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7/15 20:51:43
Name 토우
File #1 Screenshot_20250715_204924_blind.jpg (363.2 KB), Download : 339
File #2 Screenshot_20250715_204931_blind.jpg (591.6 KB), Download : 339
출처 블라
Subject [게임] 네오플 파업 할만 한듯..




저걸 어떻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flowater
25/07/15 21:05
수정 아이콘
이건 뭐 죽지않고 살기위해 파업한건가요 ㅠㅠ
공기청정기
25/07/15 21:09
수정 아이콘
음...조선소에서 저것보다 더 찍고 다니던시절은 참 젊긴 했구나...싶네요...;;;
진짜 그때 어떻게 버틴거지;;;
No.99 AaronJudge
25/07/15 21:25
수정 아이콘
집에는 들어가셨었나요 그땐..?
공기청정기
25/07/15 21:43
수정 아이콘
금요일에 출근해서 월요일 아침에 집에가고 그랬었습니다...배선 찐빠나고 그래서...(...)
No.99 AaronJudge
25/07/15 23:08
수정 아이콘
……와………
공기청정기
25/07/15 23:37
수정 아이콘
근데 의외로 만족도는 꽤 높았었어요
돈 하나는 무지막지하게 벌리던 직장인데다(쓸 시간이 없어서...) 그땐 그냥 "돈! 돈! 돈! 집! 집! 집!" 하면서 돈 모으던 시절이라서...허허허...
쵸젠뇽밍
25/07/15 23:22
수정 아이콘
조선소 일 할 때 시수로 500시간씩 찍었다는 분들 이야기 듣고 대체 누가 그러나 했더니 여기 있었군요.
공기청정기
25/07/15 23:30
수정 아이콘
이거 살짝 함정이 있는데 잔업을 하면 수당 계산을 시간으로 한 뒤에 시급을 곱합니다
그러니까 정취근무 임금 얼마+잔업수당 얼마 하는 식으로 하는게 아니라 잔업까지 12시간을 근무 했으면 16.5시간에 시급을 곱해서 임금을 계산해요
그래서 월말에 시간 찍히는게 무지막지한 시간이 찍히는 이유가 그렇게 잔업시간은 1.5배를 곱해서 적어두는통에 그렇게 찍히는겁니다
...그걸 감안해도 300시간은 가볍게 넘었지만...
쵸젠뇽밍
25/07/16 00:06
수정 아이콘
네. 저도 시수를 이야기한 겁니다. 야간 1.5시간. 철야 2시간.
그걸 감안해서 500시간씩 찍는다는 게 누가 그러나 싶었거든요.
그 때 제가 시수로 300시간 좀 안되게 찍었는데. 500시간을 찍는 분들이 있더라고요.
공기청정기
25/07/16 00:11
수정 아이콘
저 딱 한번 찍어 봤었어요
...그리고 다음 한 달 병가내고 누웠어요...
하아아아암
25/07/15 21:12
수정 아이콘
??? 저긴 52시간도 안굴러가나보네요
이쥴레이
25/07/15 21:12
수정 아이콘
제가 빡셀때 회사에서 주당 90~100시간 찍고
1달 400시간 좀 안될때 있었습니다.
새벽 2~ 4시쯤 퇴근하고 다음날 9시 출근인데
한번 20분정도 지각해서 지각했다고 엄청 욕먹은적이...
억울해서 주말부터 내내 새벽에 퇴근하다가 오늘도 새벽 4시에 갔다가 피곤해서 지하철에 깜빡 출근중 잠들었다. 항변하는데
그러면 반차라도 쓰던지 하던 능력자라고 칭송받던 윗분...

지금 잘살고 있는지 모르겠네요. 크크
본인이 얼마나 사람들 쥐어짰는지.. 그때 진짜 근로감독 신고하고 싶었는데..
No.99 AaronJudge
25/07/15 21:24
수정 아이콘
??????
카미트리아
25/07/15 21:29
수정 아이콘
저게 시스템적으로 입력이 된다고요?
그것도 대단한데요
비오는풍경
25/07/15 21:31
수정 아이콘
대놓고 월 기본 근로시간이랑 연장 가능시간 써있는데 장식인가보네요
츠라빈스카야
25/07/15 21:30
수정 아이콘
주70시간?
프로미스나인
25/07/15 21:30
수정 아이콘
1달 283시간 이라는건가요?
저도 궁금해서 계산해보니 334.5시간 나오네요??
쉬엄쉬엄 해서 괜찮은건가...
택배회사 사무실입니다...
페로몬아돌
25/07/15 21:44
수정 아이콘
요즘 주 50해도 골골 되는데…
도롱롱롱롱롱이
25/07/15 21:46
수정 아이콘
시간을 어케 계산해야 하는거에요? 합산이 다 안맞어서~ 그리거 주 52시간 이상은 아예 불가능 할텐데?? 법적으로 불가능 한 것을 어떻게 시스템으로 입력 가능하게 만든???
츠라빈스카야
25/07/15 22:26
수정 아이콘
휴일 밤에 근무하면 휴일이랑 야간이 같이 잡히는 식이라면 안 맞을 수 있겠죠...?
도롱롱롱롱롱이
25/07/16 09:54
수정 아이콘
총근로시간 + 휴일근로시간으로 표시되고, 야간근로시간은 비용계산때문에 따로 빼논거군요.
웃긴게 시스템에서 표시되어 있듯이 근무 가능한 시간이 228시간 나오는데 어떻게 저렇게 초과해서 근무한건지 신기하네요.
저러면 바로 문제되는데요? 네오플이 4인 이하 소기업도 아닌데 말이죠.
에스콘필드
25/07/15 21:56
수정 아이콘
이유가 있었네요~
25/07/15 22:26
수정 아이콘
저게 입력이..?
25/07/15 22:4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도 예전 블랙기업에서 주당 80시간씩 일했었습니다. 포괄임금제라면서 추가근무 보상은 전혀 없었죠... 그렇게 1년 일하고 퇴사할 때 제 대체인력은 3명을 뽑아야 했고 크크 그 회사는 2년 뒤에 폐업엔딩을 맞았습니다.. 업계에 아주 악명이 높은 곳이었더군요.
manbolot
25/07/15 22:49
수정 아이콘
던모팀이신사 보네요
오픈전 보상만 보고 사람 갈아먹기로 유명했던 곳이라
lifewillchange
25/07/15 23:23
수정 아이콘
실 근무시간이 궁금하네요.
감전주의
25/07/15 23:38
수정 아이콘
미친 요즘 세상에도 저렇게 굴리는 회사가 있었군요
예전엔 저도 당연한 듯 일 했지만 지금은 못 함. 8-5에 길들여졌네요
공기청정기
25/07/15 23:57
수정 아이콘
아예 시스템을 이중으로 짜 두고 퇴근 두 번 찍게 하는데도 봤습니다(나중에 찍는쪽으로 임금 계산해 줌)
그나마 여긴 그래도 양심은 있다 싶었던게 최소한 돈갖고 장난질은 안치고 직원들 명절 선물로 런천미트 세트 같은거 사자고 하면 사장이 직접 그 직원 격추시켜버리고(?) 최소한 스팸 세트부터 시작하라고 했냐 안했냐? 하면서 갈구더군요(...)
25/07/16 00:01
수정 아이콘
예전에 폰게임 만들때 런칭하던 달이 생각나네요..

샤워할때 빼곤 리얼 회사에서 다 해결했었는데..
25/07/16 00:34
수정 아이콘
저렇게 입력할 수가 있나
마르키아르
25/07/16 00:48
수정 아이콘
같이 일하는 직원중 한명이 생각나네요....

한달에 300시간 이상 근무 --;;;

주 40시간 지켜서 일하는 다른 직원보다 추가수당 해서 3배 벌어갔던....--;
Fullhope
25/07/16 06:49
수정 아이콘
기본 40시간에 주휴일 8시간 더하면 = 48시간이고
1년은 52주이므로, 52*48 = 2,496시간
12개월로 나누면 208인데, 취업 규칙 등에 노동절 사창립기념일 등 휴일 계산하면 한달 기본이 약209시간 나옵니다.
209*10,030원 = 2,096,270원(최저임금 월급여)
근로기준법상 연장근로 1주 최대한도 +12시간이고,(주당 52시간 넘을 수 없습니다.)
12시간 * 52주 / 12월 = 월52시간 추가
209+52 = 261시간, 즉 법적으로 261시간은 일 할 수 있고, 많은 중소기업에서는 저렇게 일하고 있습니다. 물론 본문처럼 261시간을 초과해서 일하면 다른 수당 등으로 돌려서 나옵니다. 중소기업에서 바쁠때 280시간 일하는 사람 상당히 많습니다.
쵸젠뇽밍
25/07/16 08:18
수정 아이콘
근로시간 계산에 주휴일 8시간은 왜 더하는 거죠? 수당 계산이 아닌데요.

그냥 단순하게 4주 *52시간 208시간에, +3일간 36시간 더했다고 해도 최대가 244시간입니다. 특수하게 허용된 직업이 아닌 경우 법적으로 허용된 노동시간이요. 그나마도 계산법을 보셨다시피 매달 저렇게 할 수도 없고요. 애초에 법적 허용시간도 틀린데다, 님은 그 틀린 값인 261시간을 초과하면 수당등으로 돌려서 나온다고 하셨는데, 수당은 180시간쯤 넘으면서부터 나와야 하는 겁니다.

중소기업에서 280시간씩 일하는 사람 많죠. 근데 그게 법적으로 허용된 건 아닙니다.
Fullhope
25/07/16 10:30
수정 아이콘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1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보장하여야 한다. (근거:근로기준법 제55조)
-> 수당계산이 아니라 근로기준법에 명시된 노동자의 보장된 권리입니다.

특정한 주의 근로시간은 52시간을 특정한 날의 근로시간은 12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근거:근로기준법 제51조)
-> 맞습니다. 불법입니다. 그래서 수당으로 지급합니다.
쵸젠뇽밍
25/07/16 11:11
수정 아이콘
단어를 전혀 이해 못하고 계시네요.
하아아아암
25/07/16 12:50
수정 아이콘
근무 40시간에 48시간 치 급여주는게 주휴수당이고 저건 순수 근무시간이라 주휴랑 상관없습니다
25/07/16 07:13
수정 아이콘
법적으로 주 88시간까지 일할수 있는 직종이 있긴 하죠...
엘케인
25/07/16 08:22
수정 아이콘
저도 지금 9주째 주 6일 근무를 하고 있는데
매일 8시 전에 출근, 20시 넘어서 퇴근(주말엔 7시 출근..)하고 있어서
대충 짤에 나오는 시간만큼 근무하고 있네요.

뭐, 실무자가 아니라 직책자라 좀 나은 편이고,
팀원들은 칼같이 퇴근시키긴 합니다. 얼마 안되는 수당받는다고 ㅠㅜ
(그치만 출퇴근 거리가 멀어서 편도 2시간 넘는게 더 힘들다는게 함정)
영양만점치킨
25/07/16 08:38
수정 아이콘
20년 전에는 밤 12시에 끝나고 일찍 끝났으니 고기먹으러 가자 할때가 있긴했는데 요새도 저런데가 있다니..
25/07/16 08:54
수정 아이콘
병림픽 이지만 주당 110시간씩 일 했던 적이 있었죠. 지금은 그렇게 일 하면 바로 쓰러질듯
Far Niente
25/07/16 09:12
수정 아이콘
280시간보고 그렇게 많은가? 생각했던 내가 회사에 절여졌구나
플레인
25/07/16 09:21
수정 아이콘
신입때 한 2년정도 주 60~70시간 하면서 진짜 사는게 사는게 아닌거같다 하면서 다녔는데.. 젊을땐데도 몸이 하루하루 망가지는 것 같고 정신도 힘들고 자존감 바닥치고.. 당연히 야근수당 주말수당을 주는것도 아니니 돈도 안벌리고..
저는 월 280시간이면 착한 파업 인정합니다 크크크
율리우스 카이사르
25/07/16 09:30
수정 아이콘
저도 소싯적 일할 때 일요일밤에 출근해서 금요일 아침에 퇴근하는식으로 일했던적이 있었는데.. 진짜 월급 180이었는데 돈이 잘모였음.. 재워주고 먹여주고는 회사에서 해주니까.. 크크크.. 20년전이네요..
몽키매직
25/07/16 10:49
수정 아이콘
저 옛날 전공의 때는 주 120시간 일했었으니 월로 따지면 대략 500시간...
요즘은 88시간 제한이라 4주 기준 352 시간 딱 맞춰서 하는 곳이 많고...
25/07/16 12:13
수정 아이콘
병원에 있기만 하는시간(ex. 사무실에서 휴식 or 수면을 취해도 되나 콜 받으면 내려와야함) 이 아니라 근무시간이 120시간인건가요?
몽키매직
25/07/16 12: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당직 시간을 넣은 건데, 과마다 다르겠지만 저 같은 경우는 당직 때 2시간 정도 잤었습니다. 그거 일주일당 3.5일 들어간 계산이니까 굳이 당직 때 쉬는 시간 다 뺀다고 하면 거기서 6시간 정도 빼면 되긴 하겠네요. 근데 일반적인 근무도 근무 중 휴식시간도 근무시간에 포함하지 않나요? 근무시간에 점심시간 저녁시간 빼고 계산하진 않잖아요.

일단 다시 계산해보면 보통 7시 이전 출근, 당직하고 다음날 6시쯤 퇴근 (그 시절은 퐁당퐁당 이라고 2일에 당직 1번) 24시간 + 11시간 = 35시간 / 2일 이고 이걸 7일로 환산하면 122.5 시간이 나오고, 거기서 당직할 때 자는 시간 빼는 정도? 위에서 말씀드린대로 보통은 2시간 정도 자는 날도 있고 운 좋으면 3-4시간 자고 운 나쁘면 한숨도 못자고... 6시 퇴근도 안되는 날도 있죠, 환자가 안 좋으면 그 날도 그냥 병원에서 자고...
하아아아암
25/07/16 12:51
수정 아이콘
법적 근무시간을 따진다면 보통의 경우도 9시간 근무하면 휴게로 1시간 빠지긴 하져.
몽키매직
25/07/16 13:05
수정 아이콘
점심저녁, 자는 시간 빼면 일주일에 15시간은 뺴야겠네요 그럼
하아아아암
25/07/16 13:08
수정 아이콘
쉬라고 있는 법이긴한데...음...
25/07/16 21: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도 가끔 15~17일씩 휴무없이 일해보긴한데, (년에 한두번정도)
보고서 17일로 계산해보니 204시간이네요, 브레이크 타임 쉬니까 빼면 170시간
이거만 해도 진짜 돌아버리는데 280시간은 좀 ...

하고 나머지 시간을 계산해보니 주5일 계산해서 10일 일한다고 하면 ... 270시간이 나와버리네 ?
아 못쉰 휴무는 전부 월차로 받긴 합니다. 그래서 월차가 매년 30개 이상씩 쌓여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7349 [기타] 올해 상반기의 가성비 갑 마케팅 [33] lasd2418004 25/07/16 8004
517348 [서브컬쳐] 눈마새 설명회로 10만 달성한 유튜버가 다음에 한 일 [13] 빼사스5261 25/07/16 5261
517347 [기타] 2025년 1분기 세계 음악수출 상위 10대 국가 (한국 4위) [36] 내설수4420 25/07/16 4420
517346 [LOL] 라코 롤 클라 결국 영문과 동일하게 수정 [50] Leeka4734 25/07/16 4734
517345 [서브컬쳐] 네이버 웹툰 트레이싱 또 발견.. [20] 롤격발매기원5140 25/07/16 5140
517344 [기타] EU 성인인증 절차 프로토타입 도입 [13] 유머4747 25/07/16 4747
517343 [유머] 어쩔 수 없이 먹는 남자 [4] 김삼관4566 25/07/16 4566
517342 [방송] 미생 진엔딩 [13] 명탐정코난4470 25/07/16 4470
517341 [서브컬쳐] 진격의 거인 OST 중 제일 좋아하는 곡 [12] Anti-MAGE1713 25/07/16 1713
517340 [LOL] 온천에 가본 적 없는 라이엇 [13] roqur4080 25/07/16 4080
517339 [유머] 작가로 완벽하지만 늘 음해당하는 사람 [21] 길갈5250 25/07/16 5250
517338 [기타] 517331글 관련 네오플파업 다른시선 [51] 발라드3594 25/07/16 3594
517337 [게임] 스파6 사가트 게임플레이 트레일러 [15] STEAM1857 25/07/16 1857
517336 [기타] 커뮤니티에 혐오글이 많은 이유 [31] VictoryFood8343 25/07/16 8343
517335 [게임] [EWC] 올해도 이거 함 [11] 하이퍼나이프4164 25/07/16 4164
517334 [기타] (버츄얼 주의) 러브버그로 뒤덮였던 계양산 근황 [13] 묻고 더블로 가!7916 25/07/15 7916
517333 [유머] 왠지 불쌍한 친구 취급 받는 자동차 브랜드 [26] 깃털달린뱀9045 25/07/15 9045
517332 [유머] 의외로 저작권 소송에서 효과적이라는 방법 [12] 길갈8023 25/07/15 8023
517331 [게임] 네오플 파업 할만 한듯.. [50] 토우7514 25/07/15 7514
517330 [유머] 투표가 싫다는 일본인 [10] 인간흑인대머리남캐6064 25/07/15 6064
517329 [서브컬쳐] 애니 속 여름 vs 현실 여름 [6] 인간흑인대머리남캐3476 25/07/15 3476
517328 [유머] 스포) 유부남들은 오징어게임3 몰입 안되는 이유 [16] 페이커755853 25/07/15 5853
517327 [기타] 도박중독자들의 흔한 마인드 [55] 페이커756684 25/07/15 668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