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8/21 21:04:12
Name 퀀텀리프
File #1 132198031.1.jpg (120.0 KB), Download : 237
출처 니우스
Link #2 https://www.donga.com/news/It/article/all/20250817/132197522/1
Subject [기타] 우주 데이터센터


구글이  ‘제미나이’ 우주에서 시험 운영.
태양 에너지를 이용해 데이터센터 운영이 가능.
서버 냉각시킬 필요 없음.

10년간 지상에서 40MW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려면 - 약 2321억 원의 비용. 우주에서 운영하면 114억 원.
가로, 세로  4km 크기의 태양광 발전 모듈을 우주로 띄워 5기가와트(GW)급 데이터센터를 운영할 계획.
올해 ‘스타클라우드-1’는 시제품.
내년에는 상업용  ‘스타클라우드-2’ 발사예정.
------------
잼민아 우주는 살만하니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안군시대
25/08/21 21:06
수정 아이콘
통신속도 문제되지 않나? 유선은 아닐테고, 데이터센터급에 쓰는 회선은 대역폭이 장난아닌데..
25/08/21 21:06
수정 아이콘
스카이넷의 탄생...
25/08/21 21:12
수정 아이콘
우주가 냉각 더 힘든데???
우상향
25/08/21 21:13
수정 아이콘
가까운 미래에, 모종의 이유로 지구 인종이 멸종하고 AI 데이터센와 인공위성만 지구 궤도를 떠돈다.
얼마나 지났는지도 모를 만큼의 시간이 흐른 어느 날 외계인이 지구를 방문해서 남겨진 데이터 센터를 열어 인간 복원을 하기 시작하는데..
25/08/21 22:18
수정 아이콘
외계인은 아니지만 AI가 인간을 복원하는 내용이 로저 젤라즈니의 프로스트와 베타인데 걸작입니당
우상향
25/08/21 22:37
수정 아이콘
역시 웬만한 아이디어는 다 이미 나와 있네요. 말씀해 주신 작품도 봐야겠군요.
감사합니다.
25/08/21 21:19
수정 아이콘
우주공간에서도 태양빛을 받는 부분은 상당히 뜨거워 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생각하듯이 냉각이 아예 필요 없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열방출을 오직 복사에만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내부에 열을 순환시키기 위한 히트 파이프와 복사열을 빼내기 위한 큰 방열판이 필요할 겁니다. 우주공간에 데이터 센터를 올렸을 때의 더 중요한 이점은 물론 태양광 전력 때문이겠죠.
VictoryFood
25/08/21 21:21
수정 아이콘
언제나 태양광 패널이 태양을 향하게 하고 데이타센터는 태양광 패널로 그늘이 지게 만들면 되지 않을까요?
눈물고기
25/08/21 21:35
수정 아이콘
태양으로부터의 열은 그러면 되는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빼내는게 지구에서보다 더 어렵단 얘기죠..
지구돌기
25/08/21 21:25
수정 아이콘
문제는 우주라고 해도 24시간 태양빛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이 문제죠. 지구 궤도를 도는 이상 지구 그림자에 가리는 시간이 있어서...
지구에서 멀어질수록 그림자에 가리는 시간이 줄겠지만 그만큼 통신 지연이 커질거고요.

일단 24시간 서비스해야하는 것이 아닌 AI 학습 같은 건 태양빛을 못받는 시간대에 잠시 suspend 시키면 될 거 같기도 합니다.
NoGainNoPain
25/08/21 21:31
수정 아이콘
태양동기궤도를 돌면 지구 그림자에 가릴 일은 없습니다. 유일하게 태양빛을 받지 못하는 때가 일식이죠.
25/08/21 23:19
수정 아이콘
고도가 낮은 태양동기궤도는 날짜가 하지나 동지 근처일 때 극지방을 돌 때도 햇빛이 가려질 때가 잠깐씩 있습니다.
NoGainNoPain
25/08/21 23:46
수정 아이콘
dawn-dusk 나 dusk-dawn 궤도를 정확히 돌리면 일식 아니면 가릴 일이 없죠.
25/08/22 01:05
수정 아이콘
예를 들어 하지에는 태양빛이 지구 적도보다 남쪽 23.5도 각도에서 비치기 때문에 위성이 북극지역을 지날 때 지구에 가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동지에는 그 반대. 애초에 태양의 절기가 바뀌면서 낮/밤의 경계선의 기울어짐이 바뀌기 때문에 위성이 그 궤도를 정확히 돌 수가 없습니다. 매일 끊임없이 궤도조정을 해주는게 아닌 다음에야.
NoGainNoPain
25/08/22 02:55
수정 아이콘
당연히 궤도조정을 합니다.
저궤도위성은 기본적으로 공기저항을 먹고 있기 때문에 궤도조정을 안한다는 건 말이 안되구요.
일주일에 한번 정도 궤도조정 만으로 250~300m 튜브 내에 위성 궤도를 맞출 수 있습니다.
요즘 SAR 위성은 InSAR Product 제공이 필수라서 저정도는 기본으로 들어가죠.
25/08/22 06:3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가 아는 바로는, 보통 저궤도 위성의 궤도조정은 공력저항에 의한 고도손실을 보전하려고 하는 겁니다. 일년을 주기로 각도가 조금씩 바뀌는 태양빛에 대해 궤도면을 계속 수직으로 유지하려면, 궤도면을 일년 주기로 +-23.5도 범위로 바꾸는 기동을 해야 하는데, 그러면 추진제를 엄청나게 많이 써야 합니다. (매년 초속 수 킬로미터의 DelV 를 만들어야 함) 게다가 그렇게 궤도면을 바꾸면 태양동기궤도를 유지하기 위한 궤도경사각 조건을 맞출 수가 없을 겁니다. (그래도 혹시 요새 나오는 최신 위성들은 또 어떤지 모르니 나중에 검색 한번 해봐야 겠군요.)
NoGainNoPain
25/08/22 06:59
수정 아이콘
저도 옛날에 거기에 대해서 확인한 적 있는데, 담당자 말로는 드리프트는 오래 놔두면 놔둘수록 빨리 되돌리는데 추진체를 많이 써야 되고 시간이 얼마 안되면 추진체를 적게 사용해도 되기 때문에 추진체 사용량에서는 어차피 그게 그거라고 들었습니다.
추진체 사용량이 그게 그거라면 드리프트 궤도조정을 자주 해주는게 좋겠죠.
+ 25/08/22 07:51
수정 아이콘
(수정됨) 고도가 떨어질수록 비행속도와 공기밀도가 커져 공력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고도손실은 자주 보상을 해주는 편이 추진제 사용량이 적을 것 같은데, 그것도 고도손실이 심한 초저고도 위성이나 그렇지, 대개는 고도유지 궤도 조정을 어쩌다 가끔 해 주는 정도이고, 궤도면 조정 기동은 그보다도 더 빈도가 적습니다. 궤도면을 매번 바꿔 주는 기동을 한다는 위성은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을 뿐 아니라, 그렇게 했을때 얻는 실익에 비해 추진제 소모량이 엄청나게 많이 듭니다. 태양빛을 못받는다 해봐야 일년 중 고작 며칠에 불과하고 그것도 궤도당 수분 이내로 끝나고 마니까요. 혹시 님의 말씀대로, 매번 궤도 조정을 해서 궤도면을 태양빛에 항상 수직으로 유지하는 위성이 있으면 관련 링크라도 남겨 주시면 참고하겠습니디. (전기추진을 사용하는 위성은 연료소비량이 적을테니까 가능성이 있을수도 있겠네요.)
25/08/21 21:34
수정 아이콘
찾아봣습니다.

스타링크같이 leo (저궤도)에 매시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솔라패널들이 이 그리드에 파워를 제공핮니다. 무선파워가 지구상에서는 힘들어도 우주상에서는 효율이 좋고 위성간 레이저 통신은 실용화된 기술이니까요. 스타링크에서도 한다 그럴지 모르겠네요
모링가
25/08/21 21:31
수정 아이콘
순수 복사열로 냉각해야 할텐데 되는가보군요
25/08/21 21:32
수정 아이콘
아니 다떠나서..

가로, 세로 4km 크기의 태양광 발전 모듈 ????????????????????
지니팅커벨여행
25/08/21 23:27
수정 아이콘
이게 가능하면 햇볕을 가려서 지구 온난화 막을 수 있겠는데요
돼지뚱땡좌
25/08/21 21:46
수정 아이콘
오오 우주세기...
엑세리온
25/08/21 21:49
수정 아이콘
여차하면 콜로니 레이저로?
고기반찬
25/08/21 22:38
수정 아이콘
방열판이 어쨌다는거냐
아이군
25/08/21 21:53
수정 아이콘
일단 태양광 발전 모듈이 여기까지 왔다고? 후덜덜.....
Jedi Woon
25/08/21 21:54
수정 아이콘
저러다가 운석 조각 맞으면 어쩌려구....
덴드로븀
+ 25/08/22 08:58
수정 아이콘
?? : 하나 더올리면 됩니다.
25/08/21 21:56
수정 아이콘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밖으로 배출할만한 매질이 우주에는 없지 않나요? 신기하네요
25/08/21 21:58
수정 아이콘
가로세로 4km 태양광모듈 응 컷
Dowhatyoucan't
25/08/21 22:36
수정 아이콘
천문학자 : 또가려??
25/08/21 22:43
수정 아이콘
문과입니다. 무슨 말이죠? 우주는 추운곳 아닌가요? 데이터 센터 입장에서는 그럼 시원한 곳이고~
모링가
25/08/21 22:57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건담 시드를 보면 박살난 콜로니 지대에 얼음이 둥둥 떠다니는걸 볼 수 있죠
마작에진심인남자
25/08/21 22:57
수정 아이콘
우주가 시원한가?
AMBattleship
25/08/21 23:00
수정 아이콘
우주는 영토에서 제외되고 공공구역이라고 들었는데 조만간 진짜 영토 분쟁 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25/08/21 23:29
수정 아이콘
그리고 저게 스스로 학습하고 발전하고 그러면 나중에 지구를 공격하는건가...
에스콘필드
25/08/21 23:49
수정 아이콘
별이 더 안보여질까 걱정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수정잠금 댓글잠금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게시글 및 댓글 처리 강화 안내 (23.04.19) 더스번 칼파랑 23/04/19 166543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586637
공지 [유머] [공지] 타 게시판 (겜게, 스연게) 대용 게시물 처리 안내 [23] 더스번 칼파랑 19/10/17 592222
공지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공지사항(2017.05.11.) [2] 여자친구 17/05/11 1010902
518608 [기타] 우주 데이터센터 [37] 퀀텀리프4796 25/08/21 4796
518604 [기타] 마음에 드는 배우들의 영상을 구하고 싶을 때 겪는 상황 [4] 묻고 더블로 가!3237 25/08/21 3237
518602 [기타] 너 내가 누군지 알아? 진상의 미국버전 [20] Croove5826 25/08/21 5826
518598 [기타] 미쿡 vs 유럽 [17] VictoryFood5451 25/08/21 5451
518597 [기타] 현재 생각보다 심각하다는 강릉 근황 [70] Pika488170 25/08/21 8170
518595 [기타] 요즘 아이들이 생각하는 미래 [24] 퍼블레인5088 25/08/21 5088
518591 [기타] 탑골공원 바둑, 장기, 음주가무 금지시킨 이유.jpg [42] 캬라7554 25/08/21 7554
518585 [기타] 쯔양 대창 40인분 [18] 닭강정4548 25/08/21 4548
518571 [기타] '탑골서버 운영을 종료합니다.' [26] 유머5566 25/08/20 5566
518569 [기타] 택배없는날(8.14~17) 후유증 [20] Croove5080 25/08/20 5080
518563 [기타] TV는 역시 LG! [29] 깃털달린뱀6466 25/08/20 6466
518553 [기타] 만갤 베스트 픽 동의한다 vs 동의하지 않는다 [102] 묻고 더블로 가!5947 25/08/20 5947
518550 [기타] 갤럭시에 있는 노래 검색기능 [17] 카루오스4645 25/08/20 4645
518546 [기타] 농심×케이팝 데몬 헌터스 [39] 카루오스4908 25/08/20 4908
518542 [기타] 카카오톡 친구탭 개편 [57] 카루오스6948 25/08/20 6948
518539 [기타] 레고헌터즈 [5] NetGO3769 25/08/20 3769
518537 [기타] 티스토리 3년 이상 미접속시 계정삭제 [8] 에스콘필드4714 25/08/20 4714
518536 [기타] 100만 조회수 찍힌 강아지 키우는 사람이 약속 늦는 이유 [10] 묻고 더블로 가!9102 25/08/19 9102
518529 [기타] 또 구경하기 힘들어진 미군의 차기 군함 [45] Lord Be Goja10625 25/08/19 1062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