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7/23 14:28:12
Name 아롱이다롱이
출처 서울경제
Subject [기타] [속보]14년 만에 '5월 출생아 수' 최대 증가…혼인도 4.0% 급증 (수정됨)
https://www.sedaily.com/NewsView/2GVGNFFVDV


1. 올해 5월 출생아 수가 2만 309명, 전년 동월(1만 9567명) 대비 3.8% 증가
출생아 수는 5월 기준 2011년 이후 14년만에 가장 큰 폭의 증가율 / 2011년 5월(5.4%)

2. 혼인 건수는 2019년 이후 6년만에 가장 높은 수준

3. 합계 출산율은 전년 동월대비 0.02명상승
- 연령별로는 30~34세 여성의 출산율이 전년보다 1.5명 증가한 69.1명
35~39세도 3.7명 증가해 고령출산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음

4. 올해 1~5월 누계 출생아 수는 10만 648명을 기록했는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9% 늘어난 것으로 1981년 관련 통계 집계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 지역별로는 서울(9.1%), 인천(12.3%), 대구(10.9%) 등 12개 시도에서 출생아 수가 늘은 반면 대전과 부산등 5개 시도는 감소

5. 5월 혼인 건수는 2만 1761건으로 전년 동월(2만 921건) 보다 4.0% 증가.. 5월 기준 6년만에 가장 많은 혼인건수 기록
통계청 관계자 왈 "지난해 같은 달에는 21.6%라는 기록적인 혼인 증가율을 기록했는데 올해도 증가 추세를 이어가는 것은 상당히 고무적"

6. 다만 출생아 수가 늘었음에도 여전히 자연 감소는 지속중
- 5월 사망자수가 2만 8510명으로 출생보다 8202명 더 많아 자연증가 수치는 마이너스를 기록
- 다만 감소폭은 지난해 5월(-8950명)에 비해 축소되었음



작년에도 혼인건수, 출생아 수 증가와 관련한 기사가 올라왔었던것 같은데 올해도 이런 소식이 올라오는것을 보면
속단하기 이르지만 최저점을 찍고 올라가는 추세가 맞나 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부대찌개
25/07/23 14:30
수정 아이콘
90년 초반생들이 많아서 그런거같구요.. 그래서 어느정도 예상되었던 통계입니다..
결론적으로 저는 데드캣 바운스라고 봅니다.
행복한나를위해
25/07/23 14:34
수정 아이콘
아 혼인신고하러가야하는데.. 저처럼 아직 안하신 분들도 꽤 있으실듯
덴드로븀
25/07/23 14:38
수정 아이콘
<연도별 출생아 수>
2015 438,420
2016 406,243
2017 357,771
2018 326,822
2019 302,676
2020 272,337
2021 260,562
2022 249,186
2023 230,028
2024 238,343
2025 2??,???
OcularImplants
25/07/23 14:38
수정 아이콘
결혼 가능한 사람들은 해야죠 
몽키매직
25/07/23 14:41
수정 아이콘
모든 건 정반합 과정을 거치죠.
인생은 결혼 해도 쉽지 않고 결혼 안 해도 쉽지 않은데
상당기간 동안 결혼이 힘든 점만 너무 강조되긴 했었고 요즘 분위기는 또 달라진 것 같아요.
살려야한다
25/07/23 14:42
수정 아이콘
분위기가 좀 달라진 느낌이 있습니다
회색사과
25/07/23 14:46
수정 아이콘
정석이 정석인 이유가 있고.. 뉴메타 유행이 지나간 건가요 흐흐
Far Niente
25/07/23 14:51
수정 아이콘
혼인가능한 세대의 의지상으로는 저점을 찍긴 헀는데,
결국 과거에 진행된 00년대생의 인구감소 때문에 출산율은 소반등을 유지하더라도 출생아 수 감소는 계속될 것 같네요
85~90년생 62~64만명, 현재 결혼적령기(?)인 [91~95년생 70~73만명],
96~00년생은 다시 62~69만명, 이후 01년생 55만명을 찍고 02년생부터 16년생까지 40만명대 중반이니..
17년생 이후는 그말싫이고
에이펙스
25/07/23 15:48
수정 아이콘
점점 줄긴하겠네요
ComeAgain
25/07/23 14:54
수정 아이콘
할 사람은 하고, 도와줄 건 도와주면 되겠죠.
25/07/23 14:56
수정 아이콘
우상향 가즈아
벌점받는사람바보
25/07/23 14:58
수정 아이콘
드디어 바닥쳤나요
O.Marseille
25/07/23 15:00
수정 아이콘
연 70만 명 이상 태어난 91~95년생이 현재 결혼/출산 적령기라 저점 다진 후 반등이 오고 있는데
98년생부터 다시 65만 명이 무너지기 때문에 2030년대부터 재하락 할 가능성이 높아 보이네요.
25/07/23 15:00
수정 아이콘
예전보다는 나아진 것 같긴해요. 앞으로를 봐도 나아질 것 같긴한데..
인구수 회복은 구조적으로 불가능하긴해서.. 정말 뉴메타가 오는 것 같긴 합니다.
스덕선생
25/07/23 15:05
수정 아이콘
몇년 전까지만 해도 유행하던 내무부장관 드립에 퐁퐁이니 하는 비아냥이 많은것만 봐도 비혼이 유행이라 안 하는게 아니죠
하고 싶지만 못 한다고 보는게 더 맞다고 봅니다.
Lord Be Goja
25/07/23 15:05
수정 아이콘
결혼은 쿨하지못해
비혼도 쿨하지못해로 온거같긴해요
쵸젠뇽밍
25/07/23 15:08
수정 아이콘
신생아수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은 가임기 여성의 수라서. 80년대 하반기에 비해 90년대 전반기에 좀 상승한 영향을 받는 거죠.
거기에 더해 출산률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던 것이 청년고용률인데, 청년고용률이 좀 나아지고 시간이 흘렀고요.
다만 아직은 바닥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바닥을 찍으려면 초혼연령이 먼저 천장을 찍어야한다고 생각해서요.
로피탈
25/07/23 15:18
수정 아이콘
어쨌든 늘었다는 거 자체가 희소식인데 다시 하락한다느니 하는 얘기를 굳이 할 필요가 있을까요
계속 오르길 빕니다 제발
25/07/23 15:27
수정 아이콘
출산율은 저점을 찍었을 수 있어서 계속 오를 수는 있는데 출생 아 수 자체는 줄어들 수 밖에 없는 운명이라서...
라붐솔빈
25/07/23 15:34
수정 아이콘
얼마전에 애 절대 안낳겠다던 83년생 누님도 출산하셨더라구요. 아이가 가져다 주는 행복을 꼭 많은분들이 누리셨으면 좋겠습니다.
25/07/23 15:37
수정 아이콘
출산율은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출생아수는 90년대생 이후로 인구 자체가 내리막이니 줄어들겠죠. 그래도 긍정적인 소식입니다. 어쨌든 출산률 측면에서 바닥을 찍었다는 거라...
그리고 체감도르 무시 못하는 것 같습니다. 체감상 지하철에서 임산부를 분명 예전보다 많이 봤거든요. 단순히 임산부 자리, 배지 등이 홍보가 잘 되면서 임산부들이 대중교통을 더 많이 이용하는가로 생각해 봤지만 아무리 봐도 모수 자체가 많아진 느낌 이었어요. 주변에서도 임신 소식을 많이 접했고...
25/07/23 15:37
수정 아이콘
2세 계획 없이 결혼했던 저희 부부도 지금은 준비중입니다.
결혼하고 나면 바라보는 시야가 달라져서 생각이 없었던 2세를 만들고 싶어지더군요.
아따따뚜르겐
25/07/23 15:44
수정 아이콘
딩크족의 유행이 끝난 느낌도 좀 나네요.
25/07/23 15:47
수정 아이콘
가정과 아이가 사치재화되었기 때문에 이제 쭉쭉 오를 겁니다
25/07/23 15:47
수정 아이콘
우리 쌍둥이도 5월에 태어나서 여기에 일조 했구나...
체크카드
25/07/23 16:50
수정 아이콘
축하드립니다 곧 100일이겠네요
힘드실텐데 빨리 통잠의 세계로
FlutterUser
25/07/23 16:03
수정 아이콘
그간 일부 커뮤들에서 결혼자체를 까는걸 보면서 뭔가... 신포도 얘기하는 느낌이기는 했죠.. 덜덜..
25/07/23 16:13
수정 아이콘
기저효과?
샤르미에티미
25/07/23 16:22
수정 아이콘
반대도 여러 가지가 이유가 있듯 이것도 여러 가지 이유가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지금 30대 후반~40대 초반 되어도 결혼 안/못 하는 걸 보면서 방향 트는 경우가 많아졌다고 하네요. 저게 맞아, 저게 좋아 보인다 해야 따라가는 건데 아니니까 같은 길을 가기 싫은 거고, Z-A세대들은 더 거부감이 심할 거기 때문에(모든 면에서 M세대와 다르게 가고 싶을 테니) 더 많은 혼인과 출산을 할 거라고 봅니다. 그렇다고 출산율이 2 이상으로 가진 않을 테니 인구 감소는 확정적이라 희망적이진 않고요.
25/07/23 16:39
수정 아이콘
이것도 맞는거 같아요. 요즘 젊은 부부들은 빠른 출산 테크를 선호하는 부부들이 생겼어요. 40대 무자녀 부부 또는 독신들이 그렇게 행복해 보이지 않는다. 후회를 많이 한다. 그때 가서는 낳고 싶어도 못 낳을 가능성이 높고 그로 인한 갈등도 많이 생기는걸 가까이서 지켜본 MZ들이 많죠.
25/07/23 17:54
수정 아이콘
제 세대만 그냥 직격탄 맞은거 같네요. 좋은.... 반면교사 대상으로. 씁쓸하지만 뭐 어쩌겠어요.
에스콘필드
25/07/23 16:28
수정 아이콘
좋은 현상이네요~
25/07/23 16:34
수정 아이콘
제발 많이 결혼하세요
서로 행복하세요
25/07/23 16:49
수정 아이콘
출생아 수는 눌지만 인구감소는 확정이라 어떤 미래가 기다릴까
순둥이
25/07/23 16:56
수정 아이콘
정따블 덕이다(아님)
VictoryFood
25/07/23 17:17
수정 아이콘
V자 반등 가즈아~
요케레스
25/07/23 17:17
수정 아이콘
30대후반 40대 초반 어? 유행이 바껴?
강문계
25/07/23 18:29
수정 아이콘
종종 보이죠
다 나만큼 불행해라
제발 대한민국 망해라
여기도 좀 보이네요
워3팬..
25/07/23 19:38
수정 아이콘
출산 지원금 육아 지원금 팍팍 했으면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수정잠금 댓글잠금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게시글 및 댓글 처리 강화 안내 (23.04.19) 더스번 칼파랑 23/04/19 161253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582599
공지 [유머] [공지] 타 게시판 (겜게, 스연게) 대용 게시물 처리 안내 [23] 더스번 칼파랑 19/10/17 587804
공지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공지사항(2017.05.11.) [2] 여자친구 17/05/11 1005074
517572 [기타] 중국 배우 장이양, 연인 살해 혐의로 ‘총살형’···판결 당일 집행 [18] Myoi Mina 4997 25/07/23 4997
517561 [기타] 호주에서 식사비 10% 할인 받은 쯔양 [7] 닭강정3099 25/07/23 3099
517560 [기타] 러브버그..신묘한 교미의 세계 [10] Lord Be Goja2533 25/07/23 2533
517553 [기타] [속보]14년 만에 '5월 출생아 수' 최대 증가…혼인도 4.0% 급증 [39] 아롱이다롱이5827 25/07/23 5827
517543 [기타] 킹론상의 수익율을 실현 완료 [13] Lord Be Goja4288 25/07/23 4288
517540 [기타] 장사할때 중요한것 [23] 로즈마리4200 25/07/23 4200
517539 [기타] (약후?) 캐비넷 문이 튼튼해야하는 이유 [11] 묻고 더블로 가!4632 25/07/23 4632
517535 [기타] 드디어 저주를 깨버린 판타스틱 4 [45] 롤격발매기원6496 25/07/23 6496
517533 [기타] 이번 갤럭시 폴더블 사전예구량 최초로 폴드가 플립 추월 [52] Heretic7843 25/07/22 7843
517532 [기타] 이 광고 알면 나이 많은거임 [25] 카루오스7178 25/07/22 7178
517531 [기타] 어제,오늘 주민센터 근황(민생회복 소비쿠폰 관련) [55] Croove9624 25/07/22 9624
517522 [기타] 세종대왕 어진에 대한 의외의 사실? [8] 윌슨 블레이드4451 25/07/22 4451
517521 [기타] 의외로 오래가기 힘들다는 문화 [27] Lord Be Goja7187 25/07/22 7187
517520 [기타] 잊을만 하면 올라오는 팁문화 도입 시도 [50] VictoryFood6597 25/07/22 6597
517519 [기타] 백종원의 새마을식당 파격 할인.jpg [23] insane7321 25/07/22 7321
517517 [기타]  애플페이 교카 수수료는 세금으로 충당하나요?? [27] Lord Be Goja6280 25/07/22 6280
517515 [기타] 2025 올해의 의정부고 졸업사진 [39] 스테비아5708 25/07/22 5708
517509 [기타] 프레데터: 죽음의 땅 2차 티저 예고편 [8] EnergyFlow2329 25/07/22 2329
517506 [기타] 애플페이 티머니 서비스 시작 [20] Karolin4602 25/07/22 460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