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07/04/07 08:13:33
Name hoho9na
File #1 1175822504_88.jpg (423.1 KB), Download : 59
Subject [유머] 고3의 루돌프사슴코 분석




출처는 짤방위에 적혀있습니다.

여전히 저렇게 배우는 군요. 10년이 넘게 지났어도 똑같은 교육방식에 안도감을 느껴야 하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4/07 08:17
수정 아이콘
시나 소설을 정형화된 틀안에 '분석'해야만 하는 슬픈현실이죠...
명왕성
07/04/07 08:24
수정 아이콘
그 틀이 정형화됬으면 그나마 다행이죠.
시에 따라 맘대로 해석해놓고, 그 해석이 정답이라고 외우라고 하니...
07/04/07 08:53
수정 아이콘
저런게 시나 소설에 흥미를 잃게 만들죠-_-
하얀마음백수
07/04/07 09:34
수정 아이콘
그럴듯한데요;;
sunnyway
07/04/07 09:47
수정 아이콘
루돌프 사슴코를 저렇게 해석할 수도 있군요 ^^;;

그런데, 개인적으로는 시를 저렇게 해체, 분석하여 한가지 뜻으로만 외우게 하는 걸 정말 싫어한답니다;;
시인은 정말 그냥 아무 비판의식없이 그냥 자신의 감정을 쓴 것일 수도 있잖아요;;
그래서 어릴 때는 시가 좋은지 모르다가, 대학생이 되어서 정호승님, 이해인 수녀님 시집을
사서 읽으면서, 시가 이렇게 그냥 편안히 읽힐 수 있다는 것을 알게되어서 너무 좋습니다 +_+
07/04/07 10:00
수정 아이콘
저도 고등학교 졸업하고 5년이 지나서야 시를 편안히 읽게 된것 같습니다.
deathknt
07/04/07 10:04
수정 아이콘
시를 가슴으로 읽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는 것이 안타깝고, 꼭 저렇게 분석을 해야 하는지 씁쓸합니다.
시, 수필, 소설등을 분석(?)할때 과연 그 저자들에게 어떻게 내용에 대해 검증을 받는지 궁금합니다. 과연 저자들이 그런 의도로 쓴 것인지(그렇제 않았을 경우가 더 많을것 같습니다.) 걱정입니다.
연합한국
07/04/07 10:26
수정 아이콘
..으흐흑.. 심히 공감합니다?
고양이혀
07/04/07 10:42
수정 아이콘
예전에 어떤 작가님도 자신의 작품이 나온 문제를 제대로 풀지 못했다는 글을 보면서... 참 우리의 교육이 쓸모 없구나-_-라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07/04/07 10:45
수정 아이콘
청록파 시인 중 한 분의 자제분께서 대학 본고사 시험 보는데
자기 아버지 시가 나와서 반가움에 시험지를 집에 들고 갔다네요

5문제 중에 2문제 맞췄다나 -_-;;;
07/04/07 11:10
수정 아이콘
저는 학교 다닐때 저렇게 분석하는거 재미있었는데..
볼텍스
07/04/07 11:46
수정 아이콘
입시제도의 목적은 "제대로 된 교육을 하자"는 것 보다는 "머리좋은 사람을 좀더 좋은 자리에 앉히자" 는 쪽에 있다고 봐야죠...
화염투척사
07/04/07 12:14
수정 아이콘
저걸 다 분석하는 이유는 커서 협상자리에 애매한 구절이 나온다 하더라도 그걸 다 해석할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기 위한게 아닐까요.. -_-;
なるほど
07/04/07 12:30
수정 아이콘
고3은 이렇게 안하지 않아요? 모의고사나 수능에서 잘 맞추려면 시를 있는 그대로 이해하는게 좋다고 보는데요.
이렇게 배우는 것은 중학교 때나.,,,,,,
그녀가 나를 보
07/04/07 12:32
수정 아이콘
시를 나름대로 보는게 아닌 수능의 시를 보는눈을 가지고 봐야죠
07/04/07 12:32
수정 아이콘
저렇게 분석하는 능력도 필요하죠. 저런 분석 방법들도 시를 수십차례 수백차례 읽으면서 꼼꼼히 파악하는 겁니다. 그리고 저런 분석 방법 하나하나의 기술들도 화자의 내면적인 상황이나 주변지식을 높이는 데 꼭 필요한 거구요.
허명만 높은 "창의력" "토론식" 보다는 저런 주입식이 중고교 시절에는 필요합니다. 창의력이나 토론은 어느정도 지식이 쌓인 다음에 할 수 있는 얘기죠. 어느 나라를 다 가봐도 수업시간에 저런 분석은 다 합니다. 저렇지 않고 개인적 감상을 써내려가려면 '문학 동아리'지 수업이 아니죠.
공실이
07/04/07 13:30
수정 아이콘
고수네요.. 설명을 읽으면서 끄덕끄덕.............
프로브무빙샷
07/04/07 13:48
수정 아이콘
다 괜찮았습니다만...
시적화자가 루돌프란 것은 틀린 거 같네요...
시적화자는 3인칭이라 제시가 되지 않았습니다만 3행에 잠시 직접제시가 되어있는 정도?
그리고 12연에 미적범주가 해학과 골계는 아니고요... 미적형상화 방법이 아이러니라고 하는 편이 더 맞을거 같습니다. 풍자도 맞고요.;
프로브무빙샷
07/04/07 14:01
수정 아이콘
//hwang18
주입식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역설하셨는데.. 공감합니다.
교육학에서 창의력이란 것은 새로운걸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알고 있는 바탕으로 전과는 조금 다른 것을 만들어내는 것을 지칭합니다.
지금 중학교, 고등학교 다니시는 분들 학교에서 들입다 외우고 암기만 시킨다고 안하려 하지 말고 외우세요... 외운 후에 더 안하고 놀면 창의력이 안 안생기는 거고, 외운 후에도 생각해보고 나름대로 변형시켜도 보면 창의력이 생기는 겁니다.
그리고 최소한 시는 몇개정도는 암송하세요... 시를 한번 보고 읽으면서 느끼는 거랑 암송하면서 계속해서 감상하는 것과는 천지차입니다... '암기식 교육=전근대적, 부정적 교육' 이라는 인식이 너무 큰거 같아서 써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8584 [유머] 표절.... [14] 라이크10336 07/04/08 10336
38583 [유머] 달려라 하니 중동버전 [12] 라이크6327 07/04/08 6327
38582 [유머] 아버지 어서 잔받으세요~ [3] 하비야6077 07/04/08 6077
38581 [유머] 코만도!! [9] 라이크5261 07/04/08 5261
38578 [유머] Jazz for your Soul [5] 라이크3764 07/04/08 3764
38574 [유머] 아..배고파 얼른 밥 말아먹어야지~ [2] 김밥천국라면5253 07/04/08 5253
38572 [유머] [스펀지] 내방 옆에는 □가 있다. [30] AuFeH₂O8350 07/04/08 8350
38570 [유머] 어제 회사에서 성희롱 예방 교육을 받았습니다 [35] AuFeH₂O8922 07/04/08 8922
38568 [유머] 이건 영화도 아니고 뉴스도 아니여~ [13] [군][임]7281 07/04/08 7281
38564 [유머] 수업시간에 딴생각하다가 걸렸을때 [9] AuFeH₂O7048 07/04/08 7048
38563 [유머] 짱구를 드라마로 만들면 [5] Zenith8025990 07/04/08 5990
38562 [유머] 지하철서 잠자는 아저씨 [20] AuFeH₂O9505 07/04/08 9505
38561 [유머] 몇대 맞을래? [1] Zenith8025073 07/04/08 5073
38560 [유머] 28세의 괴로움 [5] Zenith8027183 07/04/08 7183
38558 [유머] 호라이즌 리조트내 엽기 거북이들 [5] Zenith8025043 07/04/08 5043
38556 [유머] 알바중 겪은 일 [2] AuFeH₂O4950 07/04/08 4950
38555 [유머] 안돼!!!!! [5] AuFeH₂O4629 07/04/08 4629
38554 [유머] 변신중 공격 금지!!!! [7] AuFeH₂O7279 07/04/08 7279
38553 [유머] 어이쿠!!! [6] AuFeH₂O4127 07/04/08 4127
38552 [유머] 결국은 솔로 [1] AuFeH₂O4875 07/04/08 4875
38551 [유머] DMZ 헌병 댄스 배틀 [4] AuFeH₂O3926 07/04/08 3926
38550 [유머] 드레곤볼 패러디 모음 [4] AuFeH₂O3944 07/04/08 3944
38549 [유머] KOF 98 Combo 영상 [8] AuFeH₂O4445 07/04/08 444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