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4/22 22:25:54
Name 싶어요싶어요
Subject [질문] 치질 통증없을때 하는게 답인가요?
요즘 스트레스가 좀 생겨 새끼손톱 절반정도의 치핵이 튀어나왔는데...

후기들을 많이 읽어봤는데

수술 빨리 해야 덜 아프다는 사람 vs 통증없어 불편한거 없으면 하지말라

이렇게 갈리네요

수술후 통증도 통증이지만 일을 못하게되니 타이밍도 잘 맞춰야되고 어렵네요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4/22 22:28
수정 아이콘
빨리가서 진단이라도 받아보세요 (치질수술 3번이나 경험한 1인)
싶어요싶어요
19/04/22 22:31
수정 아이콘
헐.... 지옥을 3번이나 다녀오셨군요.

후기들보니 병원가면 의사들이 하나같이 오늘 바로 수술들어갑시다! 라던데요 크크

저희 동네 병원 후기 읽어보니 그냥 설명도 없이 수술 들어간다고 요즘에도 이런 의사가 있냐며 크크
19/04/22 22:34
수정 아이콘
작을때 치료해야 회복도 금방했던거 같네요
싶어요싶어요
19/04/22 22:37
수정 아이콘
오 그러셨군요 감사합니다 다음달에 날잡아서 해야겠군요

근데 재발이 꽤 흔한가요?
19/04/22 22:44
수정 아이콘
사람마다 차이가 있긴 하겠습니다만
관리가 안되면 재발 가능성이 매우높습니다. 저는 몸이 너무피곤하면 재발하더라구요
초짜장
19/04/22 22:43
수정 아이콘
힘 뽝 줬더니 통증을 동반한 대형 치핵이 나와서 일주일 버티다 바로 수술했는데 그뒤로 한번도 재발 없네요. 케바케인듯 합니다.
네파리안
19/04/22 23:28
수정 아이콘
저도 치질은 수술을 2번 받았었는데 두번다 조기에 치료했습니다.
일단 작을때 하시면 시술수준에서 끝낼수가 있고 저는 수술하고 다음날 공익갔었고 2번째 수술도 수술하고 다음날 왕복6시간 걸리는 대학교 통학 했었내요.
인터넷에서 너무 심해진 이후에 수술하면 괄약근이 약해지고 이는 복구할 수 없다는 말을 보고 바로 수술하긴 했는데 진짜 인지는 모르겠내요.
후유증으로는 이제 화장실 한 3번만 가도 피가납니다.
제가 과민성 대장염이 한참 심할때 1년동안 화장실을 하루 10번꼴로 갔는데 진짜 피가 마르는 날이 없을정도여서 엄청 고생했내요.
그리고 수술하실 생각 없어도 일단 병원가셔서 좌약은 처방받아 오시는게 좋고 뜨끈한 물에 소금좀 풀어서 반신욕하면 좀 괜찮습니다.
BestOfBest
19/04/23 10:00
수정 아이콘
전문가는 아닙니다만, (수술 한번 경험)
심하지 않으면 좌욕하면서 다스리는게 낫다고 생각해요.
전 괜히 겁먹고 초기에 수술했었는데, 안했어도 됐을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19/04/23 10:29
수정 아이콘
무조건 검사 받고 빨리 수술하시는게... 저는 내부로 곪아 들어가서 늦었으면 큰일날 뻔 했다고..(전립선쪽으로 곪아서 고x될 뻔 했다고..)
그리고 XX 아팠습니다......
사실 수술하고 그건 별로 안아파요
나중에 통원치료 받을때가 지옥...
호로종
19/04/23 12:45
수정 아이콘
상담은 무조건 의사와 하시는걸 추천 합니다. 상황에 따라서 좌욕이나 약물로도 치료 가능하다고 합니다.
저도 수술 했는데 제 생에 가장 고통스러운 1주일 이었습니다.
19/04/24 04:21
수정 아이콘
그정도면 약 먹고 좌욕 좀 하시면 나을거 같은데요. 불편감 정도 있을때 찾아가니 약먹고 좌욕 하라고 해서 한 일주일 있으니 괜찮아졌네요.
19/04/24 15:50
수정 아이콘
제 글로 치질후기 찾아보세요. 수술은 사실 문제가 아닙니다. 최소 1달간의 사후관리가 헬게이트죠. 일단 치질도 1기부터 4기? 인가 나뉘는데 4기는 인간이 버틸 수 있는 고통이 아니라 그 전에 수술하겠지만 지금은 의사와의 상담과 진단이 먼저입니다. 치핵이 일단 생겼다는건 나중에 스트레스 및 식습관으로 인해 증상이 완화되도 또 도발할 가능성이 있을겁니다. 수술은 그것을 없애는 과정이구요. 수술 후 재발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건 사람마다 케바케라 어떻게 말씀드리기 어렵네요. 지금 당장은 믿을만한 의사와 병원에 가서 진단을 받아보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2635 [질문] 영화를 적법하게 소장하는 방법 [5] 잘생김용현6569 19/04/23 6569
132634 [질문] 올림픽 체조경기장 콘서트 다니시는 분들 자리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4] 핸드레이크4757 19/04/23 4757
132632 [질문] 마장호수 근처 맛집을 찾습니다. 송지효2738 19/04/22 2738
132631 [질문] 집에서 갑자기 와이파이가 안 터지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3] 개망이4367 19/04/22 4367
132630 [질문] 보컬학원 추천받을 수 있을까요? [6] 피카츄배2706 19/04/22 2706
132629 [질문] 아이패드 고수님들께 여쭤봅니다. [6] 송지효3428 19/04/22 3428
132628 [질문] 아트테크 알고 계신가요? 곰비3096 19/04/22 3096
132627 [질문] 치질 통증없을때 하는게 답인가요? [12] 싶어요싶어요3796 19/04/22 3796
132626 [질문] cctv 자가로 설치하려고하는데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5] 롯토2951 19/04/22 2951
132625 [질문] 변이 안만들어지는 음식이 뭐가있을까요 [12] 공부맨5760 19/04/22 5760
132624 [질문] 수원역 맛집추천 부탁드립니다! [6] 야부키 나코3152 19/04/22 3152
132623 [질문] 여자가 옆구리 꾹꾹 찌르는 의도가 뭔가요? [34] 연애잘합니다9450 19/04/22 9450
132622 [질문] KBO (양현종?김광현?) 레전드 짤 어떻게 찾나요.. [2] 일정3472 19/04/22 3472
132621 [질문] 10만원 전후 블루투스 이어폰 추천 부탁드립니다. [5] 귀여운호랑이3246 19/04/22 3246
132620 [질문] 약간 휘어진 안경테 고쳐달라고 할 때는 어느 정도 비용이 드는지요? [9] 코시엔22222 19/04/22 22222
132618 [질문] 중고나라 론에 당한 듯... [8] 한글날기념4446 19/04/22 4446
132617 [질문] 프라하여행 질문 (비셰흐라드 vs 페트르진 전망대) [3] 69눈바디2299 19/04/22 2299
132616 [질문] 어벤져스 아이맥스 3D밖에 개봉안하나요? [6] 공노비2827 19/04/22 2827
132615 [질문] 5월 4일~7일 3박4일 해외 여행지 문의 [7] Soviet March3144 19/04/22 3144
132614 [질문] 디지털 피아노용 가성비 헤드폰 추천 부탁드립니다. [1] 모나크모나크3938 19/04/22 3938
132613 [질문] 라디오 노래 히스토리? 볼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3] 마인부우2469 19/04/22 2469
132612 [질문] 유해물이 붙어 있는 물건의 수입에 대해서 어디에 물어봐야 하나요 [4] 소와소나무2550 19/04/22 2550
132611 [질문] 성경에서 본듯한데 [5] zenith3353 19/04/22 335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