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8/05 12:40:31
Name Categorization
Subject [일반] 일론 머스크가 얘기하는 6가지 (수정됨)
최근에 일론 머스크의 여러 인터뷰를 유튜브를 통해 보고, 아래 6가지 정도가 기억에 남아서 정리해봤습니다.

1. 생각의 실천 : 머릿속에 생각이 있으면 일단 행동으로 옮겨보라고 말합니다. 실패가 두려워 아무것도 안하지 말고 일단 실천하면 실패하더라도 이렇게하면 안되는구나라는 걸 알게된다고 합니다.

2. 문제해결 : 면접때 항상 물어본다고 합니다. 살면서 어떤 문제들을 겪었고 어떻게 해결했는지에 대해서 얘기해보라고 한다고 합니다. 본질에 다가가서 제대로 문제를 해결해본 사람은 막힘없이 자기 얘기를 하지만, 그렇지않고 겉핥기식으로 문제를 대했던 사람은 대부분 얘기를 하다가 막힌다고 합니다.

3. 제1원칙 사고법 : 사람들이 당연하게 생각하는 것들에 대해서 의문을 갖고 물리학의 당연한 진리에서부터 시작해서 사고를 전개하고 이어가는 것입니다. 현상(상황)을 보고 본질에 점점 다가가는 것도 그렇고, 본질에서부터 스스로의 질문에 대한 답을 이어가며 생각을 전개해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결론을 낼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일론 머스크의 성과들은 대부분 이러한 사고방법에서 출발했다고 합니다.

4. 세상에 도움이 되는 사람 : 세상에 도움이 되는 사람이되고 싶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에게도 세상에 도움이 되는 사람이 되려고 노력하라고합니다. 자기 정체성은 이기적일 때가 아니라 이타적일 때 만들어진다고 하는데, 일론 머스크의 사업전개는 전인류적이고 전지구적인 문제의 해결방법들입니다. 일론 머스크의 정체성이 느껴지는 부분입니다.

5. 배우려는 용기 : 자신의 무지함을 인정하고 항상 질문했다고합니다. 해야하는 사업을 전개하기위해서 필요한 지식들중에 자기가 모르는 부분이 있으면 항상 공부했다고 합니다.

6. 자기주도적인 삶 : 때론 반항적이지만, 독립적인 삶을 사는걸 일론 머스크는 좋아한다고 합니다.
                    

기타 사항으로 일론 머스크하면 떠오르는 것이 화성이주와 워커홀릭이 있는데, 이런 생각이 듭니다.

* 화성이주 : 일론 머스크가 목표로하는 인류의 화성 이주가 성공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 목표를 달성하기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나온 결과물들로 인류는 한단계 더 나은 삶을 살거라고 생각합니다.

* 워커홀릭 : 일론 머스크의 워커홀릭적인 성향은 익히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주당 100시간 이상을 일론 머스크는 일한다고 합니다. 남들보다 두배는 더 일하는 거고 그 성과는 당연히 더 클거라고 말합니다. 아마도 이렇게 할 수있는 이유는 일론 머스크는 가장 효율적으로 시간을 쓰면서 의미있는 결과를 만들어내는 방법을 알고 있기때문이라고생각합니다. 하면할 수록 성과가 나오기때문에 일을 자꾸 하고 싶어질테고 그렇게 최대한 많은 시간을 일하는데 쓰게되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8/05 13:08
수정 아이콘
트럼프는 왜 지지한건지.
정답은 1번. 머리속에 생각이 있어서 일단 행동으로 옮겨봤다가 실패한거겠군요.
그럼 이젠 그렇게하면 안되는구나를 알았으려나.
25/08/05 13:12
수정 아이콘
안되는걸 알았으니 창당을..??
OcularImplants
25/08/05 13:14
수정 아이콘
참 인간은 양가적이구나를 느끼게 해주는..
오늘 뭐 먹지?
25/08/05 13:18
수정 아이콘
주당 100시간은 경영자적 입장이고..
25/08/05 18:24
수정 아이콘
출퇴근도 포함일테고...(뭘 하시겠지만)
25/08/05 13:21
수정 아이콘
1번은 진짜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가능 불가능의 경계는 시행착오를 겪어야 알게 되더라고요
한 때 자기객관화라는 말이 유행했었는데
직접 해보지 않고 머릿속으로 굴려서 자기객관화하는 건 합리화에 더 가깝다고 봅니다
Quantumwk
25/08/05 13:39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렇다고 터무니없는 부분에서 시행착오를 하는건 시간낭비고 (머스크 본인이 정치 뛰어든것처럼) 이공계 분야에 있어서 물리학적인 fundamental로 부터 출발한 통찰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봅니다,

해봐야 안답시고 기술기업에서 영구기관개발과 같은 터무니없는것에 시간낭비하면 안되니깐요.

머스크 아이디어가 일반인들이 보기에는 허무 맹랑해 보여도, 물리학적으로 가능한건지 아닌지에 대해서 철저하게 고민+사업자로서의 감각이 같이 곁들여져서 나온 결과 입니다. 그냥 뭣도 모르고 생각없이 좌충우돌해서 나온 결과가 아님.
신성로마제국
25/08/05 13:28
수정 아이콘
아무리 멋있는 말을 해도 '그걸 아는 놈이 트럼프를 지지해서 세계를 이꼴을 만들어?'생각이 드니 거부감이 드는 건 어쩔 수 없군요. 제가 정치병자인가 봅니다.
Quantumwk
25/08/05 13:3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머스크는 좋은의미든 나쁜 의미든 여러모로 정상에서 한참 벗어난 인간이라 롤모델로 삼지는 적합지 않습니다

다만 기술기업 CEO로서 기존의 편견과 관습에 얽매이지 않고 물리학 원리에서 출발한 fundamental한 접근을 이용해 엄청난 통찰력을 보여줬고 여기에 사업가로서의 감각을 접목해서 혁신적인 성과를 가시적으로 보여준건 정말 대단한 것이라고 봅니다.

근데 정치는 안했으면 좋겠습니다. 인류를 위해서라도 그 엄청난 재능과 통찰력을 본인이 잘하는곳에 썼으면해요.
인격적인 결함이 너무 심하고 전세계 최고수준의 에고덩어리라 다른 사람과 협력해서 정치를 하는게 불가능합니다.
전자수도승
25/08/05 13:57
수정 아이콘
스페이스 X 최후의 시도가 성공하는 바람에 여기까지 온거라 롤모델로 삼기에는 적합하지 않죠
(진짜 자금이 바닥나서 그게 마지막 시도였다고 회고했었으니까)
거기에 테슬라의 초창기 어처구니 없는 완성도조차도 좋게 봐주는 미국인들이 있었기도 했고, 예약금 받아놓고 무지성으로 납기 연장시키는데도 사업이 굴러가는거 보면 최면 어플 쓰나 싶을 지경이었죠
여러모로 천운이 따른 사람이라 그렇지 둘러대는 말을 보면 평소에도 거짓말을 밥먹듯이 하는 관종이기도 했고
분명 대단한 기술자인건 맞지만 시운이 따르지 않았다면 그냥저냥 재미있는 양키 1이었을 사람이지만, 워렌 버핏의 말처럼 "난소 로또"까진 아니어도 사업을 미국에서 하면 얼마나 날로 먹을 수 있는지 보여주는 사례라고 봅니다
Quantumwk
25/08/05 14:56
수정 아이콘
모든 사업은 '운빨'이 있어야 합니다. 이런식으로 평가하면 스티브 잡스건 빌게이츠건 기타 창업주던 다 운빨로 성공했을 뿐이겠죠.

어쩌다가 운이 따라줘서 대박이 났더라도 기본적인 역량이 안되면 지속을 할 수가 없습니다. 애초에 역량이 안되면 운을 받아 먹을 수도 없구요.
내일은주식왕
25/08/05 15:09
수정 아이콘
님 말씀에 큰 틀에서 동의 하긴 하는데요, 저는 역량 자체가 운빨요소가 크다고 봐요. 막말로 머스크 IQ가 일반인 평균 수준이었으면 저렇게 성공하기 힘들지 않겠어요? IQ는 선택할 수 없으니까 운이구요.
Quantumwk
25/08/05 15:29
수정 아이콘
그렇게 치면 모든 세상 만사가 다 운이긴 합니다. 어느나라에서 태어났는지, 어느정도의 재력을 가진 부모 밑에서 태어났는지, 형제와 대비해서도 지능이 어느정도인지... 다 운이 작용하죠.
소독용 에탄올
25/08/05 16:20
수정 아이콘
그래서 실제 운이 설명하는 부분이 압도적이죠.....
타르튀프
25/08/05 18:13
수정 아이콘
그렇게 따지면 세상에 운빨이 아닌 게 없으니 아무 노력도 안 해도 된다는 허무주의적 결론에 이를 뿐이고, 우리는 발전적 논의를 전혀 할 수 없습니다. 주어진 출발선이 다르다는 전제 하에, 자신의 위치에서 어떠한 노력을 할 것인가를 논하는 게 의미있는 것이지 남의 성공을 운빨과 유전자빨로 치부해버리면 대화 자체가 불가능하죠.
내일은주식왕
25/08/05 20: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는 조금 다르게 생각해요. 운빨요소는 우리가 인정해야 할 현실에 해당한다고 보구요, 당위성 이라는 흐린눈으로 덮어놓고 시작하는 것 또한 건강한 논의가 될지는 모르겠네요. 운빨요소를 인정하면서도 자신의 위치에서 어떤 노력을 할 지는 논할 수 있지 않을까요?
-----수정후 추가------
타르튀프님이 말씀하신 우려는 잘 알고 있습니다. 허무주의의 늪은 참 무섭죠. 저도 멘탈 안좋을 때 종종 빠지긴 합니다만... 하지만 제가 가려는 길이 무조건 늪에 빠지는 길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타르튀프
25/08/05 21:40
수정 아이콘
출발선이 다르다는 전제 하에서 어떠한 노력을 할 것인가 논하는 게 의미있다고 썼는데 제 댓글 어느 부분을 보시고 당위성이라는 흐린눈으로 덮어놓고 시작한다고 생각하신 건지 잘 모르겠네요.

주어진 출발선이 다르다고 남의 성공을 운빨과 IQ빨로 치부하는건 생산적인 논의가 되기 어렵다는 게 제 요지입니다. 그렇게 따지면 워런 버핏이든 오바마든 이순신이든 세종대왕이든 다 그냥 운빨 출생빨 IQ빨 유전자빨이라고 치부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도대체 그렇게 모든 걸 운빨로 치부하는게 도대체 사회적으로 건강한 논의에 무슨 도움이 되는지 잘 모르겠네요. 인정해야 할 현실에서 도망가지 않고 최선을 다해 자신의 위치에서 노력을 하는게 건강한 자세 아닌가요. 남의 성공을 모두 운빨로 치부하면 도대체 누가 노력을 할까요.
내일은주식왕
25/08/05 23: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운빨요소를 인정해도 그 상황에서 우리가 어떤 자세를 가져야 하는지에 대해 논할 수 있습니다. 운빨요소를 인정한다고 해서 그것이 곧 모든게 운빨이니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있는 사실을 인정하고 앞으로 나아가자는 것이 제 댓글의 요지입니다.
-추가-
댓글을 적고 보니 우리가 지금 비슷한 말을 하는 것 같기도 합니다.
[출발선이 다르다는 전제 하에서 어떠한 노력을 할 것인가 논하는 게 의미있다]는 말씀이 곧 제가 갖고 있는 생각과 일맥상통합니다.
출발선이 다르다는 것이 곧 운의 요소를 말하는거고요. 제가 운의 요소를 말한다고 해서 그게 곧 상대방을 까내리는 것이 되지는 않습니다. 출발선이 다르다는 것을 인정한다고 해서 꼭 자포자기 하게 되는 것은 아니고요. 오히려 그런 현실을 인식하고, 인정한 뒤에야
내가 이 판에서 어떤 목표를 갖고 있는지, 작은 목표로도 내가 여기서 행복할 수 있는지, 아니면 종목 자체를 바꿔서 도전해 볼 지 등등을 생각할 수 있겠죠. 나아가기 위한 발판으로서 운의 요소를 얘기한 것인데 남을 까내린다고 하니 반박을 한 것이고요.
타르튀프
25/08/06 11:07
수정 아이콘
그런 의견이시면 결국 서로 비슷한 생각을 갖고 있는 것 같습니다. 표현 방식의 차이였던 것 같네요.
실제상황입니다
25/08/06 07:54
수정 아이콘
운빨이라는 것을 따지기 시작하면, 오히려 어디까지 맑은 눈으로 보고 또 어디까지 흐린 눈으로 볼 것인가의 문제죠.
"운빨요소를 인정하면서도 자신의 위치에서 어떤 노력을 할 지는 논할 수 있지 않을까요?"라고 하셨는데
그걸 할 수 있을지 말지도 다 운빨입니다. 맑은 눈으로 보면 하나부터 열 끝까지 모든 게 문자 그대로 정말 죄다 운빨이죠.
실제상황입니다
25/08/06 07:51
수정 아이콘
그런데 그렇게 따지면 세상에 운빨 아닌 게 없긴 하죠. 얼마나 노력할 수 있느냐조차 유전 운빨 + 환경 운빨의 조합이니까요.
Dr. Boom
25/08/05 18:03
수정 아이콘
그냥 딱 본인 식견만큼 보이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전자수도승
25/08/05 18:16
수정 아이콘
시운이 맞아서 성공하는 사람들이 분명 무능력한 자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롤모델로 삼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이야기죠
한산도 대첩과 명량해전 중 전쟁에 더 큰 영향을 끼치고 더 뛰어난 교환비를 이뤄낸 것은 명량이지만 후대에게 유의미한 전술로 남은 것은 한산도 대첩이었죠
당장 이순신 본인조차 명량은 하늘의 도우심이라고 할 정도의 기적적인 승리였으니까
그런 면에서 머스크의 재주에는 의문이 없으나 그의 행동에는 후대가 보고 배울 점이 과히 많지 않아 보인다는 말입니다
타르튀프
25/08/05 21:43
수정 아이콘
그렇다면 사람들은 누구를 보고 배워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일론 머스크의 성공이 다른 성공한 사람들과 어떤 점에서 다르고, 그 다름이 어떻게 다른 사람들에게 교훈을 줄 수 있는지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지 잘 이해가 되지 않아서 여쭤봅니다.
전자수도승
25/08/05 21:51
수정 아이콘
지향점이 어디냐에 따라 다르겠죠
분명 현재를 "멘토의 부재" 라고 하는 분도 계시겠지만, 그 "샤아"조차도 반면교사로 써먹을 수 있습니다
타르튀프
25/08/06 10:54
수정 아이콘
예시를 들어서 설명해주시기 바랍니다. 저는 일론 머스크조차 교훈의 사례가 될 수 없다면 어떠한 경우에 우리가 배울 만한 사람인지 이해하고 싶습니다.
전자수도승
25/08/06 11:11
수정 아이콘
자신을 섬으로 삼고 자신을 귀의처로 삼아 머물고,
남을 귀의처로 삼지 말라.
법을 섬으로 삼고 법을 귀의처로 삼아 머물고,
다른 것을 귀의처로 삼지 말라.
(attadīpā viharatha attasaraṇā anaññasaraṇā, dhammadīpā dhammasaraṇā anaññasaraṇā).

_ 디가 니까야(Dīgha Nikāya), 『마하빠리닙바나 숫딴따』, 2. 26.

절대적인 진리나 정답이 존재한다고 믿으시면 그걸 찾으시고, 아니시라면 추구하는 바를 스스로 정하고 그쪽으로 걸어나가야죠
어느 쪽이건 '사무사(思無邪)' 혹은 '비린 것'을 유념하여 행동하시고
극기복례라는 단어를 타자로 치는건 쉽지만 그렇게 실천하기란 결코 쉽지 않으니까요
타르튀프
25/08/06 11:54
수정 아이콘
이건 완전 동문서답인데요?

댓글쓴이님은 처음에 일론 머스크가 "천운이 따른 사람"이라서 롤모델로 삼기 적절하지 않다고 주장하셨고, 저는 제 식견이 부족한가보다 싶어서, 그러면 천운이 따르지 않았음에도 성취를 이룬, 삶의 롤모델로 삼을 다른 훌륭한 사람이 누구인가 예시를 들어서 설명해달라고 한건데,

불교 경전 하나 복붙해오셔서 스스로 추구하는 바를 추구하라는, 논의의 맥락에 어울리지도 않는 소스 인용해오시면 뭐 어떻게 대화를 이어가야 할지 감도 안 오네요. 결국 본인도 그런 예시를 모르시니까 답을 회피하시는 것 같네요.
전자수도승
25/08/06 12:17
수정 아이콘
이미 위에도 말씀드렸지만 '본인이 추구하는 바'를 밝히지 않으면서 '롤모델로 삼을 사람'을 남에게 찾아달라 이야기 하면 저런 말로 답변해드릴 수밖에 없죠
닮고 싶은 사람이 슈바이처입니까? 그럼 슈바이처를 롤모델 삼으시면 됩니다
아니면 독립운동가 최준 같은 삶을 살고 싶으십니까? 최준을 롤모델 삼으시면 됩니다
문제는 주관식에 정답이 하나가 아닌데 질문이 두루뭉술하면 당연히 답변도 그렇게 나옵니다

올바른 질문이 올바른 답변을 이끕니다
타르튀프
25/08/06 14: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전자수도승 님// 그러면 처음에 강력하게 롤모델로서의 가치를 부정하셨던 예가 일론 머스크였으니, 머스크와는 상반되게 롤모델로 삼을 수 있는 기업 경영자의 예시를 들어주시면 어떨까요? 다만 일론 머스크는 운빨로 인해 롤모델 탈락이니 운빨을 받지 않은 훌륭한 경영자의 예시가 좋겠네요.

근데 제 질문이 두루뭉술했나요? 처음부터 댓글쓰신 내용이 일론 머스크가 운빨이어서 롤모델이 될 수 없다는 건데 갑자기 독립운동가와 슈바이처는 왜 나오는지 모르겠네요.

이 정도 설명드렸음에도 예시가 나오지 않는다면, 처음부터 다른 예시를 알지 못함에도 일론 머스크를 별 근거 없이 운빨로 치부하신 거라고 생각하고 넘어가겠습니다.
전자수도승
25/08/06 16:45
수정 아이콘
타르튀프 님// 원하는 CEO 상이 뭔지도 제시해주셔야겠죠? 창업군주형입니까 빌드업형입니까 만개형입니까?
징기스칸이나 태조, 태종, 세종 스타일이 다 다른건 아시죠?
위기 극복형인 현종이나 밑바닥에서 기어올라온 소금장수 을불도 있군요?
너무 과거 인물이 싫으시다구요? 한국형 노블리스 오블리제 최씨집안의 독립운동가 최준, 마찬가지로 독립운동가이면서 한국에서 가장 모범적인 기업 경영을 했던 유한양행의 유일한 박사님은 어때요?

본인이 쓰신 댓글을 보시죠
원하는 바가 뭔지 써져있습니까? 그저 롤모델을 제시해달라고만 하다가 재차 되물으니 그나마 나온 말이 경영자였죠?
그리고 행운이 "배제된" 영웅은 없습니다
영웅의 탄생은 재능과 시간, 장소가 함께 맞물려가면서 만들어지는 겁니다
그 와중에도 각각의 비율이 어떻게 되는가, 그 성공이 어떤 성공이었나, 얼마나 오래 갔는가, 후대에 무엇을 남겼는가 등을 따져봐야 하죠

일반 상대성 이론은 특수 상대성 이론보다 어렵습니다
규율하는 범주의 범위가 넓어질수록 정의는 추상적으로 변하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의 롤모델"을 찾는다면서 그 상이 무엇인지 어느 하나 구체적이지 않은 조건을 말하는데 도대체 무슨 말을 어떻게 해야 만족하시겠습니까?
어린 왕자에 나오는 만능 박스가 필요하십니까?
타르튀프
25/08/07 13: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전자수도승 님// 이제는 궤변을 시작하시네요. 본인이 일론머스크는 운빨이라서 모델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하셨으면 모델이 될 수 있는 다른 대안을 제시해야 원 주장의 설득력이 생기는건데, 자꾸 저한테 제가 충분히 방향성을 제시하지 않았다고 하면서 논지를 흐리시네요. 이 글의 제목부터가 일론 머스크에게서 배우는 교훈인데 자꾸 조선시대 사람들이나 독립운동가는 왜 들먹이는지 모르겠습니다. '현대사회의 경영자 중 롤모델이 될 수 있는 사람'의 예시를 제시해달라는게 그렇게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인가요?

유한양행의 유일한 박사님이요? 독립운동 활동은 존경받아야 하고 인격 훌륭한 분입니다만, 그 분이 경영자의 관점에서 일론머스크보다 더 배울 점이 많다고 볼 근거가 뭔가요? 유한양행은 세계 레벨에서는 듣보기업인데 반해 일론은 테슬라와 스페이스 X만 놓고 봐도 경영학의 역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비교도 안 될 만큼 높은 사람인데요. 저도 일론 머스크의 막말과 정치적 행위는 싫어합니다. 하지만 기업 경영 관점에서는 충분히 배울 게 많은 사람입니다. 일론 머스크에 관한 월터 아이작슨의 전기는 읽어보고 폄하하시는건가요?

[행운이 배제된 영웅은 없습니다][일론 머스크는 운빨이다]가 모순되는 건 아시죠?

더 이상의 댓글은 달지 않겠습니다. 뭔가 배울 만한 구석이 있는 분인 줄 알았는데 모순과 궤변만 펼치시는 모습 잘 보았습니다.
25/08/05 13:58
수정 아이콘
100시간 일하는 게 어떤 느낌일지 궁금합니다
하드워크 100시간은 아닐거같은데요
약도 먹어야 하는데 시간이 되나??
한화우승조국통일
25/08/05 14:01
수정 아이콘
일론 머스크 자체는 배울 점도 많은 사람이라고 생각하지만 일론 머스크를 롤모델로 삼는 사람들은 대개 배울 게 없더군요.
라방백
25/08/05 14:26
수정 아이콘
운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데 운에만 의지한 사람은 전혀 아니 었을겁니다. 원래 페이팔로 성공한 사업가이고 페이팔 마피아라는 말을 들을 정도의 IT 이공계 산업체 인맥이 가진 힘을 이용한 것이죠. 미국 온라인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음모론중에 하나가 페이팔 마피아들이 자기들 사업 범주를 넓히기 위해 트럼프를 선택했다인데 정말 음모론일지는 모르는 이야기구요. 여담으로 미국쪽 하드워커 CEO들은 정말 밤낮없이 일하는것 같긴합니다.... 미국 시간으로 새벽 3시에 이메일을 보냈는데 2시간 후에 답장이 와있는걸 보고 벙찐 기억이 있습니다.
無欲則剛
25/08/05 14:36
수정 아이콘
거래처중 미국 벤처기업이 있는데 CEO하고 회식하다가 호비가 뭔가 물었더니 일이라고 하더군요.....상당히 진지한 얼굴로....
Quantumwk
25/08/05 14:58
수정 아이콘
(수정됨) 모든 사업은 운 없으면 성공 못하지만 (이병철 회장이 실패한 관리자 짜르려고 했는데 주위에서 '저 친구 운이 없을 뿐입니다. 실력은 있습니다.'라고 했더니 '운없는 놈이 제일 최악이야'라면서 짤랐다는 일화를 들은적 있음.) 그 운을 받아먹고 그걸 바탕으로 사업 성공시키고 유지하는 거 자체가 실력이고 아무나 못하는 겁니다.
25/08/05 14:36
수정 아이콘
이러니저러니해도 정말 대단한 사람이죠.
스페이스X나 스타링크같은건 정말로 지구단위로 대단한 영향력을 발휘하기도 했고요.
25/08/05 14:40
수정 아이콘
1번은 한국에서 다 적용하기엔 무리지 않을까요 크크
부자들은 여러번 시도해서 한번 성공하면 칭송 받지만 없는 사람들은 한번 실패하고 망하면 골로간다고..
이민들레
25/08/05 15:15
수정 아이콘
투자자 모아서 법인설립해서 사업하고 망하면 법인만 폐업하면..
flowater
25/08/05 15:11
수정 아이콘
4번은 본인이 할말은 아닌것 같은데.....
하이퍼나이프
25/08/05 15:20
수정 아이콘
다른사람의 성공을 단지 운빨취급한다면 괜히 티격태격 싸우지 말고 깔아주는데 감사하면서 조용히 지나가면 됩니다.
업앤다운타운
25/08/05 15:34
수정 아이콘
2번은 딱히 테슬라 CEO가 아니더라도 보통 어디든 인성 면접보면 거의 항상 단골로 물어보는 질문 아닌가요? 인생에 힘들었던 경험과 그걸 극복해낸 과정에 대해 말씀해보세요- 라는 패턴으로.
일반적인 모법답안은 팀 프로젝트 같은거 진행하다가 나는 너무너무 잘하고 열심히 하는데 너무 열의가 넘쳐서 놓쳤던 부분이 있어가지고 이래저래 보완하겠다 등등으로 답변하는 되게 진부한 질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가끔 진짜 본인의 힘들었던 인생역경이 떠올라서 그거 얘기하느라 눈물 콧물 다 짜버려서 탈락하는 경우도 이따금씩 보긴 합니다만..
제노스브리드
25/08/05 15:36
수정 아이콘
누가 말한지 모르고 봤다면 : 오 그래 그럴듯 한데?
저자를 알고 보니 : 그런 놈이 하는 게 저래?

역시 메시지도 중요하지만 메신저도 중요하다는 말을 다시금 느끼고 갑니다.
25/08/05 15:42
수정 아이콘
4번에서 절레..
이민들레
25/08/05 15:45
수정 아이콘
너무 뻔한 말들이네요.
국수말은나라
25/08/05 15:54
수정 아이콘
일론머스크는 존중하지만 추종자가 깜도 안되면서 따라하는건 반대합니다
자루스
25/08/05 16:11
수정 아이콘
뭐 성공한 사람들은 다 이유가 있는거니까요.
1,2번인 뭐 거의 진리다 싶습니다.
CanadaGoose
25/08/05 16:14
수정 아이콘
일론 머스크 개인은 별로라고 생각하지만,
이 6가지는 제가 추구하는 삶의 모습과 많이 일치합니다.
FlutterUser
25/08/05 17:26
수정 아이콘
스타트업 주 100시간정도 하는사람이 주변에 몇 있는데, 본인사업을 하면 그게 되죠. 물론 중간중간 업무강도는 적절히 조정하는것 같고요.
손꾸랔
25/08/05 17:41
수정 아이콘
하루 14시간씩 7일이면 주98시간인데... 머스크 같은 셀럽 ceo면 먹고자고싸는 외의 모든 활동이 다 일이라고 쳐줘서 주 100시간 가능하겠죠.
차라리꽉눌러붙을
25/08/05 18:08
수정 아이콘
저는 인생을 일론처럼 살면 행복한 스타일이 아니라서..ㅠ
번개맞은씨앗
25/08/05 18:14
수정 아이콘
First Principle : 이는 공리계적 사고를 가리킨다고 봅니다. 당연함은 공리라 할 수 있겠죠. 상식이나 관습은 First Principle 이라 할 수 없겠고요.

‘무엇이 공리인지 찾고 그것으로부터 나아간다. 공리로부터 지지되는게 아닌한 모두 의심한다.’
Quantumwk
25/08/06 13:08
수정 아이콘
머스크가 물리학 법칙을 공리로 삼고 이런방식으로 사고 전개하는 스타일입니다.
사이먼도미닉
25/08/05 18:19
수정 아이콘
인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천 마디 말보다 한 번의 행동이 더 중요합니다. 말은 얼마든지 꾸밀 수 있지만, 행동은 정직하거든요.

머스크의 기행은 제가 그다지 닮고 싶지 않은 인간상의 전형입니다.
No.99 AaronJudge
25/08/05 21:00
수정 아이콘
머스크는……참….특이한 사람이에요
임전즉퇴
25/08/05 21:03
수정 아이콘
정리해보는 것도 좋은 일이죠.
이미 고전적인 교훈들인데 다만 지금 가장 잘나보이는 인물의 개성을 첨가해서 시대에 맞게 음미하는 것입니다. 전임자는 스티브 잡스였죠 아마. 머스크는 좀 독특한 맛이긴 합니다.
1번.. 어렵죠. 흙수저라도 실패하면 마음이 아파서 그렇지 꼭 한번에 훅 가는 건 아닌데, 뭐가 잘못이니까 뭘 고치면 되겠다 알아차리는 게 진짜 어렵긴 합니다. 한 발만 날리고 영점 딱 맞추면 명사수죠.
안군시대
25/08/05 21:42
수정 아이콘
그냥 자기계발서에 나올만한 내용들이긴 합니다. 말이야 쉽죠. 자기가 한 말들 조차 제대로 지키지 못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습니까?
25/08/06 09:30
수정 아이콘
1번 생각의 실천은 삶의 자세에서 중요한 요소인듯 합니다
25/08/06 10:37
수정 아이콘
저도 제가 대표인 스타트업 창업한다면 주 100시간은 우스울것 같네요. 일은 끝이 없습니다 원래.
Quantumwk
25/08/06 12:54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한국이 '노오력'에 대한 숭배가 좀 심한데(국가측면에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크긴하지만) 솔직히 자기사업하는 사람중에 100시간 일하는 사람은 흔합니다. 실패한 사람들도 100시간씩 일하는 경우는 수두룩....

머스크 성공의 핵심은 위에 언급했듯이 기술분야에서의 통찰력 (단순히 기술적인 지식이 많다 적다의 얘기가 아닙니다. 기술지식 많은 엔지니어가 오히려 편협하고 통찰력 없는경우도 흔함)+사업감각+엄청난 추진력이고 이걸 다 갖춘경우가 거의 없기때문에 돋보이는거죠. 말이 쉽지 따라한다고 될게 아닙니다.

물리+공학+경영을 다 어우를줄 알아야함

많이 비교되는 잡스는 인문+공학+경영인데 기술적인 통찰력보다는 인문,경영적인 통찰력이 더 있었다보구요. 워즈니악 아니었으면 애플 시작도 못했을테니깐요.


공학+경영 두개갖춘 경우는 생각보다 꽤있는데(잡스 후계자인 SCM의 달인 팀쿡이라던가 미국테크기업 CEO 대다수) 잡스랑 머스크를 특별하게 만들어줬던것 각각 인문,물리에서 비롯한 독특한 통찰이라봅니다. 학문적인 관점이 아니라 사업적인 관점에서...

머스크가 주장하던 방향 중에 업계 엔지니어한테 욕먹거나 비웃음당하던게 많았는데 결국 머스크의 방향이 맞는 경우가 많았음.
Far Niente
25/08/06 14:50
수정 아이콘
머스크뽕은 이제 트럼프뽕이랑 크게 다르게 보이지 않습니다.
모링가
25/08/06 15:19
수정 아이콘
굳이 롤 모델 한명 잡고 100% 따라하기 해야 하나요.
그냥 잘한 점 있으면 이 사람한테 조금 참고하고, 저 사람한테도 조금 참고하고, 그러면서 나아가는 것일 뿐이죠.
타인의 못난 점으로 타산지석 삼는건 적당히 하는 게 좋습니다. 남에게서 찾지 않아도 자신의 내면에 넘쳐나는게 못난 점이니 말입니다.
신천지는누구꺼
25/08/06 15:52
수정 아이콘
의미없습니다

월급쟁이 인생들이 99.9%라..

그런점에서 그런 인생들이랑 같은 1표인 정치에 발 담군건 하 중 하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682 [일반] 일론 머스크가 얘기하는 6가지 [64] Categorization8098 25/08/05 8098 4
104681 [일반] 경주월드 롤러코스터 체험 후기 [27] Purple7224 25/08/05 7224 8
104680 [정치] 주식시장 세제 개편에 대한 실망감 [110] 양현종11091 25/08/04 11091 0
104679 [정치] 대통령에게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이라고 비난 받은 포스코이앤씨 시공현장에서 또 사고가... [146] 매번같은12330 25/08/04 12330 0
104678 [일반] 중진국 함정 탈출의 어려움, 자체 자동차 브랜드 실패 사례를 중심으로 [62] 깃털달린뱀8062 25/08/04 8062 29
104677 [정치] 자본주의 책을 읽고 든 생각 [17] 네?!4530 25/08/04 4530 0
104676 [일반] 자본주의에 대하여 [9] 번개맞은씨앗3700 25/08/04 3700 1
104675 [일반] [강력스포] 좀비딸과 예수님 [4] 부대찌개3217 25/08/04 3217 1
104674 [일반] [노스포] 좀비딸 감상평 - 아빠라면 당연히 그렇게 한다 [27] 헤세드6003 25/08/03 6003 4
104673 [일반] 흥행 실패로 가고 있는 전지적 독자 시점 + 감상평 + 잡설 [86] 불쌍한오빠11508 25/08/03 11508 1
104672 [일반] 언어의 자유 [10] 번개맞은씨앗3900 25/08/03 3900 1
104671 [일반] 20년전 조롱받던 한국드라마 같아진 한국영화 [92] 깐부14000 25/08/03 14000 8
104670 [일반] 머스크 vs 이재용, 시가총액 1000조 원 차이의 이면 [10] 스폰지뚱7885 25/08/03 7885 12
104669 [일반] [팝송] 케샤 새 앨범 "." 김치찌개2674 25/08/03 2674 1
104668 [일반] 『편안함의 습격』- 절대반지의 운반자는 왜 호빗이어야 했는가 [18] Kaestro3962 25/08/02 3962 17
104667 [일반] 원화 스테이블 코인은 무슨 의미가 있을까? [32] 깃털달린뱀5815 25/08/02 5815 1
104666 [일반] 선발 vs 계투 [7] 無欲則剛3383 25/08/02 3383 8
104665 [정치] 현재의 보수 지지층의 분류에 관해 [24] 두개의 나선5721 25/08/02 5721 0
104664 [일반] 최근 구입하고 만족스러웠던 물건들 [9] visco5301 25/08/02 5301 1
104662 [정치] 윤석열 이후, 보수 유권자는 어떻게 나뉘었나 [99] 딕시9500 25/08/02 9500 0
104661 [일반] 음악도 AI한테 정복? 지브리 그림 수준이 되버린 작곡 [32] Quantumwk5706 25/08/02 5706 0
104660 [일반] 한국 관세 협정 주요외신 평가 [43] 어강됴리7539 25/08/02 7539 5
104659 [정치] 트럼프의 총질 잘 넘겼다 싶어 집에 들어오자마자.. [110] 방구차야8997 25/08/02 899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