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5/06 23:58:47
Name nexon
Subject [질문] 모범생(?)이 잘 안 되고 불량학생(?)이 잘 되는 사례와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일반적인 가정에서는 자녀가 부모님과 선생님 말씀 잘 듣는 착한 모범생이기를 원해서

공부 열심히 하고 말썽 안 일으키고 전문직이나 좋은 직장 들어가서 꾸준하고 안정되게 살기를 바라는데요..

종종 성실하게 살았던 학창 시절 모범생들이 사회인으로서는 평범 혹은 여유 없이 어렵게 사는 경우가 있고

오히려 학창 시절 내내 문제아에 말썽부리고 친구 괴롭히면서 살았던 불량학생이 큰 돈을 벌거나 사회적으로 성공해서 편안히 사는 경우가 발생하는 사례가 있어서요..


물론 근면성실히 부모님과 선생님 말씀 잘 듣고 표준적인 성공코스를 따라가는 것이 유망한 사회인으로 살아갈 가능성이 높을 것이고

반항적인 문제아로서 규칙 무시하고 사회규범에 적응 못해 갈등 일으키다 보면 결국 안정된 직장을 얻지 못하고 나이 들어서야 후회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지만,

현실적으로 맡은 일과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고자 했던 모범생이 실패하고, 책임감이나 원칙에는 무관심했던 불량학생이 성공하는 현상이 존재한다면

실제로 사례를 목격하셨고 또 그 원인은 무엇 때문에 나타난다고 보시는지요...?


늦배운 도둑 밤새는 줄 모른다는 식으로 모범생이 나중에 나쁜 일에 빠졌다거나

불량학생이 개과천선 혹은 연예인으로 성공, 부모의 재산을 물려받는 경우가 아니라면

그 두 부류의 삶을 달라지게 하는 원인은 무엇 때문이라고 보아야 할까요...?


실패하는 모범생은 어떤 경우에 어떻게 해서 실패하는 것이고, 성공하는 불량학생은 어떤 경우에 어떻게 해서 성공하는 것일까요...?

(예컨대 모범생은 도전을 안 하지만 불량학생은 공부에 무관심했을 뿐 원래 머리가 좋은 사람이라든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Chandler
19/05/07 00:1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시대가 바껴서 공부와 대학진학이 경제적 이익과 직결되지 않아서...라고 봅니다. 인문계라면 더더욱 그렇다고 생각하고요. 순수하게 인문계 대학입학만으로 얻는 경제적 이익만 놓고 보면 4년+알파의 시간동안의 등록금 학비 기타 기회비용대비 인문계 대학입학으로 갈 수 있는 직장의 임금차이가 음....대기업 취직도 점점 장담하기 어려워졋고...공부를 잘하던 아이니깐 입학이후에 타 시험이라도 붙지 않는다면 예전 같이 대학입학만으로 인생이 보장되지가 않죠.. 의치한같이 일자리가 보장되는 특수경우가 아니라면요..

뭐 그럼에도 공부잘해서 대학잘가는게 절대 나쁜건아니겠지만 예전보다는 순수하게 돈버는거에 있어선 영향력이 많이 줄어들은건 사실인거같습니다.

결국 전문직으로 가는게 아니라면 인생실전에선 공부능력보다는 사회기술이 더 중요할 확률이 높을거같아요.

다그런건 아니겟지만 공부를 게을리 한 아이는 그외 사회능력이 더 나을가능성이 어느정도는 상관관계로 있지 않을까 싶네요.
펠릭스30세(무직)
19/05/07 00:39
수정 아이콘
드문 경우니까 눈에 띄는 겁니다.

모범생이 사회적 능력이 떨어지고 불량학생이 사회적 능력이 뛰어나니까 가능했겠지요.

불량학생이 큰 돈을 벌 가능성은 높다고 생각합니다. 리스크를 감수할 확률이 높으니까요. 그리고 거기서 망한 99명의 불량학생은 그냥 잊혀진 거구요.
19/05/07 02:09
수정 아이콘
여기에 한 표.
무난한 삶은 와닿지 않으니 묻히는거죠.
파핀폐인
19/05/07 10:01
수정 아이콘
저도 이거 한 표
19/05/07 11:21
수정 아이콘
저도 공감해요...
저도 제 주변 지인들 케이스로만 봤을 땐 그냥 금수저일수록 좋은 환경에서 교육받아서 인성도 괜찮고 성적도 괜찮고 탄탄대로...인 경우가 더 많아서요... 내 주변에 학창시절 쓰레기로 살아놓고 20~30대 와서 성공적인 삶을 살고 있는 케이스가 있던가 곰곰히 생각해봐도 전 없습니다... 그리고 뭐... 그런 쓰레기가 있다고 하더라도 아예 연락이고 뭐고 상종도 안 하고 살다보니 소식도 모르는거긴 하지만요...
39년모솔탈출
19/05/07 15:22
수정 아이콘
저도 여기에 한표
지금 회사에 일하는 사람들 중에 보면 학생때 놀아봤을거 같은 친구들은 뭔가 자신들의 사업을 구상하고 이루기 위해서 이런저런 사람들도 만나고 일을 진행하고 하는데
저나 저와 비슷하게 범생으로 지냈던 사람들은 해보고 싶은 일이 있어도 어디부터 해야 되는지도 모르고, 그냥 회사나 다니면서 돈벌어 먹을 생각만 하게 되는거 같더라고요.
그래도 저는 조금씩은 월급이 오르고, 직책이 오르고 있지만
사업을 하려는 친구는 그야말로 복불복이죠.
Senioritis
19/05/07 00:45
수정 아이콘
그냥 부모 수저가 제일 크죠
제 친구들 중에도 공부 더럽게 안했던 애들 중 핸드폰파는애도 있고 아빠가 5층짜리 건물 물려줘서 그 건물에 닭갈비집 차리고 원룸 임대료 받는애도 있고 그럽니다
긴 하루의 끝에서
19/05/07 01:30
수정 아이콘
모범생 vs 비모범생

1. 수동적인 삶 vs 능동적인 삶

2. 위험회피적(안정지향적)인 삶 vs 위험감수적(진취적)인 삶

3. 진부한(고루한) 삶 vs 창의적(개성적)인 삶


모범생과 비모범생에 대한 전통적인 선입견을 바탕으로 각각의 경향성을 굳이 따져보자면 대략 위와 같은 특성들이 성공 요인과 연결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모범생과 비모범생들이 주로 고려하는 진로와 실제 갖게 되는 직업도 어느 정도는 확연히 구분된다고 보고요. 또한 성공이라는 것을 경제적인 성공으로 국한하여 보았을 때 사실 공부를 잘하는 게 돈을 잘 버는 것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는 않죠. 공부 머리와 일 머리도 다른 법이고요.

비모범생이라고 하여 반드시 불량학생인 것은 아니지만 극단적인 비교라고 가정하면 될 것 같고, 어느 쪽이든 결과는 비슷할 듯싶습니다. 그런데 앞선 댓글들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소수의 성공 사례가 워낙 인상적으로 다가와서 그렇지 전반적으로는 모범생 집단의 성공 가능성과 성공 정도가 훨씬 더 높을 거에요.
-안군-
19/05/07 02:35
수정 아이콘
모범생이 평균이상의 삶을 살고, 불량학생이 평균이하의 삶을 사는 경우가 99% 이상은 될겁니다.
1%의 예외가 더 커 보이는 법인거죠.
19/05/07 04:21
수정 아이콘
어디가서 주눅들지않았던 자신감으로 장사나 세일즈같은거 해서 성공한 사례 극히 일부지
나머진 윗분들 말대로입니다. 예외가 더 커보이는거죠
그리고 한계치 다릅니다 어디 장사해서 초대박나는거 아닌이상
성공해봣자 보험왕 중고차팔이왕정도?
19/05/07 06:23
수정 아이콘
2시22분이나 4시44분처럼 눈에 띄이니까 그렇지 실제로 흔하진 않을겁니다. 고등학교때 서울대반애들이 지금도 거의 다 잘살아요
마술사
19/05/07 07:41
수정 아이콘
성공이라는 기준이 어느정도가 성공인가요? 대기업 다니는 정도도 성공이면 모범생이 훨씬 많을걸요..
몇백억 자산가 정도가 성공이라면 학창시절 공부량보다는 결단력 운 등등에 더 영향을 많이 받을테구요
강미나
19/05/07 09:11
수정 아이콘
저는 그런 케이스를 본 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습니다. 고등학교 친구들 중에선 제가 제일 안 된 편이고 중학교 친구들 중에선 제가 제일 잘 된 편이거든요.
아무래도 동네가 수도권이라 특별히 금수저가 없었고, 고등학교가 워낙 모범생 학교였어서.
Faker Senpai
19/05/07 09:29
수정 아이콘
불량학생중 부모가 힘있는거 믿고 설치는 경우가 제법 있는데 그런경우 뭘해도 잘살죠. 애가 공부를 안하고 행실이 불량한거지 집에 돈이 없는게 아니라서요. 정안되면 여자는 쇼핑몰 남자는 PC방 차려주면 사장소리 듣고 살죠. 일이야 성실하고 똑똑한사람들 데려다 쓰면 일 잘하고...
19/05/07 09:57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론 그런 사례가 별로 많지 않다고 봅니다. 예외는 항상 있는 법이고..
모나크모나크
19/05/07 10:22
수정 아이콘
돈 많이 버는데는 공부 이외의 재능, 운, 기회를 놓치지 않는 과감함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잘 안 된쪽을 보면 모범생쪽이 훨씬 처지가 나을거에요. "어떻게든 밥먹고는 산다" 정도의 보험이라 생각하시면 되지 않을까요?
아재향기
19/05/07 11:33
수정 아이콘
학업성적이 우수한 것과 부자가 되는 것 하곤 큰 상관관계는 없는 것 같습니다. 1세대 재벌들의 삶을 보면 근면성실한 점만 빼면 우등생의 태도와 비슷한 점이 없죠.
남광주보라
19/05/07 11:43
수정 아이콘
제 중학, 고교 동창들을 보면.
양아치들이 중고차나 폰팔이쪽으로 나가서 큰돈을 번 케이스들이 있더군요. 베가레이서 나올때즈응. . 2010년? 당시에 양아치 얘들이 폰팔이로 많이 여자고객들에게 강매하고 구라쳐서 수억씩 벌었다고 웅성웅성거린 일들이 있었습니다.
qpskqwoksaqkpsq
19/05/07 11:53
수정 아이콘
인터넷방송정도? 제 주위엔 없네요 원래 집에 돈많은거 아니면
19/05/07 21:02
수정 아이콘
@.@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3150 [질문] 변기에 물 쏘는 건을 달아놨는데.. [2] LG의심장박용택3146 19/05/07 3146
133149 [질문] [스포일러] 엔드게임에서 어떤 장면이 기억에 남으시나요 [35] 니나노나4214 19/05/07 4214
133148 [질문] 비염 알레르기에 있어서 공기청정기 효과 질문 [27] 밴가드3902 19/05/07 3902
133147 [질문] 모범생(?)이 잘 안 되고 불량학생(?)이 잘 되는 사례와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20] nexon7099 19/05/06 7099
133146 [질문] 무좀 진균제 질문입니다. [6] 삭제됨3731 19/05/06 3731
133145 [삭제예정] 40대 후반 남자 ) 매일 빨간소주 1병 괜찮을까요? [41] 도토리해물전13081 19/05/06 13081
133144 [질문] 어버이날 부모님 선물좀 추천해주세요! [12] 야부키 나코3773 19/05/06 3773
133143 [질문] 트와이스 콘서트 어떤가요? [1] 삭제됨2485 19/05/06 2485
133142 [질문] [휴대폰]요즘 테크노마트 선약도 하나요? [5] 하리네2932 19/05/06 2932
133141 [질문] 소극적인분들 여자친구 어떻게 만드셨나요? [32] 레너블9550 19/05/06 9550
133140 [질문] 이사온 원룸에 완강기교체가 필요한데요 이고시스POS3327 19/05/06 3327
133139 [질문] 자동차 가죽 클리너 추천 [2] 사춘간볼빨기2353 19/05/06 2353
133138 [질문] 헛기침이 많이 나는데 비염증상인가요? [8] 아스날4071 19/05/06 4071
133137 [질문] 토이카메라 추천 부탁드립니다 chamchI2265 19/05/06 2265
133136 [질문] 윈도우 정품 구매에 관해 여쭤볼게 있습니다. [2] poibos3267 19/05/06 3267
133135 [질문] 통계학과 공부가 그리 힘든가요?? [3] AUAIAUAI3729 19/05/06 3729
133134 [질문] 전주영화제 놀러가려고 합니다. [4] v.Serum2853 19/05/06 2853
133133 [질문] 건대입구에 남자 셋이 갈만한 맛집 추천해주세요. [8] kogang20014136 19/05/06 4136
133132 [질문] 엔드게임 보기전에 봐야할게 있을까요? [13] Ahri3855 19/05/06 3855
133131 [질문] (스포?) 캡아 윈터솔져 후에 뭘 봐야할까요? [8] Liverpool FC3555 19/05/06 3555
133130 [질문] 건대입구 pc방 추천 [3] Jedi Woon5684 19/05/06 5684
133129 [질문] 아랫집 누수로 인한 보상 문제 [4] K57924 19/05/06 7924
133128 [질문] 손바닥 손가락에 수분이 너무 없어요 [4] 내꿈은퇴사왕2821 19/05/06 282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