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8/11 18:56:59
Name 페이커75
File #1 b6bdc93493c713521ea54cd30072eacd.jpg (131.4 KB), Download : 116
File #2 12141343.jpg (676.2 KB), Download : 116
출처 https://www.dogdrip.net/dogdrip/651442452
Subject [게임] [펌] 김성회의 토키도 비하에 팬덤이 좀 더 불탔던 이유 (수정됨)





https://pgr21.net/humor/518159

자세한 내용은 여기







토키도 10년 전 인터뷰







[수입 = 기업에서의 보수 + 대회의 상금 + 기타활동



스폰서 계약은 컨트롤러 제조 판매등의 회사가 많다.


스폰서의 장비를 사용하여 게임을 승리해서 "프로 수준의 경기에서도 사용되는 장치“


라는 것을 어필 후 판매이벤트참가나 개발에 피드백하는 것 도 중요한 일의 하나


토키도의 EVO첫 우승은 2003년 당시의 EVO는 스폰서 따위없고 상금은 20만엔


참가자와 유료관람객의 상금을 수렴해서 우승자가 독식하던 구조였고


지금은 스폰서의 참가가 더 해져서 그 규모가 커지게 되었고


수백만엔에서 1500만엔 수준의 경기도 열리게 되었음.


예전에는 상금의 액수는 상관없고 자신의 플레이를 하는 것만이 중요하다 라고 생각했었지만


지금은 정신의 단련과 대회에서의 결과도 프로게이머로서의 과제가 아닐까


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같이 출전했던 유명플레이어들이나 역전의 강자들도 손이 떨려서 본래의 실력을 낼 수 없다는


이야기도 자주 들었다.


토키도의 2015상금은 총250만엔 정도


그리고 책의 발행과 이벤트 출연료 정도가 더 해진것이 자신의 수입.


프로게이머가 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업계에서의 존재감과


스스로 생각해서 미개척지인 곳을 탐험 개발해 나간다는 생각이


현재 일본에서 프로게이머로 생활하는데 가장 요구되는 것이라고 본다.


일본의 프로게이머는 타 프로스포츠와는 달리 라이센스를 발급하는 "협회"가 존재하지 않음.


스포츠 협회는 스폰서기업을 찾거나 선수로서의 교육을 실시하거나 해야하지만

프로게이머는 협회가 없으므로 각자 개인사업자로 활동하는 중이고


개인사업자에 대해 기업이 스폰서료를 지불하는 구조이다.


협회가 없으므로 발생하는 장점은 프로게이머 자신으로서의 높은 재량권


"어떻게 하면 스폰서 기업에 공헌할지 업계전체에 기여할지


또는 프로로서의 자신을 어떻게 포장해 나갈지


스스로 결정해 나가야 되는 거지만


규칙이냐 규약등에 구속받지 않고 선수 개개인으로서의


자신만의 강렬한 개성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이 좋은점.“이라고 생각


예전의 자신은 레드불 쿠미테에서 본짱에게 트래쉬 토크를 한다던지


순옥살 마무리 후 순옥살 포즈를 취한다던지 했지만


이제는 자신의 이미지를 좀 더 바꾸고 싶다.


'아 이 사람 굉장하네 혹은 멋지네' 라는 이미지를 주고 싶다랄까


프로게이머라면 게임내용으로 멋있어보여야 되지 않을까


라고 생각하고 있고 엔터테이먼트적인 면과 경기의 질을 양립하고 싶다 라는 욕심이 생김.


요즘의 게임산업은 크게 변화하고 게임내용이 온라인으로 전송되고


TV 방송 또한 이루어지는 중인데


격투게임으로서 단순히 승자와 패자 가 나누어지기만 했을 때


비 격투 게이머들에게는 매력적으로 보일까 라는 의문이 있음.


"내용이 어떻든 승리만 한다면 자기 만족만으로 끝나버립니다.


그것뿐이고 생산성이 없는거죠.


누구나 할 수 있는 플레이로 승리하거나

게임이외의 부분에서 눈물짓고 연기를 하고 개그를 날려봐도


격투게임커뮤니티 외 의 사람들에겐 반응이 없겠죠.


프로게이머인 이상 제대로 승부를 하고 유저를 끌어당기는 플레이를 하고 싶네요.


정직하게 말하면 제 팬의 대부분은 제가 이기고 있기 때문에 절 좋아한다라고 생각하고


저도 토너먼트에 출전하는 입장이기 때문에 승리하는데 최선의 방법을 사용하겠지만


지금까지와는 다른 스타일을 목표로 하고 있다라는 걸 알아줬으면 합니다."]














토키도는 판이 깔려 있던 프로게이머 씬에 들어가서 먹어치운 선수가 아니라



엘리트로 보장된 자기 미래 내다버리고



생계 자체를 못 꾸리는 허허벌판에 달려들어서



상금 몇십, 몇백만원 타면서



기업-프로게이머 스폰서십 시스템

자기 굿즈 제작해서 판매

책 쓰고 미디어에 출연하기

기업의 인플루언서로 활동하기

게임 교육을 상품화

후대 육성







좀 이런 온갖 프로게이머라는 직업의 성립에 공헌해 왔던 인물이었음



게임만 잘 해서는 프로게이머로 먹고사는 게 불가능하다면서


(맨위 사진 - 본인이 프로로 먹고살려고 아득바득 굴렀던 과거를 정리해서 자서전으로 낸 물건)





암튼 프로씬 지속하는데 필요한 건 싹 다 하나씩 시도해봄



업계가 구조적으로 프로게이머 생활 불가능할 때



영업사원처럼 오락실마다 자기 굿즈 들고다니면서 팔아서 그걸로 수입 충당하던 사람임





즉 토키도는 빗대자면 페이커가 아님



임요환에 가까움



그냥 이미지가 엄청 좋음







그래서 격겜 프로씬, 특히 스파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면



토키도는 까방권 주는 좀 부처 같은 인물임



물론 실적도 지리고



하물며 김성회가 토키도 디스했을 당시의 토키도는



당시 세계 최대 대회들 싹 1,2위 한번씩 순회해서 2위라고만 찝어도 키배 나올 폼이었음



최정상급이 아니고 A+라는 표현조차도 이미 겜알못 소리 나올 말



저렇게 게임 잘하는 것도 엄청 잘하는 건데



거기서 나아가 씬의 아버지 취급까지 받는 사람을



격겜 고인물 자칭하는 사람이 어디 일베같은데 떠돈 악성 루머 퍼와서 비하하고 있으니까



팬들이 불탄거임





자칭 RTS 게임 고인물이라는 사람이

임요환 최전성기에

임요환 그 정도 아니고 빈집털이범으로 유명했다고 나무위키에도 적혀 있었다며 깐 느낌







그리고 한번 불타서 빤스런했으면 거기서 끝내야지



아니~ 나는 그냥 그렇다고 한건데~

팬들이 거기에 긁혀서 나 공격했잖아~



이런식으로 자꾸 방송에서 자기가 억울하게 당했다며 컨텐츠화하니까 긁히지 안 긁히게 생김





출처 : https://www.dogdrip.net/dogdrip/651442452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5/08/11 19:00
수정 아이콘
임요환보고 피시방 대회 상금털이 라고 한 격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5/08/11 19:06
수정 아이콘
참고로 일본 최초의 프로게이머 선수 협회도 만들기도 했지요.
https://pgr21.net/free2/76673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5/08/11 19:08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토키도와 다이고를 합친게 임요환이라고 생각합니다 상징의 다이고+저변의 토키도=임요환 크크
모나크모나크
25/08/11 19:02
수정 아이콘
레전드를 어이 없이 깠다 정도로 이해했었는데 저 글을 보니 토키도는 단순히 게임 잘 한 레전드 이상이군요.
25/08/11 19:02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저도 몰랐는데 진짜 임요환 같은 존재였군요.

김성회씨는 이상한게 본인도 티응갤의 구마유시 죽이기 영상도 만들었으면서 이 건은 "내가 본 곳에서는 그런 의견도 있어서 소개한거다" 라고 하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그러면 티응갤보고 구마유시 까는 것도 그런 시선도 있어서 소개한거니 문제 없다라고 할 것인지..
25/08/11 19:15
수정 아이콘
임요환에게 형이 해준게 뭔데요 한거군요
25/08/11 19:32
수정 아이콘
+ 25/08/11 20:57
수정 아이콘
완전히 왜곡된 정보를 가지고 계십니다
실제상황입니다
+ 25/08/11 22:30
수정 아이콘
김성회님과 똑같은 실수를 저지르고 마셨군요 크크
사람이란 게 사리판단을 하기가 이렇게나 어렵습니다...
밤가이
25/08/11 20:01
수정 아이콘
다이고를 큰형, 토키도를 작은형 하면서 리스펙하는 것만 듣다 김성회씨 발언을 보니 생소하긴 했었습니다.
트윈스
25/08/11 20:18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 토키도 이미지가 어떤지알았으면 저러지 못했죠. 뭐 잘안알려진 게이머라고도 하셨던데..
스톤콜드 스터너
+ 25/08/11 21:07
수정 아이콘
건드리면 곤란한 상대를 건드린거네 댓가를 씨게 치뤄야할수도 있을듯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수정잠금 댓글잠금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게시글 및 댓글 처리 강화 안내 (23.04.19) 더스번 칼파랑 23/04/19 164480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585008
공지 [유머] [공지] 타 게시판 (겜게, 스연게) 대용 게시물 처리 안내 [23] 더스번 칼파랑 19/10/17 590397
공지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공지사항(2017.05.11.) [2] 여자친구 17/05/11 1008606
518233 [게임]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는 C-POP 된장까스715 25/08/11 715
518223 [게임] [펌] 김성회의 토키도 비하에 팬덤이 좀 더 불탔던 이유 [12] 페이커752005 25/08/11 2005
518221 [게임] [KOF] 그시절 오락실 체어샷 유발행동 모음 [19] Croove2426 25/08/11 2426
518210 [게임] 가로우 호날두 우승 [3] STEAM2210 25/08/11 2210
518159 [게임] 격겜커뮤니티와 척지기로한 G식백과 [71] STEAM11011 25/08/09 11011
518144 [게임] 하늘의 궤적 리메이크 pv [36] STEAM4090 25/08/08 4090
518139 [게임] 요즘 핵을 잘 못잡는 이유 [12] Lord Be Goja5973 25/08/08 5973
518132 [게임] 낭만의 헬 다이버즈2 [6] EnergyFlow3058 25/08/08 3058
518119 [게임] 슈퍼로봇대전 Y 제3탄 PV [23] Myoi Mina 3988 25/08/07 3988
518112 [게임] 넥슨, 유튜브에 전우치 채널 개설 [15] 묻고 더블로 가!5046 25/08/07 5046
518085 [게임] 블루 프로토콜 모바일 한국 출시예정 [7] 묻고 더블로 가!3897 25/08/06 3897
518082 [게임] 스타2 밸런스에 대한 레니아워의 단상 [11] STEAM3979 25/08/06 3979
518050 [게임] (약후) 내일 한섭에 추가되는 벽람항로 캐릭터는 [7] 묻고 더블로 가!6073 25/08/06 6073
518048 [게임] 스파6 승두형 업데이트 효과 [3] STEAM2428 25/08/06 2428
518044 [게임] 스위치 1000만장 이상 판매된 게임 [16] Leeka3987 25/08/05 3987
518035 [게임] 시청 민원 팁 [4] 인간흑인대머리남캐4014 25/08/05 4014
518030 [게임] 스파6 마리사 vs JP [9] STEAM1907 25/08/05 1907
518025 [게임] 유저들 고혈 빠는 게임.jpg [4] insane4333 25/08/05 4333
518016 [게임] 스파6 2회 난입일러 콘테스트 결과 [3] STEAM2281 25/08/05 228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