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3/12/30 01:25:32
Name 김치찌개
Subject [일반] 꾸준히 그리는 것의 중요성


꾸준히 그리는 것의 중요성..

처음에는 그림이 서투른 것은 누구라도 당연한 것이지만 중요한 것은 꾸준히 계속 그리는 것이다

더욱 잘 그리기 위해서는 많이 그리고 연구하여 어떻게 하면 좋을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도 계속 그려야한다

좋은 본보기가 되는

미국,애틀란타에 거주하는 여성,사바나 버지스씨의 일러스트 편력 13장!

즐거운 하루 되세요

출처:엽혹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인간흑인대머리남캐
13/12/30 01:27
수정 아이콘
11세부터 소위 말하는 포텐이 보이기시작하는군요
Rorschach
13/12/30 01:32
수정 아이콘
이 이미지 몇 번 봤는데 이건 아무리 봐도 "재능의 중요성"입니다 크크크
coolasice
13/12/30 13:20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제가 입시미술의 사고에 편협한 시각을 가지고 있는건지도 모르겠으나..4~5에서 13까지 올리는데 짧게는 2~3개월, 여유롭게
6개월이면 15정도 수준까지도 올릴수 있어요..
물론 이건 단지 이론을 외워서 양산해버리는 형식이긴 하지만...
13/12/30 01:37
수정 아이콘
11세에서 가능성이 보이고 12세부터 포텐이 터지네요
Tyrion Lannister
13/12/30 02:47
수정 아이콘
제 닉네임이 이래서 그런지 12살의 Before Winter는 왠지 얼불노 연상이 되네요. 그림에 나오는 동물들인 세 마리 용, 늑대, 사자, 숫사슴, 새, 물고기, 오징어가 다 우연치 않게 소설 주요 가문들 상징이네요. 제목도 음...
13/12/30 03:11
수정 아이콘
이건 꾸준히 그리고자시고 문제가 아닌 것 같은데;;;;
13/12/30 08:11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에서도 초등학교때부터 꾸준히 "미술"하지않아요? ...
수호르
13/12/30 09:43
수정 아이콘
크크킄크
초딩때는 나름 재능있다는 소리도 다들 한번씩 들었었을텐데..-_-;;
흰코뿔소
13/12/30 10:14
수정 아이콘
12세에 포텐이 터진다쳐도 9세부터 12세까지 참은 어머니의 노력에 박수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8983 [일반] 꾸준히 그리는 것의 중요성 [9] 김치찌개4268 13/12/30 4268 0
48982 [일반] 나트륨 함량이 가장 많은 외식 음식 Top10 [26] 김치찌개6472 13/12/30 6472 0
48981 [일반] 전 세계에서 가장 비싼 억만장자들의 집 Top10 [3] 김치찌개3840 13/12/30 3840 0
48980 [일반] 처음 가본 서코 후기 [35] 오즈s6880 13/12/29 6880 1
48979 [일반] Let's 古 시간탐험대 보시나요?(약간스포) [32] 팥빙수6251 13/12/29 6251 1
48978 [일반] 삼성라이온즈 단신 [21] style6796 13/12/29 6796 0
48977 [일반] [해축] [이적시장 D-3] BBC해외축구 가쉽 [25] V.serum4575 13/12/29 4575 0
48976 [일반] 고려, 30년에 걸친 왜구의 사슬을 끊어내다 - 이성계의 황산대첩 [14] 신불해8731 13/12/29 8731 4
48973 [일반] 2013년 숨은 명곡들을 소개합니다. [13] Hobchins6516 13/12/29 6516 0
48971 [일반] 강희제 아저씨에 대한 서양 예수회 선교사들의 반응 [14] 신불해8402 13/12/29 8402 6
48970 [일반] 카트리나와 폴리아모리의 상관관계 [13] 헥스밤7174 13/12/29 7174 6
48969 [일반] 연애상담 트라우마. [13] 라울리스타4811 13/12/29 4811 5
48968 [일반] 대동법으로 생각해보는 대중적인 역사 인식의 문제 [32] 신불해8094 13/12/29 8094 20
48967 [일반] [KBL] 이번주 KBL 프로농구 현재순위 + 잡설 [30] G.G3372 13/12/29 3372 0
48964 [일반] 절벽 끝에 왔습니다 [50] kurt7633 13/12/29 7633 3
48963 [일반] UFC168 와이드먼VS실바 경기 결과와 잡담 [10] 샤르미에티미4334 13/12/29 4334 0
48961 [일반] 사진으로 보는 일본의 집.jpg [12] 김치찌개7393 13/12/29 7393 0
48960 [일반] 아이돌과 배우등 연예인들은 얼마나 돈을 벌어들일까요?! (버전3.0 콘서트 수입및 배우수입추가) [58] 카랑카33936 13/12/29 33936 28
48959 [일반] 필수 공익사업장, 파업 단순참가자도 직권 면직 검토 [20] 니시키노 마키4031 13/12/29 4031 1
48957 [일반] 131228 서울시청 앞 총파업 현장 영상입니다. [20] 에네스티5126 13/12/29 5126 13
48956 [일반]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해외여행 비용을 지출하는 국가 Top10 [5] 김치찌개3580 13/12/29 3580 0
48955 [일반] 전국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정류장 Top10 [15] 김치찌개3807 13/12/29 3807 0
48954 [일반] 대한민국에서 가장 연봉이 많은 기업 Top10 [9] 김치찌개4868 13/12/29 486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