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10/21 21:31:18
Name 바람돌돌이
File #1 그림3.png (407.0 KB), Download : 1430
File #2 그림4.png (933.1 KB), Download : 1432
Subject [정치] 돈을 번 아파트, 돈을 못 번 아파트 분석 (수정됨)




서울 아파트 가격은 추석전에 화제가 되었지만, 이번 정책 영향으로 당분간 잠잠해 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부동산을 이야기 하다보면 제가 체감하는 것과 다른 체감을 가진 분이 많으신 것 같아서 데이터로 이해해보려고
자료를 만들어봤습니다.

부동산 가격이 최고점이었던 21년도에 구매했을 때 부터 비과세 2년을 기준으로 22년도와 23년도에 각각 구매했을 때를
나눠서 자료를 만들어 봤습니다.

분석대상 아파트는 서울 30평대 아파트이고 데이터소스는 서울시 데이터입니다. 아마 전수 데이터일 겁니다.

21년도에 구매한 경우에 평균 수익률은 8.2%인데 이건 상방이 뚫려 있어서, 중간값은 3.0% 입니다.
4년동안 3%라서, 취등록세만큼도 수익이 안났습니다.

22년도에 구매한 경우에 평균 수익률은 12.3%, 중간값은 6.7% 입니다. 취등록세 3% 생각하면, 3년투자해서 3.7-9.3% 벌었습니다.
전체의 1/3은 물론 수익률이 30% 이상 인데, 절반정도는 마이너스 수익률입니다.

가격이 확 빠졌던 23년도에 구입한 경우에는 평균 29.6%의 아주 높은 수익을 봤습니다. 중간값도25.9%이고, 마이너스 수익인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수익 금액 기준으로 보면, 아파트 팔아서 5억이상 버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확률적으로 보면 매수자의 20%도 안되는 것 같습니다.

구입연도별 수익금액을 겹쳐서 보면 재밌는데, 결국 아파트는 가격이 급락한 후에 사는게 수익률을 더 높게 만듭니다.
그리고 투자 구입액별로 재미있는 결과가 보이는데, 살때 비싼게 나중에 수익률이 더 높습니다.
그리고 제가 사는 가격대의 아파트인 10억 이하의 아파트는 수익률이 낮습니다. 결국 부동산으로 큰 돈 벌려면, 비싼 아파트를 아파트 가격이 하락 한 후에 사는게 유리합니다.

혹은 마지막 그래프에서 보듯이, 아주 싼 아파트를 사는 것도 수익률이 높습니다. U 패턴이죠. 다시 생각해보면 아마 분양가 같아 보이는데 원 자료를 봐야겠네요.

그리고 되게 중요한 건데, 영끌 하면 수익률이 안좋습니다. 어차피 비싼 거 사는 사람들이 돈버는 시장이라서, 굳이 따라가봐야 리턴이 안좋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lightstone
25/10/21 21:42
수정 아이콘
21년 패닉바잉해서 피본 사람도 많죠...
바람돌돌이
25/10/21 21:45
수정 아이콘
좋은 가격에 사는게 제일 중요하다는 걸 데이터로 보이는 것 같습니다. 비싸진 걸 비싼 가격에 사면, 좋을게 없죠.
마라떡보끼
25/10/21 21:54
수정 아이콘
제가 사는 지역은 22년 고점을 회복 못하고 아직도 빌빌 거리고 있네요 그래도 수도권이랑 붙어있는 지역이고 지방도시 치고 꽤나 큰 도시인데 대장 아파트라고 불리는곳도 현시세가 고점대비 15프로 정도 낮아요
그래서 그런가 요즘 서울 집값으로 떠들석한데 저같은 지방민은 별로 체감이 안되더라고요
바람돌돌이
25/10/21 21:58
수정 아이콘
서울 내에서도 마지막 그래프처럼 U자형입니다. 실제로 돈을 벌었다는 건 구입 당시에 10억 이상 아파트 들로 보입니다. 아니면 23년도에 산 사람들은 높은 수익률을 경험하고 있겠죠. 그리고 큰 돈을 번 사람들은 전체 구입자들의 20% 정도이고, 이 사람들이 산 매물은 비싼 고가 아파트들입니다. 제가 어차피 살 수 없는 자산이라서 가격이 오르거나 내리거나 별 상관없죠.
VictoryFood
25/10/21 21:59
수정 아이콘
??? : 훌륭한 아파트를 더 훌륭한 가격에 사면 그게 가치투자입니까?
바람돌돌이
25/10/21 22:01
수정 아이콘
좀 더 단순화 시키면 서울에서 가격 순으로 순서를 매긴다음에 상위 30% 이내에 속한 것을 사는데, 사는 가격이 전년도 보다 떨어졌을 때 사면 됩니다. 경제위기는 주기적으로 오고, 서울 아파트 가격도 5-10년에 한번씩 조정을 줍니다.
아이군
25/10/21 22:37
수정 아이콘
엄밀히 말해서 전국 집값은 아직도 보합권이죠.(상승전환을 시작한)
더 세게 말하면 수도권 빼면 아직도 하락 중이라는 거...
https://www.imaeil.com/page/view/2025101615314648170

그러니깐 엄밀히 말하면 부동산 상승이 문제가 아니고, 수도권 집중이 문제인 겁니다.

이걸 또 다르게 표현하면 이렇습니다. 부동산으로 돈 버는 시대는 끝났다. 지방은 아예 말이 안되는 이야기고, 경기도도 레버러지 생각하면 목숨 건 돈벌이 입니다. 그래도 주식 적립보다 벌이가 나쁘구요

오직 서울 집값 만 오르는 겁니다. 서울 집은 돈을 벌기위해 사는 물건이 아니고 돈을 벌어서 사는 물건인거죠.
25/10/21 22:46
수정 아이콘
그걸 수도권 '집중화'라고 부르기도 뭐해요.
정확하게 말하면 '집중된 수도권' 이죠.

전국민의 절반 이상이 서울경기인천에 사는데,
수도권만 빼고 이야기한다는 전제가 성립이 안 됩니다.
유동닉으로
25/10/22 08:39
수정 아이콘
엄밀히 따지면 수도권도 강남3구 마용성 판과분만 최근에 많이 올랐지. 다른 지역들은… 최근에 급등한 지역들 인구수 다 카운트 하면 10% 선일걸요.
25/10/22 16:09
수정 아이콘
딱히 그렇지도 않아요.
하도 서울 상급지만 올랐다, 그사세다 하시던 분들 많아서 kb 부동산원 홈페이지 들어가서 확인해봤습니다.

전반적으로는 부동산이 22년에 피크찍고 약간 떨어졌다 전고점 회복하거나/뚫거나 하는 추세인데,
서울시 전체 평균도 전고점은 진즉에 회복했고 이재명발 지원금 살포 이후로 가파르게 올랐고,
양천/강동/광진/동작도 전고점 뚫었습니다.
지금 빌빌거리고 있는 곳은 노도강금관구 은평 이정도? 마곡이나 동탄도 거의 다 회복했네요;;
25/10/22 16:10
수정 아이콘
찾아보니까 진짜 이악물고 시드 약간이라도 더 불려서 근시일 내 서울 상급지에 등기쳐야한다는 생각만 굳혀지네요.
덕분에 공부 많이 했습니다.
슬래쉬
25/10/21 22:41
수정 아이콘
19년도에 산 나 자신 칭찬해...
근데 현재 가격에서 샀을때 들어간 비용, 세금 등등 빼면 남들이 보는 만큼은 아니라는 ㅠ
25/10/21 23:04
수정 아이콘
저도 비슷한데 사실 집이니까 깔고 앉는거긴하죠.
이전에 비트코인 사서 버텼으면야 더 벌었겠지만 버틸 수 없었을겁니다.
슬래쉬
25/10/21 23:06
수정 아이콘
부동산의 가장 큰 장점은 사팔사팔 힘들어서 장투가 된다는 점 같아요 흐흐흐
바람돌돌이
25/10/22 05:57
수정 아이콘
열광할만한 투자는 아닙니다. 너무 묶인돈이 크고 연도별 변동성도 큽니다. 돈을 벌때 사고파는 시기가 중요합니다.
슬래쉬
25/10/22 11:13
수정 아이콘
묶인게 좀 단점이긴 한데...
대신 그만큼 많이 오르긴했네요
카레맛똥
25/10/21 23: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생활권이 서울/수도권이라면 부동산은 사실 이제 수익률 경쟁이 아니라 그냥 1주택을 가지는게 뉴트럴이라고 생각해요.
2주택 이상부터가 부동산에 롱을 친거고 무주택 분들은...서울/수도권 부동산에 숏치고 인디언 기우제 하는거죠 뭐..
지금 당장 무리해서 등기칠 필요는 없지만 시장 사이클에 맞게 등기는 꼭 치는게 맞는 트렌드인거 같습니다.
무냐고
25/10/22 08:55
수정 아이콘
다주택자 거의 죽어서 90%이상 중립과 숏만 남은 상황같네요
일각여삼추
25/10/21 23:30
수정 아이콘
역시 정상적인 수준인데 거래를 막는 규제만능주의였군요. 거래는 시장에서 알아서 할테니 정부는 할 줄도 모르는 규제 얼음땡 그만하고 지원금인지 국민용돈인지 그거나 뿌리는 게 낫겠습니다.
바람돌돌이
25/10/22 07:58
수정 아이콘
저는 여러번 별로 안올랐고 돈 번사람 별로없다는데 계속 부동산 상승론을 외치는 분들이 있잖아요? 부동산은 심리라서 높은 수익을 본 사람들이 주도하는 여론이 퍼지면 주택가격이 오르죠. 고가 주택위주로 오르는건데 그걸 조장할 필요는 없잖아요?
일각여삼추
25/10/22 11:11
수정 아이콘
그럼 아니 오르지도 않았는데 거래를 왜 막냐고요? 서킷브레이커도 몇 % 이상 오르면 발동한다는 조건이 있는데 이번엔 안 오른 노도강도 다 묶었잖아요? 폭거 아닌가요? 뇌피셜로 할거면 법은 왜 있고 규칙은 왜 있습니까.
25/10/22 08:09
수정 아이콘
그런데 일부 언론과 넷상에선 부동산 폭등한다고 난리죠. 폭등 때문에 정권 바뀔거라고도 하고. 서울 부동산이 하락해야 성공한 정책이라고도 합니다. 이 유동성장에 물가 오르는데 서울 부동산만 하락시키는데 성공한 정책이라면 큰일 난거 아닐까 합니다. 적당히 우상향하는거 용인하고 과열때 찬물 조금씩만 부어주면 되는거라 봅니다. 백약이 무효이면 너무 무리하지 말고요.
수돌이
25/10/22 08:44
수정 아이콘
양극화장세이죠. 과거의 상승장인 2020년을 보면 지방 아파트부터 상가용 빌딩, 지산같은 부동산 자산 전체가 엄청 올랐습니다. 하지만 지금 지방아파트는 아직 하락하고 있는곳이 많고요. 서울아파트조차 일부지역은 2021년 전고점도 회복 못했죠. 지산은 투자하신분들 이득보신분이 거의 없고 공실등으로 손해만보고 있고 상가용 빌딩은 번화가인 강남역, 가로수길등도 불경기로 인한 공실로 고생하고 있죠. 결국 분산되었던 부동산 실수요 및 투자 수요가 되는데인 상급지 아파트 투자에 몰리고 있는 상황이죠. 과거까지는 이런 장세일 경우 상승장의 마지막일 가능성이 높았는데 지금은 어떻게 될지? 이번에는 다를것인지? 잘 모르겠네요.
25/10/22 09:02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집'의 특수성 때문이라고 보는데...
서울 및 수도권 그 중 서울 쪽으로 사람이 몰리고 거기서도 인프라 좋은 상급지로 사람이 몰리는데 집값이 안오르는게 더 이상하다고 생각합니다.
게다가 유동성도 풀리는데 집값올라가는 걸 막으려 한다? 뭔 해괴한 정책들이 더 나올지 감도 안잡혀요
바람돌돌이
25/10/22 09:33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가 갖고있는 집의 특수성은 없는것 같아요. 그냥 전세가 있어서 월세가 싸다는 것 정도, 그리고 신규 공급이 많다는 것 정도가 특징인데요. 투자성 부동산은 뉴욕부동산 가격하고 같이 움직이고 거주성 아파트는 국내 대출금리따라 움직입니다. 해외도 거주용 부동산 상승률은 우리나라보다 높거나 낮거나 비슷비슷하죠. 한국적 특색이라는게 특별한거 없는것 같습니다.
25/10/22 10:2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차트의 모수 기준으로 10억이상이 절반인데, 바꿔말하면 서울시 절반의 아파트는 높은 수익률을 보였다는걸로 해석됩니다. 절반이 떡상하면 민심이 흉흉할 수 밖에요.

나아가 최근 3개월간 마용성을 넘어서서 당산, 신도림, DMC, 홍제, 왕십리,철산도 전고점을 돌파했는데 해당 수치가 반영된 자료인지 궁금하네요.서울시 데이터 원소스는 어떤 자료를 쓰셧습니까?
바람돌돌이
25/10/22 10:49
수정 아이콘
서울시 공공정보 9월까지 모든 부동산거래 자료를 썼습니다. 10월은 아직 안나왔죠. 수익률 차트가 U 자형이라서 중간에서가 수익이 안좋습니다. 그리고 3프로 취득세 넣고 40프로 대출을 가정하면 더 내려가죠.
25/10/22 11:48
수정 아이콘
1. 모수가 대략 10,000개이니까 23년 기준 하위 2.5%에서 바닥이 나오는 수익률 곡선인데 이걸 무슨 U자형 수익률차트라고 하나요? 가격대별 상승이 가파라지는 곡선이죠

2. ROA가 10%인데 대출금리 3~4% 넣으면 ROE는 훨씬 높게 계산됩니다. 내려가는게 아니라요.

3. 서울시 부동산실거래가 정보는 10월까지 나왔는데 어떤 rawdate를 사용하신건가요?
바람돌돌이
25/10/22 13:16
수정 아이콘
아직 10월이 안끝났어요. 레버리지 계산은 가격대별로 가정이 많이들어가서 뺀겁니다만, 오르는 자산에서야 roa가 늘지 떨어지는데서는 수익률이 크게 나빠집니다. 그리고 23년이 기준일 이유가 없죠. 그래서 굳이 3개년을 나눈겁니다.
25/10/22 14:06
수정 아이콘
1. 대출 고려하면 수익률이 낮아진다는 문장이 개념적으로 roe를 사용하신겁니다. 레버리지비율 빼고 roa를 수익률로 사용한거라면 대출 고려하면 수익율 낮아진다는 문장은 비문입니다

2. 굳이 년도는 3개년으로 나누고 분석해놓고 모수는 장난질하셨습니까. 그래프로 분석하고싶었으면 한칸당 모수는 어느정도 맞추고 분석하셨어야죠

3. 서울시 내 아파트가격 공공정보가 여러개입니다. 실거래가로 분석하신게 맞는지 반복 질문드리는데 그 대답은안하시고 주어빼놓고 계속하시네요
3.
바람돌돌이
25/10/22 14:48
수정 아이콘
공공정보가 실거래가지 뭐가 여러개에요? 그리고 모수는 전수인데 뭘 장난질을해요? 말도 안되는 트집이네요.
25/10/22 15:43
수정 아이콘
알면서 일부러그러는건지.. 5억미만 259개 10억이상 4912개를 동일하게 막대하나로 표기해놓고 트집이라뇨. 그리고 공공정보에서 검색하면 당장 실거래가, 공시지가, 변환표준가 수두룩한데 뭐가 한개입니까. 사용한 기초자료 파일명이 뭔데요?
바람돌돌이
25/10/22 16: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부동산 거래 자료는 하나에요. 거래를 뭔 공시지가로 해요? https://land.seoul.go.kr:444/land/rtms/transactionInfo.do
25/10/22 16:30
수정 아이콘
raw 데이터가 뭔지는 링크나 표기가 없네요
바람돌돌이
25/10/22 16:38
수정 아이콘
국토부 실거래를 서울것만 뽑아놓은겁니다
25/10/22 17:42
수정 아이콘
취득세, 양도세 등 부동산 관련 세금, 대출이자 비용 등을 싹 다 제하고 보면, 서울부동산 실 수익률은 생각보다는 높지 않으니, 서울부동산 1주택은 진리라는 사회통념이 실제와는 상당히 다를 수 있다는게 이 글 요지같은데, 어떻게든 아득바득 흐린눈으로 보려하는 게 재밌네요 크크
제주조랑말
25/10/22 18:47
수정 아이콘
저번에도 그렇고 고점인 21년을 기준으로 서울부동산이 수익성이 저조하다는 주장이 반복되네요.

1. 최근 10년치 그래프 그려보시기엔 좀스럽고 민망한 결과가 나오겠죠? 특정시기부터 '쑤욱' 치솟을테니

2. 서울부동산이 그렇게 안 오른 자산이면 서울전역 토허제 묶고 경기도까지 규제해버린 정책은 이재명정부의 실책일까요?



쓰고나니 초등학교 교과서 '생각해봅시다' 꼭지같네요. 초등학생도 정답을 알거 같긴 합니다.
바람돌돌이
25/10/22 19:00
수정 아이콘
더 분석하고싶으면 직접하세요.
제주조랑말
25/10/22 19:07
수정 아이콘
호갱노노 들어가서 아무아파트나 10년치 그래프 봤더니 제 생각이 맞네요. 너무 예상대로라 직접한 보람이 좀 없긴합니다.

참고로 저는 지금같은 부동산폭등기에 이재명정부의 강력토허제 정책이 일시적인 가격방어 효과를 낳을것으로 기대합니다.
바람돌돌이님과 다른 비슷한 성향의 유저분들이 보시기에는 서울부동산 별로 오르지도 않았는데 뻘짓한걸로 보이시려나 너무 궁금한데 이것만 말씀해주시면 안 될까요?
바람돌돌이
25/10/22 19:19
수정 아이콘
현금 시장인 고가아파트는 거래량줄고 신고가 나오는 패턴이겠죠? 실거래위주의 대출 맥스로 사는지역은 매물 줄고 거래줄고 급매만 빠지겠죠? 갭투자로 급등한 곳은 거래량줄고 4년 조용하겠죠? 결국 유동성이 는만큼 부동산도 오를거고 속도만 조정할수 있겠죠? 대책은 속도 늦추려는거니 의도대로 되겠죠? 그만큼 주식시장이나 다른 투자자들이 돈 많이벌면 부동산에 묶인돈이 아깝다는 사람들도 생기겠죠?
제주조랑말
25/10/22 19:24
수정 아이콘
속도가 조절될거라는 의견은 합치를 이뤘네요.

저는 부동산이 폭등해서 조절한거다,
돌돌이님은 부동산 가격은 많이 안 올랐지만 부동산에 묶인 돈 아깝게 생각하게 하려고 강제적으로 토지 거래하려면 관에 허락받도록 거주의 자유를 제한한거다, 정도의 의견 차이가 있네요.

솔직한 의견 감사합니다.
김멍거
25/10/22 20:06
수정 아이콘
어찌보면 이렇게 표까지 만들어가며 쉴드치는 정성이 대단하지 않나요..

문재인 정부 통계마사지 할 때 같이 계셨나..
제주조랑말
25/10/22 20:13
수정 아이콘
마사지가 시원하니 팁(민생쿠) 이라도 드려야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30] jjohny=쿠마 25/03/16 38884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15684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9944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76526 4
105264 [정치] 갤럽 조사상 처음으로 주식 투자 선호 비율이 부동산 투자를 앞질렀습니다. [12] 마라떡보끼1286 25/10/23 1286 0
105258 [정치] “수십억 아파트 갭투자하고 국민은 안된다?” 정부, 여론 들끓자 전문가 불러 ‘당부’ [부동산360] [376] petrus12649 25/10/22 12649 0
105257 [정치] 조희대의 대법원, 12월 3일 계엄 따른 조치 논의됐나? [446] 빼사스13440 25/10/21 13440 0
105256 [정치] 김건희 이배용과 함께 경회루에서? [18] 삭제됨4890 25/10/21 4890 0
105255 [정치] 돈을 번 아파트, 돈을 못 번 아파트 분석 [43] 바람돌돌이6289 25/10/21 6289 0
105252 [정치] “한두 잔 마신” 지귀연 술자리 170만원…대법 감사관 “징계사유 안 돼” [128] 빼사스12679 25/10/21 12679 0
105251 [정치] 이 대통령 '냉부해' 논란 보도, 명태균·김건희 공천 개입 보도보다 2배 많았다 [29] lightstone5896 25/10/21 5896 0
105250 [정치] 부읽남 국토부차관에게 듣는 부동산 썰 [256] 문재인대통령12049 25/10/21 12049 0
105249 [정치] 검찰청 ‘연어 술파티’ 의혹 당일, 김성태 ‘페트병에 술 준비’ 지시 녹취 확인 [112] 베라히10090 25/10/20 10090 0
105243 [정치] 정부가 보유세 손대려나 봅니다 [470] 비브라늄21309 25/10/19 21309 0
105242 [정치] 국민의힘 당대표 장동혁 윤석열 구치소 면회 [118] 마라떡보끼12474 25/10/19 12474 0
105241 [정치] 정경심 교수가 최성해 동양대 총장을 고소했군요. [59] petrus10949 25/10/19 10949 0
105240 [정치] 한국과 미국 보수 진영의 정치적 동조화 [14] 유동닉으로6258 25/10/19 6258 0
105239 [정치] 석열의 봄이 성공했으면 어떻게 됐을까? [324] 스내치마스터13838 25/10/18 13838 0
105238 [정치] 중국 군 고위직 9명 숙청 [17] 如一8421 25/10/18 8421 0
105233 [정치] 조국 비대위원장의 서울시장 출마가 현실화된다면 민주당이 고민할 만한 이유. [110] petrus13334 25/10/17 13334 0
105232 [정치] [NYT] 우크라이나 종전 위해 트럼프-푸틴 (또;) 정상회담 예정 [43] 철판닭갈비7827 25/10/17 7827 0
105229 [정치] 트럼프 "베네수엘라 영토 공격 검토"…마두로 "그들을 거부한다" [22] 베라히8079 25/10/16 8079 0
105228 [정치] 서울/경기 상급지 부동산의 공급 시그널인 재건축과 가격안정 [314] 유동닉으로10813 25/10/16 1081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