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01/06 03:49:47
Name 말랑
Subject [일반] 말랑이 기억하는 명 더빙 배역들
저는 덕질을 원본으로 하지 않은 사람입니다. 더빙을 하지 않은 물건이라면 모를까 대부분은 더빙판을 챙겨보려 노력한 편입니다. 사실 우리가 이 바닥에 빠지기 위해 필연적으로 거쳐가야 할 관문이 바로 더빙입니다. 그리고 친더빙파와 반더빙파로 나뉩니다. 다만 저는 더빙에서 지고한 한글의 아름다움이라거나 성우들의 연기의 극의를 발견했다거나 한 건 아니고, 그냥 흔한 외국어 포기자이자 다운로드를 위해 돈을 쓰고 자료를 찾아다니기 귀찮았을 따름입니다. 게다가 저는 오덕의 정도를 걷지 않았기에 성덕도 아닙죠.

오늘의 주제는 그런 사이드 덕후의 명 더빙 배역 이야기입니다. 몇 안됩니다만... 아울러 저의 커버 범위 밖에서 최선을 다한 분들과 애석하게 적지 못한 분들의 연기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티미의 못말리는 수호천사 - 비키(채의진)


- 이 맹꽁아! -

프로모션 비디오만으로 모든 LOL 팬들의 심장을 직격했던 챔피언 - 징크스가 등장했을 때, 제가 극렬하게 주장했던 더빙 성우가 채의진입니다. 그리고 그러한 제 주장의 근거가 바로 Fairy odd parent의 Vicky 더빙 연기입니다. 적어도 제가 생각했을 때, 징크스같은 개구진 악역 캐릭터에 대해 가장 완벽한 포트폴리오를 보유했다고 평가합니다. 물론 대학 졸업도 안한 오덕의 의견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만...

티미의 못말리는 수호천사는 한국 더빙 역사에서 동 방송사의 스펀지밥과 함께 반드시 언급되어야 할 작품으로 봅니다. 대상연령을 정확하게 캐치한 번역 퀄리티, 성우들의 연기력, PD의 캐스팅, 퀄리티의 꾸준함에 지속적인 에피소드 수입 방영에도 퀄리티를 떨어뜨리지 않는 등 모든 것을 갖춘 작품입니다(그리고 이걸 연출한 PD는 여기에 연출력을 다 쏟아붇고 다 비워냈다는 슬픈 전설이 있습니다). 또한 둘 다 EBS에서 괜찮은 퀄로 더빙을 했음에도, 선점효과를 뛰어넘는 고평가를 받는 작품입니다.

그리고 이런 훌륭한 작품 내에서도 돋보이는 분들이 언급한 비키/트릭시의 채의진, 코스모의 엄상현, 티미아빠/조르겐 스트렝글/크림슨 친/마크/더그 디마돔/딤스데일 시장/후안 디시모/네가 친/만우절 요정의 변영희입니다. 극을 하드캐리하는 주연 엄상현과 다배역을 모두 훌륭하게 소화한 변영희를 제치고 채의진을 언급한 이유는... 챔프와 닉판 모두를 연기한 공로를 높이 사... 가 아니고 징크스를 할 때마다 아쉬워서...

동영상도 제대로 구하지 못할 정도로 마이너한 작품이지만, 어쨌든 훌륭한 퀄리티를 유지하며 간판으로 활약하고 있습니다. 한국더빙의 고질병인 미친듯한 중복이 유일한 단점.




인어공주 - 울슐라(박정자)




라이온 킹 2 - 지라(성선녀)





대한민국은 디즈니 더빙의 전통의 강호입니다. 당장 생각나는 것도 장광/송용태의 티몬과 품바, 영상에 나온 김수경의 에리얼, 김준의 세바스찬, 채시라의 에스메랄다... 코어인 노래도 뮤지컬 배우들을 원없이 써주면서 퀄리티를 유지합니다. 대표적인 게 김병관과 이성훈의 be prepared 겠고.

제가 선정한 저 두 배역은 '제가 알기론' 연기와 노래를 전부 한 케이스입니다. 노래의 번역도 나무랄 바 없고 무엇보다 디즈니 애니에서 노래가 가지는 의미를 정확하게 보여주었다고 생각합니다. 이게 다 a whole of new world라는, 노래의 의도도 더빙의 자연스러움도 모두 놓쳐버린 흑역사를 극복한 결과이려나...

frozen의 let it go가 정식판인 데미 로바토가 나왔음에도 제가 듣는 건 이디나 멘젤판인 것과 아마 맥을 같이 하겠죠... '겨울 왕국' 기대하고 있습니다. '겨울 왕국'.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1/06 09:01
수정 아이콘
저는 닥터후의 닥터 더빙이 정말 좋아서(성우 김승준 님)본방 꼬박꼬박 챙겨봤네요.
심해잠수사
14/01/06 09:18
수정 아이콘
저도 동감입니다.
데이빗 테넌트 시절 닥터 성우는 참 잘 맞았던 것 같네요.
14/01/06 09:40
수정 아이콘
어서 뛰어요!
라이디스
14/01/06 10:12
수정 아이콘
저도 닥터후의 닥터는 9대 부터 11대 까지 모두 잘된 캐스팅이라고 생각합니다.
9대의 이정구씨와 11대의 김일씨도 너무 어울립니다.
특히 9대 이정구씨는 닥터후 제작진들도 인정했죠.
14/01/06 09:45
수정 아이콘
X파일과 그레이 아나토미 더빙은 원작보다 더 좋더군요.

멀더/?
Tristana
14/01/06 10:22
수정 아이콘
보노보노도 더빙 좋다고 하더라고요.
나비아스톡스
14/01/06 11:13
수정 아이콘
오나의여신님!

베르단디짜응...
14/01/06 13:42
수정 아이콘
카우보이비밥, 셜록, X파일 정도가 지금 생각나는 초월(?)더빙작품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9131 [일반] 전 세계 최고의 퍼포먼스카 Top10 [3] 김치찌개3751 14/01/06 3751 0
49129 [일반] 다단계의 매력에 빠져보고 싶습니다. [92] Wade10151 14/01/06 10151 1
49128 [일반] 열차에서 분실한 가방을 찾게된 썰 [6] 민머리요정7497 14/01/06 7497 0
49127 [일반] [오피셜] 김남일, 전북현대 이적 [21] 삭제됨4680 14/01/06 4680 3
49125 [일반] [공지] 신규 운영진 안내 [38] kimbilly5245 14/01/06 5245 2
49124 [일반] '손석희 뉴스9'에 이어 '김현정의 뉴스쇼'도 중징계.gisa [101] 닭치고내말들어9692 14/01/06 9692 8
49123 [일반] 전 세계에서 가장 휘발유가 비싼 국가 Top10 [12] 김치찌개4632 14/01/06 4632 0
49122 [일반] 말랑이 기억하는 명 더빙 배역들 [8] 말랑8901 14/01/06 8901 0
49121 [일반] 삼성라이온즈 단신 [19] style6760 14/01/05 6760 0
49120 [일반] 홍안의 블랙 팬더가 역사 속에 잠들기까지. [5] 구밀복검5305 14/01/05 5305 2
49119 [일반] 19세기~20세기 초 한 영국 장군의 전쟁 [9] 요정 칼괴기8348 14/01/05 8348 2
49118 [일반] [K리그] 이적시장 정리 -1차- [39] 잠잘까5802 14/01/05 5802 7
49117 [일반] [J-POP IDOL] 13 여름 하로콘으로 보는 Hello Project - 모닝구 무스메 편 [40] Story9273 14/01/05 9273 5
49116 [일반] [KBL] 2014년 첫주 KBL 프로농구 현재순위 + 리뷰(살짝 스압..) [28] G.G4329 14/01/05 4329 3
49115 [일반] 구의회 폐지등 지자체 개혁안 추진 [49] 푸른풀잎5088 14/01/05 5088 0
49114 [일반] 다단계로 돈을 벌어봅시다! [34] 마르키아르11179 14/01/05 11179 4
49113 [일반] 원빈 외모. 남자가 봐도 쩝. [15] 구질라6928 14/01/05 6928 0
49112 [일반] 니들 마귀냐? [34] 당근매니아7580 14/01/05 7580 10
49111 [일반] [펌] 팬덤 최대 위기에 봉착한 팬들을 위해 한 걸그룹 리더가 판 유튜브 계정 [50] 오즈의마법사12682 14/01/05 12682 5
49110 [일반] [오피셜] 레반도프스키, 바이에른 뮌헨 이적 [61] 반니스텔루이6258 14/01/05 6258 0
49109 [일반] 2014 세계아이스하키 선수권 (Division 1A) [6] 삭제됨2524 14/01/05 2524 0
49107 [일반] LG 새 타자용병 결정?? [40] Fin.5980 14/01/05 5980 0
49106 [일반] 전 세계에서 가장 휘발유가 저렴한 국가 Top10 [17] 김치찌개4257 14/01/05 4257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