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9/25 01:29
(수정됨) 요즘 ai보면 예술쪽은 앞으로 더 힘들것 같네요 만화도 딸깍 소설도 딸깍..
미국 시나리오 작가들이 ai로 난리났던 이유가 공감가는 크크크
25/09/25 01:34
실존하는 인물을 ai처리해서 활용하는거야 경제성이나 새로운 창작을 위해 그러려니 해도
비존재에 대한 거부감은 없어지지 않을 것입니다 완전 실사물과 ai처리물에 대한 선호도는 갈릴 것으로 예상합니다
25/09/25 03:27
실사 매체에 AI를 적극 활용하는 건 이미 다들 계속 트라이하고 있고 빠르게 더 늘어날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게 어떻게 보면 좀 다른 방향의 CG랑 별로 다를것도 없다고봅니다 기존에도 배우 외형이랑 얼굴만 가져오고 CG로 창조해낸 장면들 수많은 영화에 수없이 많으니까요 그리고 본문대로 이미 '지금 이 순간'유명한 사람들은 이미 유명하기 때문에, 누가 봐도 누군지 알기 때문에 지금보다 더 편하고 더 많이 외형이 사용될 거고 더 많은 돈을 더 편하게 벌 가능성 높다고 생각합니다 초상권만 넘기고 컴퓨터로 노동자들이 영화 한 편 뽑아내는 동안 놀면서 개런티를 받는 세상이 올 수 있죠 한 편당 받는 돈은 줄어들겠지만, 대신 현실적인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있는 지금에 비해서 압도적으로 많은 수의 매체에 출현 가능해지니까요 반대로 '새로 유명해져야 하는'사람들은 문이 더 좁아지겠죠 저는 AI에 대해서 가장 궁금한 건, 현 세대가 아니고 다음 세대가 AI를 어떻게 받아들일거냐 입니다 사람의 정서라는게 보통 성장기 지나면 바뀌지 않고 지금 AI를 처음 보는 세대는 결국 어떻게 해도 AI에 대한 거부감이 어느정도는 있기 마련입니다 죽을때까지요 그런데 2020~2030년대에 태어나서 어릴때부터 AI를 당연히 보고 자란 세대는 어떨까요? 한 세기 정도 지나면 인류가 정말 많이 바뀔지도 모르겠습니다
25/09/25 07:28
신규 연예인들은 ai와 경쟁해야 해서 쉽지 않을꺼 같은데
연예인과 서브컬쳐 캐릭터의 가장 큰 차이는 실물이 존재하고 현실에서 볼수 있고 소수는 접촉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여전히 연예인의 수요는 남아있을 꺼라고 봅니다 다만 예전만큼 많은 연예인이 생존할 수는 없겠죠
25/09/25 07:39
양극화가 될거라고봅니다. 이러니저러니해도 최상위권은 ai고 자시고 그 존재감이 줄어들진 않을꺼고 다수는 연예인을 쓰는 돈 자체가 깎이는 방법으로 생존하겠죠. 저비용이면 나름 가성비가 되는게 사람이니 말이죠. 차은우 정도면 막차가 아니라 ai 시대가 되도 그 가치를 채울만한 체급은 되서 막차라 보긴 어렵습니다.
25/09/25 08:08
라이온스게이트랑 영상ai업체 런웨이가 협업중인데 ai영화 관련해서 12개월째 삽질만 하고 있다는 기사를 봐서 아직은 단편이나 광고에 들어가는 수준에서 크게 발전 못한것 같더라고요
+ 25/09/25 08:55
런웨이는 구글의 비오3, 나노바나나 같은 애들이랑은 일관성 부분에서 좀 다른 길을 가고 있긴 합니다.
사람들을 놀라게 하는 신기방기한 영상은 비오3가 쑥쑥 잘 만들어내지만, 평범한 단편드라마를 만들고 싶다면 런웨이가 나은거 같습니다. 어쨌든 실제 현장을 대체할 수준은 아직 멀었는데... 발전 속도가 너무 빨라서, 이젠 관심있게 다루던 사람도 따라가기 벅찰정도 같아요.
+ 25/09/25 08:38
이게 저도 회사 프로젝트에서 진행 하고 있는데, 일단 가장 큰 문제는 맥락 보전이 매우 매우 매우 매우 어렵다는 것입니다. 아직 그림이나 영상 AI 에서 대량의 프롬프트를 처리 할 수 있는 능력이 없고, 이 말인 즉슨 아무리 디테일을 추가해서 명령을 내리더라도 그 한계가 있다는 뜻입니다. 삼 초, 오 초 짜리 짤막한 장면들을 생성하거나 보정 하는 것은 확실히 AI의 도움을 받을 수 있기는 한데 그 이상의 컨텐츠로 넘어 가면 사실상 컨텐츠 구성을 어떻게하느냐, 그리고 편집을 어떻게 하느냐에 대한 영역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물리적인 촬영 기술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상황이라면 아직까지는 수천만원짜리 장비를 구매해서 촬영 하는 게 더 경제적인 상황입니다. 아직까지는. AI로 생성 해 가면서 트라이 엔 에러를 수 없이 시도 하는 게 생각보다 비용이 많이 들어 가거든요
+ 25/09/25 09:46
소라가 체감상 한 2-3년전쯤 나온 느낌인데, 아직 1.5년 밖에 안되었나요..
발전속도가 그야말로 쩝니다. 거기다가 이게 선형이 아니고 지수적 발전을 더 한다는 가정하여 1년 뒤에는 아마 중편 이상 영화 만들수있을 것 같네요. 간츠 O 같은 실사 느낌 나는 애니는, ai가 훨씬 잘만들거같아요. 스토리나 각본은 아마 4-5년간은 인간이 더 잘할거같긴 한데, 개인적으로 모든 면에서 인간을 뛰어넘는건 5년남은거 같습니다. 2030년대에 어떤 세상이 될지 감히 상상이 안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