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5/14 08:54:13
Name a-ha
File #1 1.jpg (118.7 KB), Download : 125
출처 스레드
Subject [기타] 유니스트에서 개발했다고 하는 투명 태양광 패널 (수정됨)


유니스트에서 투명 태양광 패녈을 개발했다고 합니다. 이게 상용화가 잘 되면 빌딩이나 건물 유리창을 태양광 패널로 바꿔서 효율이 크게 올라갈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지금은 태양광 패널을 건물 옥상 같은데 별도로 설치하고 있는데 만약 유리창 대신 쓸 수 있다면 아주 뛰어난 제품이 될 것 같습니다. 관건은 패널 자체의 효율이 기존의 불투명한 패널보다 더 나은가 하는 점이겠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카오루
25/05/14 08:55
수정 아이콘
제발 전기차 유리에 도입좀..!!
25/05/14 13:22
수정 아이콘
와...그거 끌리네요
25/05/14 16:14
수정 아이콘
흠 달아도 현재 기준 태양광 패널 효율 + 매일 운행한다고 가정시 항속거리 5%도 안 늘어납니다. 일단 용도 자체가 열받는데 적합하지 않고(냉각에 에너지를 다시 끌어다 쓸 순 없으니)지금 지붕에 달리는 패널은 비유하자면 타이타닉 잘 가고 있는데 장정 열댓명이 힘 보태겠다고 노 젓는거랑 비슷해용
nn년차학생
25/05/14 08:57
수정 아이콘
가격과 성능에 따라 상용화 여부가 갈리겠네요
시린비
25/05/14 08:58
수정 아이콘
창문청소를 잘해야
김건희
25/05/14 08:59
수정 아이콘
제발 니콜라 엔딩만 아니기를
라방백
25/05/14 09:00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단순 투명 태양전지 기술은 나온지가 좀 된 기술로 아는데 재료가 비싸다 + 효율이 낮다 (제가 논문 보던시기 기준으로 최대 5%쯤) 때문에 상용화는 거리가 좀 있었던 걸로..
츠라빈스카야
25/05/14 09:02
수정 아이콘
에너지를 얻는 전자파 대역을 가시광선을 제외하도록 하는 건 둘째치고, 그걸 달성하는 소재 자체를 가시광선을 투과하는 소재로 만든 게 대단한 듯....
김유라
25/05/14 09:03
수정 아이콘
저희 연구실에서 그래핀 기반으로 10년 전 즈음인가 했었던거네요 크크

위에 라방백님 말씀대로 나온지는 좀 됐고, 가성비 문제때문에 상용화는 힘듭니다
타츠야
25/05/14 15:54
수정 아이콘
수명은 어떤지요? 현재 많이 설치되는 패널은 20년 이상은 가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김유라
25/05/14 16:59
수정 아이콘
희토류 기반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은 제 분야가 아니라서 잘 모르는데,
그래핀 기반은 아무래도 외부에 의한 데미지를 어느 정도 받는 소재다보니 20년은 절대로 못갈 것 같습니다 크크크
타츠야
25/05/14 17:21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그럼 저건 힘들겠네요. 단열 문제도 있는 창문에 저걸 설치했는데 자주 갈아야 하면 크크
25/05/14 09:09
수정 아이콘
제가 연구실에 있을때 유리위에 얹을 목적으로 유기태양광 연구를 했었는데
이건 색조가 있는 대신 20%정도 효율을 보였었습니다.
근데 제오라이트에 비하면 많이 떨어지고 기존 태양광이랑 효율만 비교하면 많이 부족하죠...
깜디아
25/05/14 09:28
수정 아이콘
와 이제 저기에 디스플레이 기능까지 넣어서 콘센트 안꼽아도 되는 디스플레이 창문이 나오면!
25/05/14 09:40
수정 아이콘
와 이제 창문마다 광고가!
살려야한다
25/05/14 12:07
수정 아이콘
광고 해제는 별도 구독제!
25/05/14 09:42
수정 아이콘
가격이...!!!!
지니팅커벨여행
25/05/14 09:40
수정 아이콘
가격만 싸면 효율 떨어져도 더 보급이 잘 되겠죠.
근데 투명 유리판이 과연 광자를 얼마나 반사 안 시키고 전기를 만들어 낼지 의문이긴 하네요.
크레토스
25/05/14 09:43
수정 아이콘
효율이 떨어지는데 가격 싼 경우는 기술 자체가 저가에 특화된 경우거나 양산한지 몇년된 제품이라 가격이 싸거나 그런 경우가 많은데..
이건 그런게 아니니 가격이 기존 것보다 쌀 수가 없고 효율도 마찬가지죠. 아마 건축가들이 예술적으로 짓는 그런 건축에 일부 유리 대신 쓰는 거 말곤 쓸일 없을거에요.
미카엘
25/05/14 09:40
수정 아이콘
저거 한답시고 유리창 비율 높은 유리 건물 안 세우길.. 공조와 온도 제어에 최악입니다. 그 온도 제어에 들어가는 에너지량이 압도적이라 오히려 더 안 좋아요.
라니안
25/05/14 09:59
수정 아이콘
썬루프 정도에만 활용되어도 대박아닐까요?
인생잘모르겠
25/05/14 10:05
수정 아이콘
너무 안좋게만 이야기 할께 아니라 시작 단계라 생각하면 좋을꺼같습니다. 이걸 시작으로 점점더 효율 좋고, 가격도 싸게 만들수 잇는 기술들이 나오겠죠.

근데 이름이 유비소프트랑 비슷하네요.
25/05/14 10:08
수정 아이콘
전기차에 적용되면 야외 주차장에 세워만 둬도 충전이?
쵸젠뇽밍
25/05/14 10:12
수정 아이콘
유리창에 쓰는 건 별로일 것 같고, 어딘가 특수하게 쓰일 곳이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가시광선만 투과하고 나머지 영역대를 일정정도 흡수한다는 것을 활용하는 방법도 나올 수 있을 것 같고요.
하아아아암
25/05/14 10:18
수정 아이콘
관건은 효율보단 생산단가일거 같네요
이사빠
25/05/14 10:30
수정 아이콘
유리창은 단열도 중요해서..
최종병기캐리어
25/05/14 10:41
수정 아이콘
15~6년 전 유기화합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BIPV(건축물 일체형 태양광 시스템)을 주제로 국책연구를 했었는데,
결정질보다 낮은 효율, 수직설치로 인한 효율 저하로 2~3% 수준의 발전 효율이 나왔습니다.

그 이후 그 과제는 실증화까지 가지 못하고 조용히 사라짐..
아이군
25/05/14 10:54
수정 아이콘
소위 도시형 발전이 신재생의 목표죠.... 뭐 잘 될지는 아직....
25/05/14 11:49
수정 아이콘
튼튼할까요? 우박 한대 맞으면 바로 고장나고 그러면 좀..
뒹굴뒹굴
25/05/14 11:49
수정 아이콘
지금 상용 패널 효율이 20%가 넘으니까 이게 한 10%만 나와도 전기차에는 의미가 있을 것 같기는 한데요.
25/05/14 11:50
수정 아이콘
투명하면 여러개 겹쳐서 단위면적당 전력생산을 늘릴 수도 있을까요??
25/05/14 12:43
수정 아이콘
수력발전 터빈을 여러 개 연달아 놓는다고 생각해보시면 됩니다
당연히 뒤에 거는 효율이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VictoryFood
25/05/14 12:58
수정 아이콘
가시광선을 통과시키고 비가시광선으로 발전을 하는 거라 두번째 부터는 급격히 효율이 떨어질 거 같습니다.
iPhoneXX
25/05/14 12:07
수정 아이콘
효율이 엄청 좋거나 가격이 싸거나 혜택이 있거나 해야 되는데 쉽지 않죠..
VictoryFood
25/05/14 12:59
수정 아이콘
판유리처럼 패널 한장을 얼마나 크게 만들 수 있느냐가 중요할 거 같아요.
본문 그림의 저정도 크기면 창으로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니까요.
無欲則剛
25/05/14 16:07
수정 아이콘
본문에 있듯이 관건은 전환효율이 얼마인간데 그게 안 니와있다는건 대체적으로 신통찮으니까 그런거죠
raindraw
25/05/14 16:07
수정 아이콘
효율은 최소한만 나오더라도 가격 싸게 대량생산만 가능하면 될 것 같은데 그게 안되는게 현재의 문제이겠죠?
손꾸랔
25/05/14 22:10
수정 아이콘
농작물 등 아래쪽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면 특히 우리나라에서 유용하겠는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5318 [게임] NC소프트 25년 1분기 실적발표 [57] 롤격발매기원6585 25/05/14 6585
515317 [게임] 스파6 역대 메이저 오프라인 토너먼트 우승 컨트롤러 정리 [4] STEAM1780 25/05/14 1780
515316 [기타] 유니스트에서 개발했다고 하는 투명 태양광 패널 [38] a-ha5889 25/05/14 5889
515315 [기타] 구글 로고 변경 [14] 유머4856 25/05/14 4856
515314 [서브컬쳐] 강력 스포) 우주세기 건담 팬들이 미쳐서 날뛰고 있습니다. [35] 드라고나5386 25/05/14 5386
515313 [방송] 우리집은 아버지의 아버지의 아버지 때부터 부자였어.twt [16] VictoryFood7483 25/05/14 7483
515312 [유머] 헐리웃 유명배우들이 살 찌우는 방법.jpg [9] VictoryFood7163 25/05/14 7163
515311 [유머] 충클라베 [6] 김삼관4547 25/05/14 4547
515310 [서브컬쳐] 나랑 수준 안맞는 친구를 대하는 자세 [5] 인간흑인대머리남캐4888 25/05/14 4888
515309 [게임] 갑자기 나타난 역대 최고 수준 퀄리티의 모바일 미소녀 게임 [24] 묻고 더블로 가!6392 25/05/14 6392
515308 [유머] 사케 알아가기 김삼관2340 25/05/14 2340
515307 [연예인] 와 쟤는 고소가 무섭지도 않나? 크크 [9] roqur6623 25/05/13 6623
515306 [스타1] ASL 19 결승전 확정 [24] Pika484306 25/05/13 4306
515305 [유머] 모두가 짐작하고 있는 보조배터리 폭발 사유.jpg [16] Myoi Mina 7842 25/05/13 7842
515304 [음식] 개인적으로 저평가 받는다고 느끼는 봉지라면들.jpg [65] Thirsha7879 25/05/13 7879
515303 [유머] PGR 맞춤 서비스 단돈 3만원 [7] 코우사카 호노카3629 25/05/13 3629
515302 [스포츠] 제 2의 호날두 등장 [8] 김삼관4061 25/05/13 4061
515301 [서브컬쳐] 요즘 ai 그림 수준 [15] 김아무개4643 25/05/13 4643
515300 [유머] 완전 딱걸린 진격의 거인 표절 논란.jpg [20] 궤변7052 25/05/13 7052
515299 [기타] 제국의 로보트 공장 [5] 퀀텀리프3800 25/05/13 3800
515298 [유머] 이보시오 의사양반 [8] 어강됴리4452 25/05/13 4452
515297 [LOL] 문득 생각나는 pgr 파묘 [21] roqur4199 25/05/13 4199
515296 [게임] 6월에 스팀 발매된다는 국산게임 [5] Lord Be Goja3897 25/05/13 389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