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2/12 10:04:30
Name Lord Be Goja
File #1 엔드.png (1.15 MB), Download : 213
출처 브라인드/애팸코리아
Link #2 https://www.fmkorea.com/best/8016938619
Subject [게임] 스피커의 중요성 (수정됨)



엔드림직원의 이야기는 PGR에서도 종종보던이야기고 유명 제작자중에 미야모토 시게루처럼 게임 잘 안한다는 사람도 있긴하지만..
화자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2/12 10:1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치지직에서 방송하는 김도가 예전에 EA에서 일할때 썰을 풀었던 적이 있는데 이동을 왜 wasd로 해야하는지 이해가 안된다는 개발자도 있었다고 했었죠. 정확히는 이동을 wasd로 하는 사실 자체를 몰랐다가 캐릭터 이동은 wasd로 해야한다고 하니까 왜 그렇게 해야하냐고 따졌다고 했던거 같은데
25/02/12 10:16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케이스 같은 경우 왕왕 창의적인 조작법으로 새로운 신세계를 열기도 하겠지만 지금 wasd가 아닌 조작법을 가진 게임이
뭐가 있나 하면.. 크크크
Winter_SkaDi
25/02/12 10:17
수정 아이콘
히트박스...?
Lord Be Goja
25/02/12 10:19
수정 아이콘
와우는 종종 키를 wsad를 옆으로 한칸씩 밀면 단축키 확보에 유리하다는 경우가 있긴하더군요
근데 전 적응실패로 안함
25/02/12 10:22
수정 아이콘
w,s,d,caps lock...!?
Lord Be Goja
25/02/12 10:23
수정 아이콘
오른쪽으로 미는거죠
25/02/12 10:23
수정 아이콘
머쓱타드...
Lainworks
25/02/12 11:09
수정 아이콘
저도 퀘이크같이 무기 많이 들고 다니는 게임 할때는 그렇게 했었네요
머신건 샷건 플라즈마 로켓 레일건 정도를 가까이 놓고, 라이트닝 BFG 건틀릿은 한칸 건너 놓고...
한창 열심히 할때는 로켓점프용으로 뒤돌아서-50도 각도로 머리 숙이고 - 로켓 발사하는 매크로 x 키에 심어놓고...
다람쥐룰루
+ 25/02/12 11:50
수정 아이콘
상당히 혁신적인 도전이라고 생각합니다 esdf로 움직이면 새끼손가락을 이용해 az 버튼을 누를 수 있다는점이 다양한 컨트롤에 도움이 많이 되죠
+ 25/02/12 12:32
수정 아이콘
저는 레이드때는 방향키로 이동(qe사이드스탭)하고
왼손으로 스킬 사이클 돌렸는데 공대원들이 그거듣고
진정한 쌍수딜러라고 욕했던 기억이...
메가트롤
25/02/12 10:38
수정 아이콘
디아블로 팬보이라든가
+ 25/02/12 11:31
수정 아이콘
와우 투기장 도적 1등이 z, x 로 좌우만 사용하고 겜했었는데 이런거보면 외국 애들은 참 열린 사고에요. 
네모필라
25/02/12 10:17
수정 아이콘
원래 당연히 화살표키였다가 WASD로 바뀐거도 혁명이긴 한데 그 사람은 그런 생각까지 하고 말한건 아니겠죠? 크크크크
25/02/12 10:19
수정 아이콘
게임회사인데 게임 모르는 사람 정말 많다는 얘기를 하다가 이동을 wasd로 하는 사실 자체를 모르는 사람도 있었어! 이런식으로 말한거라
지켜보고있다
+ 25/02/12 12:51
수정 아이콘
??? : 이상하네 hjkl이 국룰아닌가? (아님)
Winter_SkaDi
25/02/12 10:17
수정 아이콘
게임 개발을 트렌드 따라가고 레퍼런스 있어야 하는 건 아니긴 하죠.
근데 그건 재밌는 걸 만드는 데 성공한 사람이 말해야 설득력이...
몽쉘군
25/02/12 10:26
수정 아이콘
특별한 경우야 있겠지만 대중적으로 본다면 게임을 어느정도 해봐야되는게 맞다고 봅니다.
특수한 경우는 말그대로 특수한 경우이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평범하니깐요..
쵸젠뇽밍
25/02/12 10:30
수정 아이콘
게임도 젠트리피케이션됐다고 생각합니다. 진작예요.
최근 가장 활발하게 젠트리피케이션되는 분야는 히어로 영화 쪽이라 보고요.
스덕선생
25/02/12 10:34
수정 아이콘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콩코드 아닐까 합니다.
하이퍼 FPS를 잠깐이라도 접해본 사람이면 이게 흥할거라는 생각을 할 리가 없었죠.

그런데 게임 안 해보고 펜대만 굴리는 양복쟁이가 판단하니까 그런 결과가 나온거고요.
스톤콜드 스터너
25/02/12 11:07
수정 아이콘
거기서 수장질 하던 교수라고 불러달라던 그 양반 링크드인에 구직 올렸더라고요
+ 25/02/12 11:51
수정 아이콘
인력부족 직종에 고급인력이라 갈데가 없진 않을겁니다 크크
메가트롤
25/02/12 10:36
수정 아이콘
현생을 줄여!!!
샤르미에티미
25/02/12 10:50
수정 아이콘
뭐 어쩌고 저쩌고 해도 결국 진짜 높은 퀄리티 작품은 깊게 연구해서 이해하고 만들어야 나오죠. 그냥 일하다 퇴근할래 수준에서는 어떻게 하든 상관은 없습니다.
25/02/12 10:50
수정 아이콘
게임을 잘할 필요가 없는거지 게임 자체는 해봐야 되는게 맞죠.. 특히나 관련 장르 흥하는 게임들은 더더욱요.
25/02/12 10:52
수정 아이콘
게임을 상대안하고 사람만 상대하니 저런 게임들이 나오는 것 같네요..
엔씨 지난 4분기에 박은거 생각하면 엔씨따라갔던 수많은 라이크 양산형들도 위태위태할 것 같네요.
거의 리니지로 시작해서 리니지로 한국 게임계를 말아먹은게 아닌가 싶은. 어찌보면 엔씨는 다크나이트일지도.
그냥적어봄
25/02/12 11:12
수정 아이콘
확실히 한국에선 엔씨가 예시인거 같아요. 게임 모르는 게임개발자의 비율이 임계점을 초과하거나 승진해서 높은자리에 올라간다면 결국엔 대가를 치루게 되는거 같습니다. 당분간은 어찌어찌 굴러가는듯 해도요
25/02/12 10:53
수정 아이콘
통찰력이 있는 사람이면 굳이 직접 안해도 되겠지만..
니가? (대충 그 짤)
서린언니
25/02/12 11:04
수정 아이콘
백승수같은 사람 있으면 안해도 되지만
그래도 백단장은 들어오고 나서 밤낮으로 공부했습니다.
카오루
25/02/12 11:04
수정 아이콘
게임,영상 등이 의외로 '데이터'나 '분석'으로 좋게 될 가능성은 있지만
진짜로 '의외로' 일뿐이지 그게 본질은 아닌데, 굉장히 엄청난 사실인것처럼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저 또한 장삼이사지만 제생각을 적자면
본질적으로 굉장히 '주관적인' '재미'라는 분야를 다루는 업종인데,
[이게 재미있을까?]에 대한 본질적인 의문자체를 던지지 않고 데이터와 분석에만 의존해서 어정쩡한
공산품같은 지겨운 작품들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고 봅니다.
25/02/12 11:22
수정 아이콘
공감합니다 생각과 사유 없이 비즈니스측면만 보다보면 돈이될까좌로 가게 되죠
+ 25/02/12 13:06
수정 아이콘
보통 그런 아이디어게임들은 인디게임으로 많이 출시되죠.
근데 대량의 자본이 투자되는 대형게임은 순수하게 아이디어만 가지고 만들기엔 너무 리스크가 크니까요.
게임이란것도 트렌드가 있고, 그 트렌드를 벗어날정도로 재미있는 게임을 만들려면 코지마 히데오나 미야모토 시게루처럼 아웃라이어면 충분합니다. 근데 보통은 그정도가 안되니까 트렌드를 참고하는거죠.
그냥적어봄
25/02/12 11:04
수정 아이콘
게임개발이란게 화이트컬러 직종에다 워낙 커지고 분업화 되었으니 이런저런 사람들이 다 유입되는건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취직할때는 겜알못이라도 기왕 일하기 시작했으면 싫어도 겜잘알이 되어야 겠죠. 언제까지고 그런거 몰라도됨이거나 심지어 혐오하는 태도라면 그냥 본인의 워크에식이 부족한거지 이상하게 말이 많음
이쥴레이
+ 25/02/12 11:47
수정 아이콘
게임회사와서 게임 혐오하는 태도가 가장 웃기고
자기네 게임 플레이하는 사람들 멸시하는것도 웃기죠.
한도끝도 없습니다. 요즘특히 유난히 심해진거 같네요
Lord Be Goja
+ 25/02/12 11:50
수정 아이콘
뭐 강원랜드 카지노 직원들이나 경마장 직원들이 거기서 꾀죄죄한채로 죽치고 사는 사람들 속으로 비웃는거랑 비슷한 감정인가봐요
그런데 그런 사람들은 그러는거 티 안내는데.!
베이컨치즈버거
25/02/12 11:11
수정 아이콘
아 오디오 이야기 인줄 알고 들어왔는데!
+ 25/02/12 12:04
수정 아이콘
저도 비싼 스피커 얘기인줄
Lainworks
25/02/12 11:15
수정 아이콘
다른곳 댓글 생각나네요. 현기자 직원이 자동차 갖고 저딴소리 했으면
정의선이 그 직원 잡아다 쥐어 짜 기름 뽑아다 그 기름으로도 차 움직이는지 시험했을거라고
비오는풍경
25/02/12 11:20
수정 아이콘
다른 분야에서는 감히 저딴 소리 할 생각도 못할텐데 유독 게임에서만 저런 소리가 많이 나오는 느낌
티아라멘츠
25/02/12 11:22
수정 아이콘
게임만 하면 아쉬운거지 게임은 해봐야죠 게임회사는
과자/라면회사 개발부가 과자/라면 안먹는거랑 뭐가 다르지
벌점받는사람바보
+ 25/02/12 11:34
수정 아이콘
게임을 해야 한다까지는 필수가 아닌데
게임 하는 사람을 잘알거나 게임에 대해 잘알거나 둘중 하나는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 25/02/12 11:37
수정 아이콘
딱히 틀린말은 아닌거같은데
이쥴레이
+ 25/02/12 11:46
수정 아이콘
게임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자기 주업이고 게임 신작들도 해보고 요즘 트렌드도 알아야 된다고 보는데 시스템이나 게임이해도나.. 그런데 진짜 게임도 안좋아하고 게임도 안해서 결과물이 안드로메다로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본 UI디자인부터 게임안하기에 기본이 안된것들 끝도 없죠. 한숨 나옵니다.
특히 시스템쪽 설계하는 사람들 이게 너무 심해요.
망하는 회사는 망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다람쥐룰루
+ 25/02/12 11:47
수정 아이콘
뭐랑 비교하면 좋을까요?
커피 안마시는 바리스타? 술 안마시는 바텐더? 미식을 모르는 셰프?
커피 맨날 마시는 카페인중독자들이 자기가 카페인에 중독됐기때문에 바리스타들에게도 그런 삶을 강요하곤 하는데 커피 트렌드를 따라가는건 맨날 카페인에 중독된 사람들의 전유물이 아니다....정도가 비슷한 표현일까요
+ 25/02/12 11:53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면 사실 그래픽 팀은 게임 안해도 상관 없다봄.
물론 최신 트랜드를 알기위해선 해보면 좋지만 그냥 플레이 영상만 봐도됨
그래픽 팀은 말그대로 때깔을 내는 친구들임. 이팩트 효과도 중요한대 이건 트랜드보단 제작중인 게임에 어울리느냐가 더 중요한거임
사실상 게임의 재미는 기획에서 꾸려나가는거라 실제로 기획자는 회사에서 게임하고 설계하는게 일임. 위에서 말한 이게임이 왜 잘나가고 하는 분석하는 부서가 기획인거임. 실상 그래픽 담당 부서는 어디가나 기한 맞춰서 소스 만들기 바쁜 부서라보면 됨.
왕립해군
+ 25/02/12 11:58
수정 아이콘
꼭 게임 개발 전 분야마다 게임에 통달한 사람만 존재할 필요는 없죠. 실제로 딥시크 천재개발자로 언론 오르락 내리락한사람도 막상 게임업계로 대입하면 업력은 커녕 문외한이 만든셈이죠. 물론 1대1 동치되는건 아닙니다. 예가 그렇다는거지
+ 25/02/12 12:07
수정 아이콘
이건 반대로 AI 오타쿠가 실제로 업계로 뛰어들어서 성과를 낸 경우라서 개발자는 그 분야에 관심있는 사람이 해야한다라는 주장의 방증으로 봐야하지 않나요. 개발자이자 CEO인 량원펑 자체가 학사시절부터 AI에 관심을 가지고 머신러닝 기반으로 퀀트 회사를 운영한 경우라서요
왕립해군
+ 25/02/12 12:1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가 빠르게 쓰다보니 이름을 제대로 안썼군요. 량원펑 이야기가 아니라 뤄푸리 이야기인데 그렇다고해서 1대1 동치가 된다는게 아닙니다. 예를들어서 게임 이야기로 하면 게임 한지 3~4년 되었다면 게임 오타쿠들이 믿어줄까요? 그런게 아니라는겁니다. 뤄푸리도 물론 전체 기간으로보면 상당수 AI에 연구,공부를 많이했죠. 그걸 게임으로 치환 시키면 1대1 동치는 되지 않더라하더라도 그렇게 긴 게임경력이 아니라는 소리죠. 그냥 못만드는거지 게임 오타쿠가 무조건 답은 또 아니라는거죠.

제가 좋아하는 와우 이야기해볼까요? 이안이 최정예도 자주할만큼 엄청난 게임유저이자 디렉터인데 지금 와서야 갓안소리듣지 똥볼찬 시즌이 더 많았죠... 결국 게임 많이한다 게임 오타쿠가 라는게 게임 개발에 대한 보증을 해주는게 아니라는 소리를 하고 싶은겁니다. 이건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구요.
구급킹
+ 25/02/12 12:47
수정 아이콘
본문은 최소한의 게임 시장조사도 안하는걸 뭐라고 하는거죠. 오타쿠가 되라는게 아니고
왕립해군
+ 25/02/12 12:56
수정 아이콘
글쎄요.. 게이머들에게 원하는 게임시장 분석은 보통 게임 오타쿠 되라 수준이죠.
구급킹
+ 25/02/12 13: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본문에서 말하는 '유사게임의 최신작 정도는 해봐야 되지 않겠냐'는게 오타쿠가 되라는건 아니죠. 경쟁업체 상품조사 정도는 하라는 지극히 상식적인 얘기같은데요. 라면 개발부서에서 일하는 사람이면 라면 오타쿠가 될 필요는 없어도 이거저거 먹어보기는 해야하지 않겠습니까
환상회랑
+ 25/02/12 11:59
수정 아이콘
게임은 엔터테이먼트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봅니다.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기 위한 산업이죠.
사람들을 즐겁게 해주기 위해선 아티스트로써의 사고방식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이 산업이 커지면서 아티스트의 에고가 없는 '지루한' 사람들이 유입됐습니다.
그런 사람들이 보통 마케팅, 재무, 인사 분야를 잡게 되니 회사 내 실권을 장악하게 되는게 지루한 양산형 상품 대거 양산으로 이어졌구요.
일명 파티용 게임, 방치형 게임, 캐쥬얼 게임으로 만족하는 일반 대중과 달리 스스로를 게이머로 칭하는 부류들은 상품이 아닌 작품에 매료되었었습니다.
하지만 세상은 너무 많은 즐거움이 생겨나버렸고, 하나의 작품을 진득하게 즐기는 일은 시대에 뒤떨어진 취급을 당합니다.
이젠 게이머들조차 수많은 방치형, 수납형 게임 여러개를 숙제처럼 풀어나갑니다.
개인적으론 이 지분의 큰 부분이 저 지루한 사람들의 공학적 세계관에 가스라이팅 당했다고 생각합니다.
무언가 잘못된게 아닌가. 우리는 정말 게임을 하면서 지금 즐거운게 맞나? 그런 의문이 듭니다.
카오루
+ 25/02/12 12:42
수정 아이콘
같은 '영상시청'이라는 카테고리에 묶여있지만
'다큐멘터리시청자'
'예체능시청자'
는 서로 교집합이 아예 없을수도 있는 것처럼, 게임이 그 안에 많은 하부 카테고리를 분화시켜나가다 보니
현재는 하나로 묶이는데, 사실 안을 들여다보면

싱글콘솔게임과 모바일가챠류 게임은 상품의 종류도 이용하는 고객층도 전혀 다른 종류라는 생각이 듭니다.
+ 25/02/12 12:01
수정 아이콘
남게임까진 안바래도 본인들이 만든게임 정도는 좀 해봤으면... 본인들이 만든 게임을 본인들도 왜 하는지 모르겠으면 그것도 그거대로 모순이니
에이펙스
+ 25/02/12 12:02
수정 아이콘
모르면 외워! 롤배메던로! 모르면 배껴!
+ 25/02/12 12:09
수정 아이콘
게임이라고 뭐가 특별한건 아니고

무엇이든 만드는 사람입장보단 쓰는 사람 입장에서 만든 물건이 하나라도 더 팔리죠.

게임만 한다고 게임 잘만드는건 아닌데
그래도 게임을 좋아해야 더 좋은 게임을 만들 확률은 올라갈거 같네요.
트윈스
+ 25/02/12 12:28
수정 아이콘
겜덕이 되라는게 아니고 최소한 시장조사는 하라는건데 엔드림 친구는 어디선가 잔소리 엄청나게 들었나보네요.
네모필라
+ 25/02/12 12:32
수정 아이콘
왜 면접관 앞에서 하라고 했으면 못했을 말을 고객-잠재적 고객 앞에서 하려고하는지 모르겠네요.
구급킹
+ 25/02/12 12:33
수정 아이콘
경쟁업체 상품조사 안하겠다, 고객 니즈조사 안하겠다고 당당하게 말하는데 결과는 뻔하지 않을까요
탑클라우드
+ 25/02/12 12:39
수정 아이콘
오래 전 경험이긴 하지만, 카드 수집 게임의 컨셉 아티스트 중 리더격인 사람이
정작 카드 수집 게임 경험이 전무하고 이후로도 전혀 플레이하지 않으면서
온갖 카드 일러스트 컨펌하고 수정했다가 나중에 모바일 화면에서 나오는 모습 보고 본인이 화들짝했었습니다.

자신이 개발하는 것에 충분히 심취하지 않아도 개발은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경쟁사들은 잘하면서 좋아하기까지 하는 사람을 고용해서 개발하니 시장 내 경쟁에서 도태되죠.

최소한의 플레이도 하지 않는 사람이 어떻게 디테일을 챙길 수 있을까라고 생각합니다.
Far Niente
+ 25/02/12 12:40
수정 아이콘
댓글 내용 중에서 [했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어떻게 했냐가 중요하다]가 핵심인 것 같은데 그냥 겜 하네 안하네로 조리돌림하는게 좀
수리검
+ 25/02/12 12:44
수정 아이콘
나 캐비 열심히 했는데 .. ㅠㅠ

조이시티? 인가가 운영했던 것 같은데
여기가 앤드림인가요?

그리고 '게임만' 하는 사람이 개발을 잘할 수 있는 건 물론 아니지만
아예 안 해본 사람이 잘 만들리도 없죠 보통
본문의 시게루등은 드문 예외일 뿐이구요

생각해보니 캐비도
운영진 놈들이 겜을 안해봤나? 싶은 적이 많았 ..
드러나다
+ 25/02/12 12:52
수정 아이콘
패션업계와 아이돌업계에선 이딴 말 안하죠. 그냥 핑계입니다.
+ 25/02/12 12:53
수정 아이콘
블라속 엔씨 트롤들의 회사이미지를 망친 명언 명짤들은 저도 참 한탄스럽게 생각하는 바입니다. 하지만 짤의 경우는 풀발기해서 바락바락 악쓰는거 보면 평소에 사내에서도 좀 저런걸로 욕먹거나 한 기억이 있는 것 같아서 약간 딱해보이는 것도 있긴해요. 물론 그렇다고 병신이 아닌건 아닌데...
+ 25/02/12 13:06
수정 아이콘
근데 안해보면 모를텐데 자기가 도전하는 분야에서 어떻게 더 좋은 세련된 무언가를 만들수 있다고 생각하는지 살짝 의문이긴하네요..엘든링 이런건 자기가 하는 범위에서 벗어났다 손치더라도 자기분야 겜은 좀 해가면서 인맥도 챙기고 해야 되는거 아닌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수정잠금 댓글잠금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게시글 및 댓글 처리 강화 안내 (23.04.19) 더스번 칼파랑 23/04/19 133252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563428
공지 [유머] [공지] 타 게시판 (겜게, 스연게) 대용 게시물 처리 안내 [23] 더스번 칼파랑 19/10/17 567024
공지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공지사항(2017.05.11.) [2] 여자친구 17/05/11 975013
511878 [유머] ??? : 배달언제 오나요? [5] DogSound-_-*1337 25/02/12 1337
511877 [기타] 눈길에서의 다마스 [14] 유머1523 25/02/12 1523
511876 [기타] 30, 40대 남자들에게 불호 별로 없을 것 같은 음식 [32] a-ha2634 25/02/12 2634
511875 [기타] 고양이를 점빵에 들이면 좋은 이유 [10] Lord Be Goja3763 25/02/12 3763
511874 [기타] 요즘 핫한 그래픽카드 근황 [15] Lord Be Goja4001 25/02/12 4001
511873 [유머] 어제자 온라인 판매 시작한 드래곤볼 40주년 굿즈.jpg [12] 고쿠2917 25/02/12 2917
511872 [게임] 스피커의 중요성 [64] Lord Be Goja3880 25/02/12 3880
511871 [유머] 영하 5도에서 먹는 라면 [30] 길갈4337 25/02/12 4337
511870 [기타] ott와 영화관의 역할이 바뀐 것 같다는 주장 [17] a-ha3907 25/02/12 3907
511869 [유머] 세대별로 갈린다는 하트 하는 법 [17] INTJ3002 25/02/12 3002
511868 [유머] 애플워치를 발목에 차는 사람이 있다? [23] INTJ3181 25/02/12 3181
511867 [유머] 오디오 동호회 가입한 유부녀.jpg [3] Myoi Mina 4801 25/02/12 4801
511866 [기타] 입술로 유혹하기 대결 [7] 묻고 더블로 가!4431 25/02/12 4431
511865 [기타] 쥬라기공원 영화 새로운 시작 [13] 김삼관5001 25/02/12 5001
511864 [연예인] 비싼 옷 입지 마세요. [29] 김삼관8734 25/02/12 8734
511863 [유머] 고속도로에서 짜증나는 상황.jpg [14] 김치찌개6193 25/02/12 6193
511862 [유머] 5가지 예시중 택 1 하시오.jpg [37] 김치찌개4463 25/02/12 4463
511861 [유머] 칼국수 취향.jpg [23] 김치찌개4480 25/02/12 4480
511860 [유머] 50대50으로 갈린다는 주4일제 밸런스 게임.jpg [14] 김치찌개4089 25/02/12 408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