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3/15 02:41:36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2672877555
Subject [일반] 책 후기 - <비밀정보기관의 역사: 파라오부터 NSA까지>

그러니까, 스파이, 내지 비밀정보기관이라는 것은 언제나 창작자를, 그리고 그 소비자들을 자극하는 소재 중 하나입니다. 생각해보면 슈퍼 스파이 영화는 매년, 매달 나오는 셈이라고 해도 되니까요.


제가 이 책을 고르게 된 것은 말 그래도 '비밀정보기관에 대한 역사서'라고 이해하고 표지만 보고 덜컥 구입했습니다. 하지만 정확하게 책을 고치자면 '비밀정보기관과 그 사용자들에 대한 이야기'라고 해야할 것 같네요. 책은 고대시절부터 현대까지의 첩보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오히려 흥미보다는 꽤나 학술적인 내용이 가득한 책이라고 해도 될 것 같아요.


저자는 첩보 활동을 갈래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눠 보는 것 같습니다. 첫 번째가 사회의 안정을 위한 동향 파악, 그리고 두 번째가 흔히 생각하는 전쟁과 냉전 시대에 벌어지는 첩보전으로요. 이 중, 사회의 안정을 위한 동향 파악 파트가 크게 보면 전반부, 그리고 현대로 넘어오면 전쟁과 군사적 의미로써의 비밀정보기관의 후반부로 나누어 볼 수 있겠네요.


책의 들어가는 말과 에필로그를 장식하는 것은 프리즘 폭로 사건으로 유명한 에드워드 스노든 사건입니다. 이에 대해 저자는 약간은, 어쩔 수 없지 않느냐, 혹은, 그걸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있느냐.라는 식으로 이야기합니다. 개인적으로는 후자에 어느 정도 공감이 갑니다. 저는 지금 이 글을 네이버 블로그와 제가 다니는 커뮤니티에 올리고 있고, 제가 쓴 글, 댓글, 올린 사진들을 종합한다면 저라는 사람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정보만 있다면 특정하기 쉬울 것 같거든요.


이 책은 그닥 드라마틱하진 않습니다. 첩보전의 역사, 사례 위주를 들고 있고, 꽤나 유명한 사건들, 예를 들면 2차 세계 대전 중 벌어진 에니그마와 해독, 혹은 미드웨이를 둘러싼 미군의 밑장빼기 사건 등등을 꽤 건조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책은 흥미 위주의 책이라기보단 오히려 학술적 느낌이 물씬 풍겨오기도 합니다.


에필로그를 읽으면서 든 생각은 이상하게도 그래픽 노블 <왓치맨>이었습니다. '누가 감시자들을 감시할 것인가?' 그리고 하나의 질문을 더 해보자면, '우리의 위정자들은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활용할 수 있는가?' 일 것 같습니다. 특히나, 최근 우크라이나-러시아의 전쟁 소식을 들으면서,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정보전이 벌어지는 상황 속에서, 정보기관들은 무슨 정보를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어디까지를 알고 있는 것인지, 우리의 정치인들은 이 상황 속에서 정확하고 올바른 판단을 제때 내릴 수 있는지 고민하게 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이퍼
22/03/15 09:45
수정 아이콘
오 재밌어보이네요 e북도 있으니 통학길에 읽어야 겠네요
aDayInTheLife
22/03/15 10:24
수정 아이콘
재밌게 읽으시길! (저는 안읽혀서 쫌 오래 쥐고 있던게 함정..)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5308 [일반] 오늘 어머니가 오미크론 확진되었습니다. [58] 통피13758 22/03/25 13758 9
95307 [일반] 생각보다 코로나 여파가 크네요 [98] 만수르22007 22/03/24 22007 9
95306 [일반] 지난달, 아버지가 췌장암 진단을 받았다고 쓴 사람입니다. (희소식일수도) [56] 쏘군11476 22/03/24 11476 26
95305 [일반] 치킨 적정 가격에 대한 친구와의 일전 [191] NT_rANDom16840 22/03/24 16840 6
95303 [일반] 요즘 본 만화책 [19] 그때가언제라도10741 22/03/24 10741 0
95302 [일반] 자가격리 첫째날에 써보는 이런저런 글 [32] seotaiji8894 22/03/24 8894 5
95301 [일반] 서울에 갑니다. [230] Heidsieck21800 22/03/23 21800 53
95300 [일반] <벨파스트> - 성장의 시간들. [6] aDayInTheLife6072 22/03/23 6072 2
95299 [일반] 일본이 진주만을 때린 나름 합리적인 이유 [88] 아스라이17853 22/03/22 17853 14
95298 [일반] 선우휘 단편집 독후감: 원조 K-갈등, K-폭력, 그리고 K-과거 [17] Farce11198 22/03/22 11198 18
95297 [일반]  코로나시대 배달도시락 창업 알아보셨나요? [62] 소시29326 22/03/22 29326 84
95288 [일반] 선게 운영 일정/검색 기능 개편/사이트 불안정(로그인 접속장애 관련 추가)/특정 광고 불편(해결?) 관련 공지 [39] jjohny=쿠마13824 22/03/20 13824 17
95296 [일반] 지갑 잃어버렸다 되찾은 이야기 [16] CoMbI COLa9842 22/03/21 9842 5
95295 [일반] 꼭 봐야할 만화책 추천 15선(2) [15] 로각좁12932 22/03/21 12932 12
95294 [일반] MBTI를 싫어하게 만드는 몇가지 이유들 . [193] 아스라이20433 22/03/21 20433 8
95293 [일반] 지구와 가장 유사한 외계행성... [35] 우주전쟁11778 22/03/21 11778 6
95292 [일반] [테크 히스토리] 황사, 미세먼지, 방사능과의 사투 /공기청정기의 역사 [13] Fig.1102202 22/03/21 102202 10
95291 [일반] INTP가 추천하는 만화 3편 [8] 드로우광탈맨9323 22/03/21 9323 2
95290 [일반] 우월한 하루 대여권 5장을 배포해준다고? [1] 슈테8931 22/03/21 8931 0
95289 [일반] 코로나19 백신 3차 미만 접종자가 추가 접종 후 한달 안에 코로나 확진되면 손해라는 인터뷰가 있네요(틀린 인터뷰인 것 같습니다.). [83] 알콜프리17406 22/03/21 17406 3
95287 [일반] 다시 만나기 싫었는데.. 입장이 바뀌어서 만나게 되었습니다. [35] BMW18005 22/03/20 18005 36
95286 [일반] 생애 첫~!! [20] estrolls9114 22/03/20 9114 2
95285 [일반] 희귀병 치료를 위해 한국을 찾은 Merchi Álvarez 씨 이야기 [10] 어강됴리10151 22/03/20 10151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