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5/17 13:17:24
Name a-ha
File #1 무선_vs_유선.jpg (53.1 KB), Download : 401
출처 인터넷
Subject [기타] 많이 따라왔다지만 아직도 음질 싸움은 안 된다는 것


유선 이어폰 vs 무선 이어폰
오디오 전문 유튜버들 얘기 들어보면 20~30만원 대 무선 이어폰들도 4~5만원 대 유선 이어폰 음질에 비비지 못한다고 합니다.
데이터를 압축해서 블루투스로 전송하고 그걸 다시 디코딩 해서 구현해야 되는 무선 방식과 데이터를 물리적인 선으로 직접 손실 없이 받는 유선 방식이 아무래도 아직까진 같을 순 없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인간이 가장 참지 못하는 것 가운데 하나라는 "귀차니즘"과 "거추장스러우니즘"이 있는 이상 다시 유선으로 돌아갈 일은 없을 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코우사카 호노카
25/05/17 13: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유선도 중국 쪽에서 만드는 저가 제품들이 하방을 엄청 올려주더군요
Lord Be Goja
25/05/17 13:24
수정 아이콘
하지만 골방리스너가 아니라면 음질도 구분하기 힘들고 야외면 노캔도 중요해져서 돌아댕기면서 들으면 5만원짜리 유선으로는...

패시브로도 충분한 차단이 되는 헤드폰세계에서나 맞는거같아요
라방백
25/05/17 13:25
수정 아이콘
마우스는 이제 무게 말고는 유무선 차이가 거의 없을것 같은데 음악은 용량이 커서 아직 문제인가보네요. 마우스는 비접촉 충전 제품은 무게마저도 극복하는 중인데 이어폰은 그것도 안될거고...
호랑이기운
25/05/17 13:27
수정 아이콘
c타입 유선도 포함이겠죠
에킨즈
25/05/17 19:09
수정 아이콘
C타입도 DAC의 성능에 좌우되긴합니다. 10만원대 DAC랑 일이만원 하는 DAC는 쫌 차이가 조금 차이가 나긴 합니다.
ANTETOKOUNMPO
25/05/17 13:28
수정 아이콘
성능차이가 어마어마한 청소기도 유선을 못쓰는데, 이어폰 정도면 성능차이도 별로 없는거죠.
(지난주에 무선청소기 처음 사고 신기해하는 구시대인)
설사왕
25/05/17 13:30
수정 아이콘
어떤 기기는 이어폰이라고 부르고 어떤 기기는 이어버드라고 부르는데 이어폰과 이어버드의 차이는 뭘까요.
25/05/17 13:32
수정 아이콘
(수정됨) 게임기냐 플스냐의 차이입니다.
첨언하자면, 가장 많이 알려진 애플의 에어팟과 에어팟 프로,
삼성의 갤럭시 버즈, 보스의 이어버드가 있습니다.
다시마두장
25/05/17 17:39
수정 아이콘
영어권에서는 명확한 기준 없이 혼용해서 쓰고 있습니다.
검색을 해보면 커널형이 이어폰, 오픈형이 이어버드라는 식의 구분이 소개되어 있는데 실질적으로는 종래의 유선형을 이어폰, 무선형을 이어버즈라고 부르는 경향이 더 강합니다.
우상향
25/05/17 13:34
수정 아이콘
무선으로 전달받은 음악 데이터가 완벽하지 않아도 재생이 되나 보네요.
회색사과
25/05/17 14:33
수정 아이콘
블루투스 자체가 손실전송 방식이어서요 흐흐 
제발존중좀
25/05/17 14:59
수정 아이콘
손실전송방식이 보통 더 흔합니다.
라디오도 그렇고, 저희가 매일 하는 전화통화도 그렇습니다.

엄밀히 따지면 유선이어폰도 결국 손실전송방식이기도 하구요.(사실상 무손실로 봐도 되긴하지만요.)
우상향
25/05/17 15:57
수정 아이콘
그쪽으로 문외한이라..
pc 파일 다운로드처럼 파일 다 받기 전엔 재생이 안되는 줄..
25/05/17 17:12
수정 아이콘
음… 이 '손실' 개념이라는 게, 완전한 파일을 발신했는데 그것을 불완전하게 수신한 상태로도 재생을 할 수 있는 방식보다는, 애초에 신속하게 보낼 수 있도록 요약본만 발신하는 것에 더 가깝습니다. 원본이 아닌 요약본이니까 '손실'이라고 표현하는 거고요.
파라슈
25/05/17 18:42
수정 아이콘
소리가 조그마한 블록단위로 잘려서 이어폰에 전송되니까 도중에 손실되더라도 그 부분 음만 유실되겠죠. 지하철같이 밀집 지역애서 음이 잠깐잠깐 잡음처럼 들리는게 그런 경우입니다
우상향
+ 25/05/17 20:25
수정 아이콘
뭔가 좀 어렵네요 흐흐
고라니
25/05/17 16:34
수정 아이콘
애초에 mp3도 손실방식입니다.
우상향
+ 25/05/17 20:34
수정 아이콘
mp3 손실 방식하니까 생각나는 게 있네요.
대학 때 음악 교양 수업을 들었는데 교수님이 음악 자체는 힘이 없다라는 주장을 여러번 하시더군요.
무슨 얘기인가 싶어서 들어봤더니 식물에 음악을 들려주면 더 잘 자란다라거나 mp3는 손실(토막난 음질?)된 음질이라 몸에 안 좋다(?) 같은 주장 때문에 음악 자체는 힘이 없다라는 말씀을 하셨더군요. 유사과학이란 말이 널리 퍼지기 전이었던 때라서 그런가보다 했는데 MP3 손실하니까 생각났네요.
25/05/17 13:44
수정 아이콘
저는 어차피 막귀라서 무선이 너무나 편합니다.
25/05/17 13:49
수정 아이콘
유무선 차이가 넘사인건 샤워기죠.
뭐햐냐고 빨리 개발 안하고
25/05/17 14:14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크크크크 무선샤워기 발명될쯤이면 과학계에 어떤일이 일어났을지 크크
탈리스만
25/05/17 13:51
수정 아이콘
저는 유선 쓸때도 귓구멍이 작아서? 이어폰이 자주 빠졌는데 무선은 더 심각하더군요 ㅠ
유선은 떨어트릴 걱정이라도 없지 무선은 그냥 떨어져버리니.. 흑흑
VinHaDaddy
25/05/17 13:53
수정 아이콘
저도 그래서 귀에 거는 형태 말고는 쓰질 못합니다. 샥즈로 정착한 지 꽤 됐습니다.
탈리스만
25/05/17 14:05
수정 아이콘
샥즈가 뭔가 검색해보니 골전도 블루투스 이어폰이군요. 전에 잠깐 써본 적 있었는데 골이 좀 아픈 느낌이 있어서 안 썼거든요.
혹시 싼 걸 써서 그랬을 수도..?
25/05/17 14:51
수정 아이콘
오픈형인 에어팟류가 잘 빠지는 분들은 커널형(에어팟 프로)을 사용하시면 실리콘 이어팁이 어느정도 고정을 해줘서 잘 빠지지 않습니다.
저도 에어팟 사용할때 잘 빠져서 불편했는데, 커널형 사용한 뒤부터는 러닝할때도 안정적으로 고정됩니다.
비싼 에어팟프로 같은 제품이 아니어도 커널형의 경우에는
이어팁이 사이즈별로 동봉되어 있어서 귀에 맞는 사이즈를 착용하시면 되요.
25/05/17 15:11
수정 아이콘
시착 가능하면 여러 제품 해보세요.
귓구멍이 작다는분은 일반적으로 고정을 잡아줄 곳이 없다던가 귀 구조가 다른 형태인 경우가 많습니다.
제품은 다양한 형태가 있고 브랜드마다 고정방식도 달라서 맞는게 하나는 있을겁니다.

이도저도 안맞는다면 헤드셋형이나 귀에 거는 형태의 제품이 적합합니다. 이마저도 불가능한 경우는 귀가 없는 경우인데 남은 귀 형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귓구멍이 막혀있는 경우라면 골전도 제품이 있네요.
25/05/17 13:57
수정 아이콘
막귀라 행복하네요..
사랑해 Ji
25/05/17 16:24
수정 아이콘
막귀라 행복합니다222
두드리짱
25/05/17 13:57
수정 아이콘
유선은 길워도 반년 쓰면 고장남.. 줄 끊어진듯
무선 만만세
25/05/17 13:58
수정 아이콘
유선은 줄 때문에 발생하는 노이즈가 있습니다..
비오는풍경
25/05/17 15:55
수정 아이콘
이걸 치찰음이라고 하던가요?
저도 오히려 이거 때문에 유선 포기했는데 너무 편합니다
치찰음 없는 환경이면 굳이 이어폰 안쓰죠 스피커 쓰지
크로미
25/05/17 14:12
수정 아이콘
집에선 비싼돈 주고 앰프랑 헤드폰 들여서 듣지만 밖에선 걍 버즈3 쓰는데 개인적으론 여태 사본 무선이어폰들중 젤 맘에들어요 착용감도 좋고 오픈형인데 노캔도 좋고. 집밖에선 앞으로도 무선만 쓸듯
전기쥐
25/05/17 14:12
수정 아이콘
이어폰vs헤드폰도..
25/05/17 14:13
수정 아이콘
전 귀찮아서 무선을 절대 못쓰는 사람이라..
고라니
25/05/17 16:35
수정 아이콘
유선이 더 귀찮지 않나요? 자꾸 엉켜서 너무 싫었어요.
파라슈
25/05/17 18:43
수정 아이콘
충전 얘기신듯요. 은근히 성가시더라구요.
25/05/17 14:16
수정 아이콘
[] 부분이 이어폰 부분
유선: 디지털 음악 -> DAC 통해 아날로그로 변환 -> [아날로그 데이터 유선 전달 -> 엠프 + 스피커]
무선: 디지털 음악 -> 블루투스오디오 압축 -> 아날로그 전파로 변조 송신 -> [RF수신 -> 복조 -> 블루투스데이터복원 -> 오디오디코딩 -> DAC -> 아날로그로 변환 -> 엠프 + 스피커]
25/05/17 14:22
수정 아이콘
뭐 음질로는 유선을 못 이기죠. 외출할 때는 너무 편해서 쓰는 거지
다람쥐룰루
25/05/17 14:41
수정 아이콘
무선은 유선에 못비비고 유선도 휴대용은 어댑터에서 전기 빵빵하게 공급해주는 거치형에는 못비빕니다.
상황에 맞게 쓰는거죠
선택지가 넓어졌다는 자체로 좋은게 아닐꺼요
25/05/17 14:41
수정 아이콘
중요한 통화를 하려고 할 때 무선 이어폰의 블루투스 연결이 끊기는 경험을 하고 나서는 유선 이어폰을 선호합니다. 게다가 충전량도 신경 쓸 필요가 없고 어디 한쪽 떨어뜨리고 잃어버릴 염려가 없어서 오히려 더 심리적으로 편합니다. 무선 이어폰은 사무실에서 전화 통화할 때 양손을 계속 사용할 수 있다는 용도로 한쪽만 씁니다.
아이군
25/05/17 14:42
수정 아이콘
둘 다 있지만 결국 무선만 쓰는 1인....
파프리카
25/05/17 14:43
수정 아이콘
무선 블루투스 샤워기도 만들어 주세요!
명탐정코난
25/05/17 14:58
수정 아이콘
전 지금도 유선이 훨씬 편합니다. 3.5파이 살려줘요
다람쥐룰루
25/05/17 15:01
수정 아이콘
그 중국에 3.5랑 4.4 단자가 다 있는 핸드폰을 출시했다더군요
혹시 서브폰을 쓰신다면...
25/05/17 15:20
수정 아이콘
유선 4~5만원이 무선 압살하는 수준이고
유선 2~3만원이라면 무선이 겨우 비등비등 하거나 그 이하같네요.
그래도 무선이 좋아요. 너무 편합니다.
cruithne
25/05/17 15:22
수정 아이콘
무손실 블투코덱이 나오기 전까지는 이론적으로 절대 못따라잡죠
샤워후목욕
25/05/17 15:51
수정 아이콘
배그, 소울류 할때는 유선
기타 패키지 할때는 무선으로
몽키매직
25/05/17 16:02
수정 아이콘
일단 전력공급, dac 성능 차이 2개가 극복이 쉽지 않아서...
폰카 정말 많이 발전했지만 판형 + 광학부 성능 때문에 카메라를 완전히 대체 못하는 것과 마찬가지죠.
고라니
25/05/17 16:35
수정 아이콘
소니가 그나마 강점을 보이는 부분이였죠. 근데 여전히 유선이 더 좋을 때가 많더라고요.
깜디아
25/05/17 16:48
수정 아이콘
전 음질차이보다 타임렉이 더 싫습니다.
한창 리듬게임 하고 있던 시절 아이폰이 갑자기 이어폰구멍을 없애버리고 에어팟이 유행타기 시작하더니....
그 이후로 리듬게임은 거의 없어지더군요
다레니안
25/05/17 17:25
수정 아이콘
출퇴근을 자차로 할 땐 몰랐는데 대중교통으로 바뀌니까 노캔이 정말 어마어마한 아이템이더라구요.
노캔 없는 출근길 이제 상상도 안 갑니다. 크크크
Myoi Mina
25/05/17 17:37
수정 아이콘
이건 사운드바같은것도 마찬가지라 크크크크
와이파이에 블루투스까지 다 지원된다고 해도 그렇게 쓰시는분들은 거의 없죠. E-ARC를 포기하라는건데..돌비애트모스같은 거 다 포기하고 스테레오로 쓸리가
25/05/17 17:41
수정 아이콘
요줌 유선이 가꿈 땡길때가 있더라고요. 통화할때 마이크 품질이 너무 구지라
아엠포유
25/05/17 17:43
수정 아이콘
하 이과놈들 뭐하냐 빨리 블루투스 샤워기도 개발하라고
가디언테일즈
25/05/17 18:34
수정 아이콘
c타입 유선이어폰 추천부탁드립니다 굽신굽신
25/05/17 18:49
수정 아이콘
유튜브에 기즈모라는 오디오 리뷰 채널이 있는데 거기 주인장이 추천하는 제품이 있더라구요. 단 C-type은 아니고 3.5mm 이어폰 잭인데 변환젠더를 같이 준다고 하네요.
https://www.youtube.com/watch?v=nexJoDwSgHo&t=247s
가디언테일즈
25/05/17 19:56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김성수
25/05/17 18:46
수정 아이콘
귀 가려워서 도저히 못 쓰겠더라구요. 유닛 자체가 너무 가려움.. 다만 유선 이어폰도 무선 이어폰만큼 큰 건 바로 가렵더라구요.
너T야?
25/05/17 19:17
수정 아이콘
유선은 줄이 걸리는 소리가 나서 오히려 음질이 떨어지던데...
25/05/17 19:30
수정 아이콘
운전중 전화할때 유선 이어팟이 최강 입니다.
통화품질이 극상이고 귀에 부담도 적습니다.
통화품질이 유선 이어팟보다 좋은거 못봤습니다.
가스트락스
25/05/17 19:40
수정 아이콘
애당초 음원 자체를 CD 리핑이나 무손실로 듣는 시대가 아니고
그냥 유튜브 뮤직, 스포티파이, 애플뮤직같은데서 스트리밍으로 듣는 시대인데
유무선 따지는 거 자체가 보통 사람들에겐 의미가 없죠
+ 25/05/17 20:20
수정 아이콘
그래서 단순 음질로 무선이어폰 고르는 건 가성비가 안나오죠.
괜히 QCY가 나름의 시장파이를 가지고 있는게 아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수정잠금 댓글잠금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게시글 및 댓글 처리 강화 안내 (23.04.19) 더스번 칼파랑 23/04/19 149343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574132
공지 [유머] [공지] 타 게시판 (겜게, 스연게) 대용 게시물 처리 안내 [23] 더스번 칼파랑 19/10/17 578447
공지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공지사항(2017.05.11.) [2] 여자친구 17/05/11 991985
515420 [기타] 계층)피지알에서도 팬층이 있었던 똥겜&고겜 스트리머 근황 [4] Thirsha741 25/05/17 741
515418 [기타] [478140번 글 관련] 정정된지 모르겠을 오보에 대하여 [4] 시린비976 25/05/17 976
515417 [기타] 최신 의수 근황 [19] 어강됴리3923 25/05/17 3923
515414 [기타] 군자(?)의 복수는 십 년이 걸려도 늦지 않다 [10] 홍검3382 25/05/17 3382
515409 [기타] 많이 따라왔다지만 아직도 음질 싸움은 안 된다는 것 [62] a-ha6923 25/05/17 6923
515407 [기타] 순살 치킨값 초비상 [23] 카루오스8255 25/05/17 8255
515393 [기타] 의외로 군대식 해결방법을 꺼내든 미국인들 [35] Lord Be Goja8136 25/05/16 8136
515376 [기타] 일본 농협 공식 광고.. [69] 롤격발매기원11940 25/05/16 11940
515366 [기타] 맥딜리버리 서비스 종료 [7] 묻고 더블로 가!7427 25/05/15 7427
515356 [기타] 땅파다 문화재 나오면 다시 묻거나 부숴버리는 이유. [49] 캬라8186 25/05/15 8186
515354 [기타] 이번 산불로 탄 고목들 근황 [20] 길갈7157 25/05/15 7157
515343 [기타] 잘 만들면 16키 키보드도 가능 [18] 닉넴길이제한8자4743 25/05/15 4743
515331 [기타] PG 뉴건담 가격 및 발매일자 공개 [41] 한입4758 25/05/14 4758
515328 [기타] 세계 6대(?) 물질 [40] a-ha8501 25/05/14 8501
515325 [기타] 기만공구 인플루언서 슈블리맘 의혹 영상.. [17] 카미트리아8531 25/05/14 8531
515319 [기타] 요즘 키보드의 트렌드 [84] 톰슨가젤연탄구이9424 25/05/14 9424
515316 [기타] 유니스트에서 개발했다고 하는 투명 태양광 패널 [38] a-ha6970 25/05/14 6970
515315 [기타] 구글 로고 변경 [14] 유머5827 25/05/14 5827
515299 [기타] 제국의 로보트 공장 [5] 퀀텀리프4454 25/05/13 445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