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7/04 00:57:46
Name 깃털달린뱀
File #1 2025011011225391.jpg (82.9 KB), Download : 822
File #2 papago_1751549503821.jpg (72.2 KB), Download : 820
Subject [일반] 현대 기아는 중국 시장에서 부활할 수 있을까?





저는 자동차 알못이지만 자동차 산업은 좋아합니다. 재밌거든요. 특히 요즘 관심 가는 분야는 중국 자동차 시장입니다. 요즘 부진하다지만 여전히 세계 자동차 판매의 1/3을 차지하는 큰 시장이고, 전기차를 앞세워 수백개의 회사가 난립하는 춘추전국시대이기 때문에 역동성이 장난아닙니다. 그래서 관련해서 찾아본 내용 몇 가지 얘기를 나눠보려합니다. 저도 잘 아는 건 아니니 가볍게 봐주시면 됩니다.

아시다시피 현기차는 중국에서 잘 나가다가 한한령 이후로 폭삭 주저앉고 회생을 못하고 있습니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중국에선 이제와서 현기차를 살 이유가 없다는 게 큰 것 같습니다.

중국 자동차 시장은 아시다시피 전기차 위주로 변했고, 자국내 업체의 수준 또한 많이 올라왔습니다. 그래서 여기에 대응하지 못한 해외 브랜드들이 다 고초를 겪고 있죠. 한때 중국 자동차 시장을 호령하던 폭스바겐조차 빌빌거리고 있으니까요.

현기차는 이런 상황에서 좀 끼인 상태입니다. 원래부터 가성비 포지션이었으니까요. 이제는 가격에선 중국산 차에 밀리고, 브랜드에선 다른 해외 브랜드에 밀립니다. 전기차 라인업이 부실한 것도 문제지요.

물론 노력은 하고 있습니다. 기아에선 작년에 중국을 겨냥한 EV5를 출시했고 현대도 올해 일렉시오를 출시할 예정입니다. 가격은 둘 다 2600~2700만원 정도.

문제는 이조차도 경쟁력이 확실한지 의문이란 겁니다. 예를 들면 도요타의 bZ3X는 대략 2100만원부터 시작하고 폭스바겐의 ID.4도 2500만원부터 시작합니다. 물론 도요타는 합작사인 GAC의 아이온 V의 택갈이 모델이라 가격을 낮춘 거고, ID.4도 합작, 현지생산 등을 통해 가격을 낮춘 케이스입니다. 닛산 N7도 둥펑의 택갈이 모델인데 2200만원부터 시작합니다.

외산 브랜드만봐도 이런데 중국 현지 브랜드 전기차는 더 싸겠죠. 특히 지금처럼 출혈경쟁 하는 상황에선.

실제로 해외 브랜드 말고 BYD도 비슷한 차급에서 위안 플러스(수출명 아토3)가 1700~1800만원 정도 하고 월 평균 2만대가 팔립니다.

그래서인지 EV5의 판매량은 그렇게 좋지는 않습니다. 자료 찾아보면 대략 월 천 대 정도 팔리는듯합니다. 앞서 언급한 bZ3X나 ID.4가 월 4천대 쯤 팔리는 걸 보면 적은 양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폭스바겐이나 토요타보다 브랜드 인지도가 떨어지는 현대기아가 그보다 비싼 가격에 잘 팔 수 있을지 우려스럽습니다.

일렉시오가 런칭한다 하더라도 과연 유의미한 성과를 낼 수 있을지에 대해선 저는 좀 회의적입니다. 물론 잘 됐으면 좋겠습니다만...


결국 현기차도 중국에서 부활하기 위해선 가격을 낮춰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 방법은 도요타가 잘 보여줬다고 생각합니다. 택갈이죠. 택갈이까진 아니더라도 다른 브랜드들도 중국 내수를 위해 중국 내 협력을 강화한다는 걸 고려하면 어찌됐든 지금보다 더 많은 주도권을 넘겨줘야만 할듯 싶습니다.

다만 이도 쉽지는 않습니다. 도요타와 합작한 광저우자동차 그룹(GAC)은 중국 내에서도 꽤 큰 기업이고, 산하 전기차 브랜드인 아이온도 꽤 잘 팔리는 브랜드입니다. 그래서 택갈이로 잘 써먹을 수 있었을 거고요.

그런데 현대와 협업하는 베이징자동차(BAIC)는 GAC에 여러모로 미치지 못합니다. 특히 전기차 쪽은요. 전기차 전용 브랜드가 있긴 하지만 점유율이 꽤 낮습니다. 그런 면에서 택갈이 하기도 불리하다고 생각합니다.

기아는 뭐 말할 것도 없고요. 둥펑은 손 털고 나갔고 위에다란 현지 업체와 합작 중인데 전 아직도 위에다가 뭐하는 곳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이 난관을 현기차가 어떻게 뚫고 나갈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아무쪼록 잘 됐으면 좋겠기도 합니다. 중국 자동차 시장을 버리기엔 너무 큰 시장이라...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류 지적이나 반박은 환영합니다. 오히려 잘 아시는 분들과 더 많은 대화를 나누고 더 배우기 위해서 쓴 글이니까요.

참고문헌
https://autonews.gasgoo.com/mobile-sales/article/75774.html
https://m.163.com/dy/article/JL0K708I0541B741.html?spss=adap_pc
https://cnevpost.com/2025/01/10/automakers-share-china-nev-market-2024/
https://autonews.gasgoo.com/mobile-sales/cxxl/2024/12/2291
https://electrek.co/2025/06/13/toyotas-15k-electric-suv-best-selling-foreign-ev-china/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덴드로븀
25/07/04 01:21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437730?sid=101
["1%만 먹어도 韓판매량 근접" 현대차, 무너진 中시장 재공략] 2025.04.30.
현기차 중국 실적
~2016년 : 114만대 판매, 시장 점유율 4~5% 수준
2017년 : 78.5만대 판매, 사드 사태 후 한한령으로 판매량 급감
2024년 : 20.5만대 판매, 중국 시장 점유율 0.65%

<현대+기아 전세계 판매량>
2015년 : 약 800만대
2023년 : 약 730만대
2024년 : 약 723만대

<현대차 실적>
2015년 : 매출 92조 / 영업이익 6.3조
2022년 : 매출 142조 / 영업이익 9.8조
2023년 : 매출 162조 / 영업이익 15.1조
2024년 : 매출 175조 / 영업이익 14.2조

현기차가 현시점에서 진심을 다해 중국에서 부활할 이유는 없긴 합니다.
그냥 중국에서 완전 철수할만큼 회사가 힘든것도 아니니 으쌰으쌰 해보겠다 정도로 해석하면 되긴 하죠.

대기업 걱정은 뭐다?...
깃털달린뱀
25/07/04 01:23
수정 아이콘
구체적인 수치 감사합니다. 찾아 올리려다 귀찮아서 말았는데 크크크
현대차가 중국 빼고도 잘 나가는 건 맞지만 그래도 중국에서도 잘 됐으면 좋겠습니다. 포기하긴 너무 아까운 시장이니까요.
쓸데없는 걱정은 아닙니다. 제가 주주거든요 크크크크. 아 중국도 먹고 판매량 매출 떡상하라고!!!
無欲則剛
25/07/04 08:54
수정 아이콘
현대 이대로는 위기 뭐 이런 얘기는 당연히 아니지만 그렇다고 전기차에서 선전하고 있냐하면 그게 아니고 그 중 가장 크고 가장 다이나믹한 시장에서 존재감이 전무하다는건 이익창출이 안되는것도 있겠지만 당장 눈에 보이는 이익외의 다른것들고 얻지 못하고 있다는거라 만사태평은 절대 아니라고 봅니다.
25/07/04 03:45
수정 아이콘
사드 그 때 설치 안 했으면 중국사람들은 좋아했을텐데 어차피 미국 국민들이야 싼 거 잘 쓰니까 또 러시아도 보니까 스물스물 다시 기어들어가서 장사하는 애들은 하고 있더군요. 러시아나 중국, 인도 이런 애들은 국뽕에 민감하고 서양은 안 그러니까 그냥 그런 나라들 적당히 비위 잘 맞춰서 돈 벌었으면 좋았을 것 같은데 아쉽네요
에이치블루
25/07/04 07:02
수정 아이콘
택갈이는 좋은 전략일까요?

과거에도 어차피 현기차는 중국 현지 모델이 따로 있었죠.

현대 로고를 남의 차에 달아주는건 브랜드 이미지 문제나 품질 문제를 생각해야 해서,
전통적으로 인하우스를 선호하는 한국/일본에서는 익숙한 전략은 아니고요.

솔직히 도요타의 택갈이 전략이 도요타에게 실익이 있는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도요타는 브랜드 달아주고 어느 정도 이익이 발생할까요...
그런 부분을 수치로 봐야 택갈이가 가능하지 않을까 합니다.
깃털달린뱀
25/07/04 08: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사실 도요타와 현기는 상황이 다르긴 합니다. 브랜드 이미지부터 중국 내 기반, 전기차 제조, 설계 능력 등.
그래도 현기 입장에선 뭐라도 해야하긴 합니다. 베이징현대 공장 가동률이 20%대밖에 안 돼서 공장 폐쇄 얘기까지 나오는 마당이라 수익 이전에 어떻게든 생산량을 늘려서 고정비 지출을 커버해야 하거든요.
꼭 택갈이가 아니더라도 상관은 없는데 제 좁은 시야로는 그 이상은 잘 모르겠더라고요. 현지 연구, 제조야 딴데도 다 하는 거라 특별히 더 비용 낮추긴 어려울 거고... 아니면 택시 모델 중국 생산이나 EV5처럼 해외수출 기지로 써먹을지도 모르겠네요. 현기가 어떤 전략을 세우고 있는지, 또는 할 수 있을지 알고싶네요. 아무쪼록 잘됐으면 좋겠습니다.
無欲則剛
25/07/04 08:57
수정 아이콘
본사에서 개발한 차종을 중국에 투입하자니 본사가 아직 능력이 부족하고 아무것도 안 하자니 전기차가 1/3인 중국에서 나가겠다는게 되는거고(미쓰비시처럼), 할수 있는건 당연히 현지합작사의 힘을 빌리는거죠. 택갈이라고 해도 그냥 똑 같은차에 딱지만 새로 붙이는게 아니고 어느정도의 개발 개선을 있을것이니 도요타입장에서도 경험 축적할 기회이기도 하구요. 실익이 얼마냐는 계산하기 나름이겠지만 그렇다고 손해는 절대 아닐거라고 봅니다.
+ 25/07/04 10:55
수정 아이콘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물론, 중국시장의 중요성을 감안한 궁여지책이겠지만 전세계 판매순위 1,2 위를 지키고 싶은 마음도 영향이 있는듯 합니다. 폭스바겐 만 하더라도 중국 판매량이 계속 내려가서 300만대선도 깨졌는데 조금만 더 내려가면 현기차와 순위가 바뀝니다.
25/07/04 07: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우리나라만 해도 외제차가 독일차랑 테슬라 정도 제외하고는 고전을 면치 못하는데, 우리보다 더한 제조업 강국인 중국도 비슷하게 될 거 같아요
바람돌돌이
25/07/04 08:14
수정 아이콘
중국업체에게 현대차기아가 줄게 없습니다. 중국에서 차를 싸게 하려면, 설계, 소싱, 제조, 판매 까지 중국업체와 중국인이 해야 합니다. 한국이 어느 한 과정에 들어가는 순간 비용이 증가합니다. 비용이 증가하더라도 한국 기술이나 제품을 써야할게 잆으면 중국은 별 거부감없이 하는데, 그럴게 없어요. 자율주행도 중국이 더 잘하죠. 그렇다고 현대차기아가 잘하는 차체쪽 기술은 공개하면 털리죠. 그러니 줄게 없고 받을게 없죠.
깃털달린뱀
25/07/04 08:41
수정 아이콘
중국 내 브랜드 이미지가 애매한 게 큰 것 같습니다. 도요타가 택갈이가 가능한 건 그만큼 중국 내에서 입지가 아직까진 나쁘지 않기 때문 아닐지. 신차 50%가 전기차라도 반대로 말하면 나머지 절반은 내연기관이고, 거기선 여전히 도요타가 잘하고 있으니까요. 그런 의미에서 전기차 라인업 구비가 필요한 도요타의 니즈와 공장 가동률 높여야하는 중국업체의 니즈가 잘 맞아서 된 게 아닌가 싶네요.
無欲則剛
25/07/04 09:06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렇죠. 중국에서 도요타는 가장 신뢰성이 높고 품질이 안정적인 브랜드로 인식되고 있고(실제로도 그렇기도 하고) 또한 하이브리드에서는 1인자 포지션이 있으니까요. 현대는 저가차종을 택시용으로 풀면서 일단 물량을 잡고보자라고 하는 시점에 밀려났으니 브랜드 이미지 구축이 딱 거기서 멈춰버린거죠.
25/07/04 08:44
수정 아이콘
돌고돌아 그때 사드로 박살나서 선제적인 구조조정한게 지금 현대차기아의 힘이되었죠. 낮은 생산원가 믿고 저렴한차 파는 컨셉으로 계속갔으면 지금 위치에는 못있었을것 같습니다. 가끔 유렵이나 중동 국가중에서 차량 판매순위에 현대차그룹이 1,2위인 지역보면 참 대단하고 신기하긴 합니다.

아무튼 중국에서 차량 더 팔기는 쉽지않을거같고 테스트베드랑 수출전용기지 역할에 더 집중할거같습니다.
덴드로븀
25/07/04 09:05
수정 아이콘
이게 맞다고 봅니다.

원래 2010년 중반부터 고급화에 대한 고민이 많았었지만 이미 많이 팔며 잘벌고있다보니 엄청 급할건 없었죠.

그런데 한한령으로 중국 점유율 급락하는거 보고 정신 제대로 차리고 지금의 상승세를 잘 준비한거라고 보고있습니다.
25/07/04 08:46
수정 아이콘
딱 한국에서 일본차 포지션이죠. 각각 한한령과 노재팬 운동으로 망길을 갔다는 것도 비슷하네요.
다만 차이가 있다면 한국에서 일본차 점유율은 10%를 유지해도 아쉬운 성적인데 중국 시장에서는 1%만 먹어도 매력적인 시장이라는 거죠.
사실 중국과 외교적인 문제가 크지 정치적인 문제만 어느정도 풀린다면 한자리수 점유율은 노려볼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성야무인
25/07/04 09:55
수정 아이콘
아마 단기적으로 한한령이 풀리면 매출회복은 가는하겠지만

한중일 중 가장 체면을 중시하는 중국 사람이

현기차를 고급라인업으로 구입하지는 않을겁니다.

BWM나 벤츠를 사면 샀지

저가 라인업의 경우 자국산으로 살꺼구요.

이건 단순히 중국시장의 중국인을 보는게 아니라

미국에 살고 있는 돈좀있는 중국사람들이 어떤차를

몰고 다니는지 보면 정말 극명합니다.
+ 25/07/04 10:33
수정 아이콘
안방 한국에서도 전기차쪽은 테슬라에 밀려 죽쓰고 있는데 중국에선 오죽할까요
중국시장 답이 없습니다. 현재는
그나마 ev5가 기존대비 소폭 반등한 결과라곤 하는데 딱 그정도겠죠
NoGainNoPain
+ 25/07/04 10:46
수정 아이콘
25년 1분기에 테슬라가 국내에서 4,818대를 팔았는데 동일 기간동안 기아 EV3 판매량만 따져도 5,065대입니다.
한국에서도 전기차쪽은 테슬라에 밀려 죽쓰고 있다고 하기엔 무리가 있죠.
+ 25/07/04 10:51
수정 아이콘
테슬라 판매량의 80%가 모델y고
5월 6월 모델y > 현기전기차 전체입니다
5월 출시된 주니퍼를 빼고라도 현기 전기차 1등 ev3가 월 2천대도 못팔고 있고, 또다른 볼륨모델 ev4는 신차효과조차 없는상태입니다.
NoGainNoPain
+ 25/07/04 10:55
수정 아이콘
25년 1분기 모3 판매가 2453대, 모Y가 2229대입니다.
출시시점 전후의 단기간 분석을 하면 결과가 잘못 나올수 밖에 없죠. 당연 신차는 출시시점에 판매가 몰릴 테니까요.
그리고 한참 전에 나온 아이오닉5가 25년 1분기 판매량이 2539대입니다. 모3하고 모Y 판매량 둘 다를 앞서버렸죠.
+ 25/07/04 11:09
수정 아이콘
그럼 2분기도 보시면 되겠네요.
연간으로 보던가 해야지 모y 판매공백이었던 25년 1분기만 보고 현기 정신승리 해버리면..
그리고 모든 인프라가 집중되어있는 한국에서 이정도면 위기 아닌지요..?
그리고 신차빨이라 하시는데 현기 어떤 전기차가 신차효과로 월 6천대 넘게 판매됩니까?
오해하실거 같아 말씀드리면 전 ev6와 모델3 운용중입니다.
한방에발할라
+ 25/07/04 11:34
수정 아이콘
양쪽 다 인프라가 집중되어 있지 않은 유럽으로 보면 현대 기아는 저번달 전기차 1.6만대 팔렸고 테슬라는 1.3만대 팔렸습니다. 유럽에서 반 일론 기류 때문에 테슬라 판매량이 내려오긴 했는데 국내 커뮤에서 일방적으로 내려치기하는 거랑 다르게 현기 전기차 평가는 외국에서 나쁘지 않은 편입니다. 국내에서 오히려 유독 중국차를 올려치면서 자국 브랜드 깎아내리는 여론이 쎄죠
NoGainNoPain
+ 25/07/04 11:43
수정 아이콘
25년은 2분기 통계가 안나왔으니까 25년도에 가장 긴 기간 통계인 1분기 통계를 가지고 온 거죠.
그보다 더 긴 통계가 있다면 그걸로 이야기해도 됩니다. 근데 아직 그런게 없으니까 그렇죠.
판매공백이 있으니까 비교하기가 불공평하다면, 신차 판매직후의 짧은 기간동안을 가지고 이야기하는 것도 불공평한건 마찬가집니다.
해외 분위기 보니까 주니퍼 출시에도 테슬라 실적이 그리 좋지 않던데, 장기간 통계를 가지고 와도 테슬라에게 그렇게 좋은 결과가 나오진 않을 것 같습니다.
티오 플라토
+ 25/07/04 10:56
수정 아이콘
현기차 타고있지만.. 테슬라 오토파일럿이 발전할수록 현기차 메리트는 급감할것같습니다.
현기가 지금 신차 만들고 있을 때가 아닌 것 같아요. 자율주행에 진짜 올인해야하는데...
하기야 데이터도 부족하고 GPU도 부족한데 애초부터 답이 없나 싶기도 하네요 ㅠㅠ
국수말은나라
+ 25/07/04 10:41
수정 아이콘
현기차는 오히려 중고시장으로 서남아시아나 아프리카 인도시장 노리는게 더 이득 같아보입니다

중고로 평판올리고 제고 떨고 이미지 업해서 신차 시장도 넓혀야지요

솔직히 중국시장에서 과연 현기차 경쟁력이 있을지...이미 중국은 전기차 대세이고 인프라도 우리나라를 넘어선지 오래입니다 고급차는 떨어져도 저가나 대중화는 성공했습니다
전기차는 내연기관이나 기자재 기술보단 베터리만 있음 진입가능한 벤처시장이니까요

특히 대표적 모델이 샤오미 전기차죠 우리로 치면 엘지전자 전기차 같은 느낌?
無欲則剛
+ 25/07/04 10:47
수정 아이콘
고급차도 사실 중국쪽이 더 강력하다고 봐요.
한방에발할라
+ 25/07/04 11:37
수정 아이콘
고급차도 중국차는 그냥 내수용이지 해외에 수출조차 못해서 하나도 검증 안된 상태인데 더 강력하다고 하는 게 어불성설이죠. byd는 그나마 낫다고 할 수 있는 게 얘네는 최소한 유럽에 수출해서 안전평가 검증이라도 됐기 때문입니다. 그마저도 byd도 자국에서 굴리는 고성능 차량은 내수에서만 돌리고 있고요
바람돌돌이
+ 25/07/04 11:35
수정 아이콘
중국 고급차는 진짜 고급입니다. 중국인이 사치품을 만드는 거는 문화와 전통이 있어요. 우리나라에는 없는 거죠.
겨울삼각형
+ 25/07/04 11:44
수정 아이콘
중국내에서 해외브랜드는 압도적아 글로벌1짱이 아니면 힘듭니다.
(애플 테슬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25835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6587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0256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63896 4
104449 [정치] [한국갤럽] 李 대통령 직무수행평가 65% [29] 철판닭갈비2219 25/07/04 2219 0
104448 [일반] 현대 기아는 중국 시장에서 부활할 수 있을까? [29] 깃털달린뱀4333 25/07/04 4333 4
104447 [정치] 문화부 장관은 왜 안뽑는걸까요? [24] 방구차야5608 25/07/04 5608 0
104446 [정치] 김민석 국무총리 인준안 통과 (국민의힘 표결 불참) + 초선의원의 표결 실수 [217] Davi4ever9648 25/07/03 9648 0
104444 [일반] 사회와 심리 : 중간자 [9] 번개맞은씨앗2933 25/07/03 2933 1
104443 [일반] 입대 1주년, 휴가 복귀 전 써보는 글 [26] No.99 AaronJudge3478 25/07/03 3478 9
104442 [정치] 바보야, 문제는 교육이야 [101] 휘군6950 25/07/03 6950 0
104441 [정치]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전원 탄핵 반대파? [43] 철판닭갈비7689 25/07/03 7689 0
104440 [정치] 이재명 대통령 취임 30일 기념 기자회견 [46] 물러나라Y9288 25/07/03 9288 0
104439 [정치] 최근 제일 찌질한 뉴스, 윤석열 "10분~20분은 늦을 수 있다" [71] lightstone11295 25/07/02 11295 0
104438 [일반] 일상의 슬픔. [3] aDayInTheLife3249 25/07/02 3249 6
104437 [일반] [꼬꼬무] 염순덕 상사 피살사건 2025년 업데이트 [2] Croove5208 25/07/02 5208 7
104436 [일반] [도서] '세가 게임기 투쟁사' 소개글 & 게이머 라이프 [25] 15년째도피중3436 25/07/02 3436 5
104435 [일반] (강스포)오징어게임3 이건 좀... 이라고 생각했던 장면들 [74] 마술의 결백증명6953 25/07/02 6953 21
104434 [일반] 노스포)25년 상반기 영화관 관람 결산 [19] 왕립해군2654 25/07/02 2654 2
104432 [일반] 정말로 따실 줄은 몰랐지. [21] 맛밤6696 25/07/02 6696 25
104431 [정치]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에 안철수 의원…“당 개혁 최적임자” [92] 철판닭갈비8478 25/07/02 8478 0
104430 [일반] 집주인 바뀌면 전세금 돌려줄때 대출한도 '고작 1억원' [188] 로즈마리9098 25/07/02 9098 9
104429 [일반] 고양이와의 생활 [16] 공기청정기4229 25/07/01 4229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