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08/23 06:00:05
Name nameless..
File #1 20_Duchamp.jpg (24.6 KB), Download : 78
Subject [일반] 들뢰즈의 禪(기호의 네 가지 특성)


들뢰즈는 프루스트의 책을 재료로 기호의 네 가지 특성과 '풍요로운 반복'을 논합니다.

첫째는 현세적 기호이며, 이는 기호에 담긴 사회적 의미를 느끼는 것입니다. 명품백을 보거나 특정 직업-지위의 의복을 보았을 때 느끼는 사회적 의미-감정입니다.

둘째는 사랑의 기호(새로운 기호)입니다. 예를 들자면 사랑하는 사람의 몸짓, 스타일을 통해 새로운-신비한 감정을 주입받는 것입니다.

셋째는 감각 자체인 기호입니다. 붉은 색을 볼 때 흔히 알고 있는 붉은 색의(동일한 것의) 반복이 아니라, 붉음을 고유한 붉음으로 보는 것이며, 들뢰즈는 이를 차이-독특성에 의한 반복이라고 표현합니다.(이 대목에서 어릴 때 변기를 보며 변기를 변기 자체로 보았던 경험이 떠올랐습니다.)

넷째는 감각 기호와 연관되어 우리를 깨달음으로 이끄는 예술의 기호입니다. 예술사에서 혁신을 반복한다는 것은 기존의 작품을 모방하거나 기존의 작품에서 어떤 해설을 따와서 그것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완전히 새로운 것을 창작하는 것이고, 이 반복은 차이-독특성에 의한 반복을 뜻합니다. 들뢰즈는 동일성에 의한 반복을 헐벗은 반복, 독특성에 의한 반복을 풍요로운 반복이라고 칭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들뢰즈는 감각 기호-예술 기호는 꼭 어떤 예술 작품을 통하지 않더라도 우리가 세계에 강제하는 일반성을 망각하고 차이-독특성의 세계에 눈을 뜨는 것으로도 실현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이것이 들뢰즈의 기호가 禪적인 이유입니다.

p.s : 이 글은 클레어 콜브룩의 '들뢰즈 이해하기'를 참조하여 적은 글이며, '프루스트와 기호들'은 앞으로 탐독할 예정입니다. 혹시 '프루스트와 기호들'과 어긋나는 내용이 본문에 있다면 편하게 이야기 해주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birkenau
14/08/23 17:06
수정 아이콘
무슨말인지는 모르겠지만 중요한 내용인것 같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386 [일반] [펌] 왜 손목시계를 풀고 갔는가? [31] Duvet9065 14/08/23 9065 2
53384 [일반] bbc 드라마 our world war로 보는 1차 대전 전투- 솜므 [5] 요정 칼괴기4065 14/08/23 4065 0
53383 [일반] 박찬호 홈페이지 업데이트 [우리의 미래를 만나다] [8] B와D사이의C3960 14/08/23 3960 1
53382 [일반] 꽃보다 황제 - 명나라 F4 [21] Duvet7393 14/08/23 7393 0
53381 [일반] 아이폰5의 두 가지 결함 확인 사이트 [21] UNITED6184 14/08/23 6184 0
53380 [일반] 현재하는 BBC 1차 대전 드라마로 보는 1차 대전 전투- 몽스전투 [5] 요정 칼괴기5239 14/08/23 5239 1
53379 [일반] [리뷰] <해적> - 웃으면 된다고 생각해 (스포없음) [37] 마스터충달6296 14/08/23 6296 1
53378 [일반] 들뢰즈의 禪(기호의 네 가지 특성) [1] nameless..2774 14/08/23 2774 0
53377 [일반] 타짜 2006 : 아귀는 도대체 누구 돈을 따고 있었을까? [53] epic22211 14/08/23 22211 3
53376 [일반] 이슬람 원리주의에 대한 간단한 이야기 [22] 요정 칼괴기4537 14/08/23 4537 2
53375 [일반] 애플의 A/S는 그리 나쁘지 않다!?!? [56] 총알인생6599 14/08/23 6599 1
53374 [일반] 문화 상대주의를 주장하고 싶은 사람들 IS를 보라! [245] 요정 칼괴기11875 14/08/23 11875 2
53373 [일반] 미국의 반전 [9] minyuhee4908 14/08/22 4908 0
53372 [일반] FISM 2014 아시아를 앞두고. 한국 마술 이야기 [5] Leeka3884 14/08/22 3884 1
53371 [일반] "Nothing in life that's worth anything is easy." [7] 삭제됨2077 14/08/22 2077 0
53370 [일반] 영화보다 더 영화 같았던 황우석 사건이 영화 <제보자>로 재탄생됩니다. [51] Alan_Baxter7529 14/08/22 7529 4
53369 [일반] 세월호 특별법에 찬성합니다 [230] Judas Pain9947 14/08/22 9947 63
53368 [일반] 세월호 유가족 설득은 야당만 해야 하는 것으로 정해져 있는 것인지... [35] Neandertal4038 14/08/22 4038 6
53367 [일반] 野 중진들 "박영선 원내대표-비대위원장 분리해야”…분리론 가시화 [14] 마빠이3264 14/08/22 3264 1
53366 [일반] 기네스북에 등재된 프로그램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7] 삼성그룹3875 14/08/22 3875 4
53365 [일반] 奇談 - 아홉번째 기이한 이야기 (1) [6] 글곰3561 14/08/22 3561 7
53364 [일반] 설민석 포켓한국사 오늘 하루만 무료 [37] Duvet8108 14/08/22 8108 0
53363 댓글잠금 [일반] 세월호 특별법에 반대합니다. [590] 일각여삼추21286 14/08/22 21286 3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