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5/01 10:12
    
        	      
	 아래 링크는 기계적 민주주의라는 게 무엇인지조차 파악이 안 되는 글이네요;; 글을 읽어보면 "기계적 민주주의"가 아니라 "단정적 판단" 혹은 "비유기적 판단"이라는 말이 더 정확한 표현일 것 같은데 말이죠. 
 
	17/05/01 12:06
    
        	      
	 첫 번째 링크는 조금 어처구니 없네요. 글쓴 분이 어처구니 없단 건 아니고요. 
 
조사 결과를 공표하지도 않았는데, 참여 연구자들 사이에서만 돌려 보고 있는 자료를 '내가 가진 자료'라고 뭉뚱그려서 표현하면서 블로그에 올렸네요; 글만 봐서는 이 사람이 한 연구도 아닌 듯한데요...신뢰할 수도 없을 뿐더러 연구 윤리를 정면으로 위배하는 행위라고 봅니다. 
	17/05/01 13:16
    
        	      
	 그 블로그의 글이 그 조사에 참여한 연구자 본인이 작성한 글입니다.
 
그래서 '참여 연구자들 일부만 자료를 받아서 살펴보고 있다', '내가 가지고 있는 자료로 간단한 기초 통계만 살펴보니'라고 써있고요. 아직 공표하기 전 단계라지만, 조사를 진행한 연구자 중 한명이고 기초 통계 자료 중 한 부분을 대략적인 수치로만 인용했으니 연구 윤리를 정면으로 위배한 것 같지는 않은데요. 
	17/05/01 13:50
    
        	      
	 그런가요?
 
사실 그 문구는 저도 봤는데 이해가 안가서 그렇습니다. 팀단위로 한참 작업 중인 논문을, 그것도 일부 연구자 사이에서만 살펴보는 자료를 블로그에 미리 올리는 것도 황당하고, 저렇게 단정적으로 결론내서 올린다는 게 믿어지지가 않아서요. 그리고 단순 조사라면 보다 중립적으로 쓰였을 것 같고, 다른 고려가 들어간 논문이라면 말도 안되게 단순한 결론이라고 봅니다. 그냥...연구자가 쓴 글이라는 게 믿어지질 않아요. 
	17/05/01 23:53
    
        	      
	 조사를 진행한 연구자 본인이고
 
가지고 있는 자료 중에서 기초 통계 중 한 토막만 따왔고 수치도 대략적으로만 기재하여 그 설문 조사에 따른 자신의 생각이나 해석을 짧게 쓴 것인데. 그걸 블로그에 미리 올렸다고 혹은 결론이 단정적이다, 단순한 결론이다고 하시는건 지나친 예단이신 것 같은데요. 부정적인 의견이야 있을수도 있겠지만 뭐가 그리 믿어지지 않을 정도라고 하시는건지는 잘 이해가 안 가네요. 제가 당사자도 아니고 굳이 대신 해명하는듯한 내용의 댓글을 더 쓸 필요는 없을 것 같네요. 님께서 생각이 그렇다고 하시니까 그렇게 알겠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