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08/18 23:48:30
Name AraTa_Higgs
Subject [일반] [음악] 끝판왕의 전성기란..? (M. Carey) + LTTime 추가
아라타입니다.



우리는 역사의 한 때를 풍미한 사람들의 어느 과거를 일컬어 전성기라곤 합니다..

얼마전 머라이어 캐리의 근황이라고 사진이 올라오곤 했던걸 본 적이 있어,
그녀의 전성기는 과연.. 어떘을까 하는 회상에 접어 들었습니다..

결코 순탄치 않은 인생사를 거친 그녀이지만,
그녀가 남긴 음악사(디바)적 족적은 감출래야 감출 수는 있을까요..

현대사에도 여러 위대한 인물이 있겠지만,
그녀 역시 제게있어선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것에 큰 기쁨을 느낍니다..
중-고등학교를 거치며 그녀들에게서 얻은 음악적 정화는 정말 대단했지요..

제가 꼽는 그녀들의 전성기를 조금만 감상하시죠..





1. One Sweet Day (Live at Madison Square Garden 1995)



고등학교 당시 제가 들었던 그래미후보 테이프의 녹음과 98% 일치하는 라이브입니다.....
그 테이프는 이 부분만 늘어나 버렸습니다...



2. Mariah Carey ft Whitney Houston When You Believe



너무도 완벽한 무대.. (들을 때 마다 너무 완벽하여, 라이브인지 아닌지 도저히 모르나, 라이브 맞다고 봄..;;)
종교를 불문하고, 애니에서 '이집트왕자' 모세가 홍해를 가를 때 전율하게 만든 이 노래..

세상에나 이 두 여자가 붙으니, 이런 노래가 탄생.... 후덜덜...



3. Mariah Carey e Brian Mcknight - Whenever you call (live)



할 말이 없음..



4. Mariah Carey - Without You



두 말 할 필요없이, 여태껏 봐온 '위다웃유' 라이브 중 단연 최고.



5. Mariah Carey - Hero




도저히 라이브란게 믿기지 않는다..............


(+추가)

6. Mariah Carey - love takes time



역사상 최고의 라이브 중 하나.


-----------------------------

내가 어리석게도 이 사람의 전성기를 논하려 했다니...

GG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현호아빠
14/08/18 23:55
수정 아이콘
중학교때부터 정말 열심히듣고..
하이텔에서 동호회활동도 열심히하고 정모다 참석하고~
지금 아이디는 이분생일이고..
제생각에..전생기는 cd를 틀고 노래가 나오는 그순간 입니다.
Tyrion Lannister
14/08/19 00:32
수정 아이콘
DAYDREAM 앨범 정말 죽도록 들었는데 또 듣고 싶네요. 보이즈투멘 브라이언맥나잇도 우주대괴수들이지만 머본좌님은 정말...
레지엔
14/08/19 00:38
수정 아이콘
앨범 컨셉으로 뻘짓만 안했어도(..)
안네의 난
14/08/19 00:45
수정 아이콘
Through the rain 에서의 자유로운 성구전환도 정말 대단한 것 같아요. 이 노래는 대단한 live를 찾지못했는데 혹시 아시나요?
14/08/19 10:15
수정 아이콘
사실 이때부터 목상태가 반쯤 맛이 간 상태라 완전 라이브 영상은 없을겁니다. 라이브처럼 보인 무대도 부분립씽이 들어갔던걸로 알고 있어요.
Darwin4078
14/08/19 01:03
수정 아이콘
머라이어 캐리를 더 좋아하긴 하지만, 전성기로 끝판왕을 따지자면 머라이어 캐리보다는 휘트니 휴스턴이 더 우위에 있지 않나 싶구요...
개인적으로 캐리누님 최고의 폼은 93년 땡스기빙데이 라이브, 95년 매디슨 스퀘어 가든 라이브를 꼽고 싶네요.
솔로곡은 love takes time, 듀엣곡은 유리베 닮은 루서 반드로스와의 endless love가 최고였습니다.
박진호
14/08/19 01:30
수정 아이콘
1993 Thanks giving day에 NBC에서 방송했던 Love takes time 이 제가 꼽는 최고의 라이브네요.
AraTa_Higgs
14/08/19 01:37
수정 아이콘
돌고래쇼 말씀하시는거죠?? 크크
박진호
14/08/19 01:44
수정 아이콘
네 올려주신 without you 랑 같은 날 했던 곡이죠.
이 당시의 전 곡 라이브 퀄리티가 너무 깔끔하죠. 아무래도 후보정이 들어간게 아닌가 싶습니다.
사실 돌고래 쇼로 후덜덜했던건 MTV unplugged 였죠. Emotion은 스튜디오 빨이지 절대 라이브로 안될거라고 말하던 사람들 입을 싹 막아버린.
AraTa_Higgs
14/08/19 01:52
수정 아이콘
엠티비 때..
정말 이쁘기도 했죠..
외모도 전성기...
14/08/19 02:33
수정 아이콘
emotions도 만만치 않지만,
unplugged에서 가장 미친 노래는 개인적으로는 someday아니었을까 싶네요.
라됴머리
14/08/19 07:38
수정 아이콘
14/08/19 10:49
수정 아이콘
저도 머라이어캐리의 전성기를 말할때 MTV unplugged EP가 제일 먼저 떠오릅니다.
Emotion, Someday 두 곡은 정말이지... 듣는 사람들에게 여러모로 새로운 경험을 하게 해줍니다...
철석간장
14/08/19 09:44
수정 아이콘
어휴~~~~!!!!! 죄다 립씽크구만요...


도저히 라이브란게 믿기지 않는다..............(2)
리산드라
14/08/19 10:29
수정 아이콘
역대급 디바임에도 초음파와 전성기 미모로 오히려 평가절가 당하시는분
휘트니와의 저 라이브는 곡 가수 라이브 트리니키포스로 진짜 좋아하는 영상이에요
14/08/19 10:39
수정 아이콘
저 중딩때부터 워낙 광팬이었던지라 너무 반가운 글이네요.
가장 좋아하던 팝스타이기도 하고 실력도 넘사벽이었던 시절이 있었던적도 있었지만 사실 가장 안타까운 가수이기도 합니다.
마치 브라질의 호나우두를 보는듯한 느낌이랄까요? 신이 최고의 재능을 줬지만 성대가 그걸 버티지 못한게 아닌가 합니다. 자기관리를 못하는 가수도 아닌데 가창력 리즈시절이라고 볼수있는 기간이 너무 짧았죠.
머라이어의 창법은 버터플라이 앨범 전과 후로 나눌 수 있습니다. 데이드림 앨범과 버터플라이 앨범을 비교해서 들어보면 체감이 확 옵니다. 창법이 완전 바꼈어요. 시원시원했던 창법에서 약간 쥐어짜는 듯한 창법으로 바뀌었달까... 가성도 예전보다 많이 쓰기도 하구요.
단지 창법을 바꿨느냐 아니면 목이 가서 창법을 바꿨느냐고 물어본다면 전 후자라고 봅니다.
사실상 투어형 가수가 아니었는데 데이드림 투어로 인한 무리가 결정적이었던걸로 알고 있습니다.(사실 리즈시절에도 컨디션이 꽤나 들쭉날쭉 했습니다. 근데 하이노트는 들쭉날쭉한 컨디션과 관계없이 항상 잘 나오더군요;;)
그리고 창법이 바뀐이후로 예전 노래(1집~데이드림) 라이브를 보면 상당히 힘겹게 부르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버터플라이 앨범부터의 모습을 더 높게 평가합니다. 왜냐하면 머라이어 자신이 진짜 하고싶은 음악들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던 앨범이기도 하고 장르가 다양화 되면서 트렌드를 주도 하는 모습을 보여줬기 때문입니다.
E=MC2앨범 이후로는 저도 좀 식으면서 관심이 덜하게 되었는데 그래도 마음속 넘버원 팝가수는 여전히 머라이어 캐리입니다.
14/08/19 10:47
수정 아이콘
머라이어캐리의 라이브를 이야기하려면 2집의 <Emotion> 이 곡을 빼놓고 말하면 안되죠.
초음파, 돌고래 소리를 들으며 오히려 폄하를 당했던 비운의 곡입니다.

MTV Unplugged EP에서는 정말이지... 전 이게 라이브용 노래일 줄은 상상도 못해봤습니다...
지금도 머라이어 캐리의 최고 명반으로 MTV Unplugged EP를 꼽는 분들이 "굉장히" 많습니다.
못들어보신 분들이라면 머라이어 캐리의 팬이 아니더라도 30여 분간 아주 즐거운 시간을 보내실 수 있을 겁니다.

혹시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서...
<MTV Unplugged EP>는 당대의 스타들이 MTV 스투디오에서 전자음을 배제하고 어쿠스틱 반주에 라이브를 해서 발표하던 미니앨범입니다.
폴 매카트니가 yesterday의 가사를 까먹어서 유명해지기도 했었죠 크
14/08/19 10:48
수정 아이콘
그리고 윗 영상들은 사실상 힘 빼고 부르는거라고 보는게 맞을겁니다.
뮤직박스 앨범과 데이드림 앨범은 머라이어의 절제된 창법(-_-)이 포인트인 앨범입니다.
이전 이모션 앨범을 들어보면 그 이후엔 상당히 절제했다는걸 알수있어요.
이모션 앨범 수록곡들은 진짜...사람이 부를 수 있는 노래는 없어요. 들어보면 진짜 노래하는 기계가 따로 있나? 싶을 정도의 난이도를 자랑합니다.
drunken.D
14/08/19 12:00
수정 아이콘
전성기 시절이야 뭐 다들 찬양할 수 밖에 없는 음색과 테크닉이죠.
저에겐 목상태가 안좋아진 이후 그녀의 목소리도 너무 아름다웠고 지금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my all과 I still believe 를 밀어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302 [일반] 남겨진 사람은 그렇게 또 살아간다. [16] 쉬군3571 14/08/20 3571 8
53301 [일반] 문재인 의원 "내가 단식할테니...", 남경필 지사 "열흘 전 이혼..." [177] 껀후이11631 14/08/20 11631 0
53300 [일반] 페북 타임라인을 들여다 보다가 문득 참을 수가 없어졌다 [13] 당근매니아7488 14/08/20 7488 10
53299 [일반] 이장석의 트레이드 그 결과는? [13] Duvet9585 14/08/20 9585 0
53298 [일반] [이종 격투기] 엄청난 사건이 터졌습니다. + 송선수, 직원 사과문 추가 [59] 케인벨라스케즈13468 14/08/20 13468 1
53297 [일반] 사이버사령부 정치관여 확인 및 입건 [31] 곰주4490 14/08/20 4490 3
53296 [일반] [지름] 차를 한 대 샀습니다.. 카푸어 진입 성공!! [51] AraTa_Higgs10559 14/08/20 10559 2
53295 [일반] 설리에 밀린 함수후보들 [31] 카랑카29478 14/08/20 29478 0
53294 [일반] 장범준과 빅병의 뮤직비디오가 공개되었습니다. [27] 효연광팬세우실5558 14/08/19 5558 0
53293 [일반] "CCTV속 남자 1명뿐" 제주지검장 여부 확인중 [45] 마빠이6405 14/08/19 6405 3
53292 [일반] [WWE] 내년 레슬매니아를 향한 수뇌부의 두 가지 이견들 [32] 삭제됨4075 14/08/19 4075 0
53291 [일반] 여야 세월호법 재합의 [186] MB8265 14/08/19 8265 0
53289 [일반] 힙합단체곡 간단리뷰 [53] 스프레차투라10091 14/08/19 10091 2
53288 [일반] 사랑에 그 어떤 말로도. [3] 등짝을보자3053 14/08/19 3053 1
53287 [일반] '취존'의 허용범위는 과연 어디까지 일까요. [51] gjklwe6768 14/08/19 6768 0
53286 [일반] 21세의 설리가 선택할 수 있는 선택지는 무엇무엇이었나? [193] Duvet15741 14/08/19 15741 0
53285 [일반] 추운남자) 여자가 사랑을 확인하는 이유는 뭘까? [50] 삭제됨6360 14/08/19 6360 0
53283 [일반] 명량대첩 역사에 대한 일본의 평가 [41] 삭제됨12137 14/08/19 12137 0
53282 [일반] "從北표현 배상 판결, 판례 거꾸로 해석" 전직 대법관들, 高法 판결 비판… [20] endogeneity7170 14/08/19 7170 10
53281 [일반] [WWE] 2014 섬머슬램 요약.JPG [37] 삭제됨5946 14/08/19 5946 0
53280 [일반] 내가 좋아하는 원타임 노래 Best 10 [39] 리콜한방9198 14/08/19 9198 0
53279 [일반] [음악] 끝판왕의 전성기란..? (M. Carey) + LTTime 추가 [19] AraTa_Higgs4526 14/08/18 4526 1
53278 [일반] 강대국이 미치면 아프간에 전쟁하러 간다 [23] 요정 칼괴기9190 14/08/18 919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