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24/09/10 08:36
다른 곳은 그렇다치고 "더 현대 대구"는 "더 현대 서울"과 이름의 포맷이 완전히 똑같은데, 하나는 괜찮아 보이고 다른 하나는 구려 보이는 이유는 뭘까요?
24/09/09 23:01
주말에 커넥트 현대 부산에 다녀왔는데 정말 공감합니다.
확실히 젊은 사람들이 백화점보다 많고 이제 백화점은 나이든 사람만 가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24/09/09 23:11
주 매출은 중장년층일텐데, 오히려 근본없는 이름 때문에 더 매력이 떨어질것 같습니다.
미츠코시 백화점, 해로즈, 라파예트처럼 이름 자체가 브랜드가 되는게 훨씬 근본있고 무게감 있습니다. 더현대는 그래서 괜찮은 선택이라고 봤고, 심플하게 대구신세계, 대전신세계 이것도 좋아 보입니다. 압구정 현대가 아이파크 안하겠다고 한 것도..
24/09/09 23:36
단순 MZ 때문이라는 단순한 이유로 저렇게 정하지는 않았을것 같습니다.
더 현대 서울 사례에서 보듯이 백화점은 많은 물건을 판매하는 곳이 아닌, 전시, 체험 등의 문화 공간 등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중장년층 또한 명품 등의 제품이 아니고서야, 온라인으로 구매 성향이 많이 넘어가고 있으니, 백화점 입장에서는 새로운 전략의 필요성을 느꼈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리하여, 백화점이란 이름을 버리고, 저런 이름으로, 문화공간이라는 곳으로 필요성을 강조하려는 마케팅의 일환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24/09/09 23:53
아파트 이름도 옛날인 개나리 민들레 아파트 이랬는데...
지금은 무슨 앞에 더가 붙고 스타가 들어가고 클래스가 들어가고 지명 이름이 들어가고 난리가 아니더라구요.
24/09/10 10:35
확실히 한국이 이런 것에 엄청 민감해요. 옆나라 일본만 해도 옛날 명칭 계속 유지하는 회사들 많던데(ex. 사가미 고무공업) 한국 회사들은 '공업'글자 들어가 있으면 촌스럽다고 빼버리거나 '테크'같은 걸로 바꾸거나 아예 영어 약자 회사로 탈바꿈하거나 하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