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25/01/09 11:32
22건이고.... 총 14만원 정도이다.
다행이네요, 사기? 치고는 소박한 놈이여서;;; 저도 오늘 우리카드 신청됐다고 스팸 오던데 ㅡㅡ
25/01/09 11:50
저랑 거의 같은 경우를 겪으셨네요.
저도 한밤중에 결제 문자가 날아왔는데 마침 해외결제로만 쓰는 카드라서 바로 도용인걸 알았습니다. 고객센터 전화하니까 똑같이 페이스북 결제라고 하길래 본인 사용 아니라고 했고 바로 결제 취소 해주더라고요.
25/01/09 12:21
그래서 해외결제는 막아두거나 아예 정지시켜두는게 맘편합니다.
토스 같은 경우 해외결제 승인/정지, 카드 자체 승인/정지가 비교적 간편해서 좋죠. 반대로 카드 만들 때도 해외결제용은 좀 신중하게 생각해야 하구요.
25/01/09 12:31
요샌 그래서 카드사에서도 해외 결제 정지 관련해서 안내를 종종 해주더군요.
저도 예전에 신용카드가 400-500불 결제됐는데 바로 정지하고 환불받았습니다. 사실 어디서 빠져나갔는지도 몰라요.. 해외 사이트들은 카드번호 다 넣고 결제하게 만들어서.
25/01/09 12:38
결론적으로 원인을 못찾는건가요? 차라리 해킹이면 최소한 절차?라도 이해 되겠는데
그것도 아니라니 무섭네요 뭘 조심해야되는지도 모르는거잖아요
25/01/09 21:07
전 작년에 필리핀에서 카드결제하고 복제가 되었는지 모르겠는데, 대한민국에 있을때 해외결제 시도가 있었는지
새벽에 삼성카드 고객센터에서 문자로 '해외사용 승인거절, 사고위험 일시제한'으로 문가 왔더라구요... 제가 대한민국에서 카드를 사용했는데 갑자기 해외사용이 되어서 의심된건지는 모르겠지만 나름 똑똑한 일처리라 생각하고 다음부터는 해외에서 카드는 사용하지 않는걸로 결론을 내렸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