. [4] 피를마시는새3693 20/03/19 3693
143260 [삭제예정] 화재 손해배상 변호사 선임비용 관련 질문입니다. [9] 커티삭5954 20/03/19 5954
143259 [질문] [LOL] 스킬 판정 질문.. [3] 지수4127 20/03/19 4127
143258 [질문] [lol]클라이언트 업그레이드 하고서 게임 시작이 안되네요. [10] 연휘가람4388 20/03/19 4388
143257 [질문] 어머니께서 쓰실 통증 적은 마우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12] 티타늄4284 20/03/19 4284
143256 [질문] 최근 경제 위기는 코로나 때문인가요? [8] 박수갈채4819 20/03/19 4819
143255 [질문] 5~10만원 선에서 무선이어폰 추천 부탁드립니다. [30] 아카데미5237 20/03/19 5237
143254 [질문] [LOL] 이런 상황이면 정글은 무죄일까요? [21] 호아킨4292 20/03/19 4292
143253 [질문] 인터넷과 IPTV를 교체하려고 합니다. 현재 유플러스입니다. [5] 시지프스3687 20/03/19 3687
143252 [질문] (주식주의) 앞으로 호재가 뭐가 있을까요 ㅠㅠ? [18] 실천5213 20/03/19 521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