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2/27 23:17:49
Name 빼사스
Subject [일반] [듄 파트2 감상] 왕좌의 게임과 반지의 제왕 사이. (약스포)
3년의 기다림 끝에 <듄 파트2>가 개봉했습니다. 저는 운이 좋아 시사회를 통해 용아맥에서 먼저 볼 기회가 있었습니다. 어서 영화가 개봉해서 사람들의 감상이 나와 같을지 궁금해서 발을 동동 구르다가, 전야제가 시작된 오늘에야 감상을 씁니다.

<듄> 1편이 개봉했을 때 해외 리뷰나 국내에서나 자주 인용되던 작품이 있었습니다. 바로 <왕좌의 게임>이었죠. 시즌1의 궁정 정치극이 떠올랐기 때문인데, 사실 원작 소설이 <왕좌의 게임>에 영향을 줬다는 이야기는 잘 알려져 있지요. <듄> 1편에서 그 웅장하고 장엄한 화면에 한스 짐머의 음악, 그리고 무언가 스멀스멀 올라오는 듯한 불온한 기운, 그리고 가문의 멸망. 이 모든 것이 <왕좌의 게임>을 떠오르게 했죠.
<듄 파트2>는 오늘 전야제나 시사회 의견도 그렇고 해외 리뷰에서도 종종 언급되는 작품은 <반지의 제왕 : 두 개의 탑>입니다. 웅장한 저음으로 깔리는 사운드가 온몸을 덜덜 떨게 하고, 광활한 사막 위에서 끊임없이 펼쳐지는 장면 등은 <반지의 제왕>이 안 떠오를래야 안 떠오를 수가 없죠.
개인적으로 <왕좌의 게임 시즌1>과 <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 중 어느 게 취향이냐고 한다면, 전 <왕좌의 게임 시즌1>쪽에 손을 들어줄 거 같습니다. 그만큼 <듄 파트2>에서 <듄> 1편의 그 정치 게임이라는 부분이 실종된 게 못내 섭섭했습니다. 아마 <듄> 1편의 그 부분을 너무 좋게 보신 분이라면 이번 <듄 파트2>에 실망하실 수도 있겠습니다.
반면 그 외 모든 부분은 기대를 뛰어넘습니다. 오늘 전야제 다녀온 분들 평을 보면 제가 생각했던 그 느낌이 틀리지 않았구나 싶더군요. 특히 돌비 감상하신 분들 얘기를 들어보니 돌비로도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이하 강스포, 안 보신 분들은 읽지 말아주세요]


개인적으로 오스틴 버틀러가 연기한 페이드 로타가 인상적이었습니다. 오스틴 버틀러 본인은 인터뷰를 통해 페이드 로타의 광기어린 모습을 20%만 연기했다고 하더군요. 절제했다는 의미인데, 절제를 잘한 듯합니다. 극의 후반 메인 빌런 역할을 아주 잘해 주었습니다. 중심을 잡아줘요. 예상 외로 원작에서 공기급 배역인 마코트 펜링을 레아 세이두가 연기하면서 페이드 로타와 둘 사이의 미묘하면서 짧은 장면이 꽤 매력적으로 보여지더군요.

폴과 챠니의 관계를 각색한 것도 상당히 마음에 들었습니다. 원작에선 순종적이기만 한 챠니가 주체적으로 폴과 대립각을 세우는 장면이 극 후반의 주요 요소 중 하나가 될 줄이야. 특히 마지막에 원작에선 대놓고 이룰란 공주를 개무시하는 것과 달리 챠니에게 사랑을 속삭이더니 갑자기 결혼을 통해 왕좌 거래를 하는 장면에선 대놓고 비틀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각색 중에서 쟈미스의 부인과 자식을 폴이 첩과 자식으로 받아들이는 내용을 삭제한 것과 결말에서 여러 여지를 남겨둔 건 현명한 선택이었지만, 반면 1편에 공기화되었던 멘타트 투피르가 아예 사라져버린 건 아쉬웠습니다. 그리고 폴의 동생 엘리아의 활약이 삭제된 것도 아쉬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스틸가가 너무 광신도가 되어 코믹 연기가 된 게 좋다고 해야 할지 나쁘다고 해야 할지 알 수 없지만, 인상적이었고
거니 할렉이 1편에서 삭제된 연주와 노래를 부르는 장면이 담겨 있어서 반가웠습니다.

전반적으로 20년 전 극장에서 <반지의 제왕>을 보며 느꼈던 감정을 다시 불러온 소중한 영화였습니다.
3편 각본도 마치고, 천천히 준비한다던데 기대를 안 할 수가 없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lifewillchange
24/02/27 23:20
수정 아이콘
투피르 정도의 인물이 삭제가 되다니...어떻게 각색을 한거죠?
빼사스
24/02/27 23:22
수정 아이콘
각색을 꽤 잘했습니다. 사실 투피르는 1편에서도 이미 제시카와 신경전을 벌이지 않았기 때문에 공기화 예정이었기에, 2편에서 원작처럼 자신의 실수를 후회해서 극단적인 최후를 맞는 장면을 넣기 어려웠으리라 봅니다. 사실 투피르의 최후는 정말 강렬한데 말이죠.
그냥사람
24/02/27 23:31
수정 아이콘
제가 국영 IMAX 영화관에서 봤는데 와 영화 끝나고 사람들 기립박수 한 5분 친것 같습니다. 제가 많이 Hype된것도 있겠지만 영상미 하나로 전후로 10년내 최고영화 봅니다
빼사스
24/02/27 23:34
수정 아이콘
헉 저도 시사회 볼 때 박수가 터져나오긴 했어요.
그냥사람
24/02/27 23:39
수정 아이콘
전 집중력도 딸리고 영화 한시간 반짜리도 집중해서 못보는데 진짜 두시간반 영화 완전 몰입해서 봤습니다.
딱 끝나고 처음으로 한숨 푹쉬며 박수 따라치다가 옆에 돌아보니 같이 박수치고 있는 친구들 보면서…
전 거의 인셉션 이후로 이정도 감동 받아보는거 처음 인 것 같아요.
마음속의빛
24/02/27 23:33
수정 아이콘
듄의 스토리도 스토리지만, 과거 DUNE2(최초의 전략 시뮬레이션?)을 즐겨했었던 추억 때문에
이 작품에 정이 갑니다. (물론, 게임은 원작 설정을 무시하는 탱크 싸움이 주요 전쟁 수단이었지만요.)
빼사스
24/02/27 23:34
수정 아이콘
전 웨스트우드사 게임을 정말 좋아했어요. 특히 그 B급 영화 같은 영상들이 너무 좋았어요.
개가좋아요
24/02/28 00:10
수정 아이콘
전개가 느리거나 정적이진 않나요?
빼사스
24/02/28 01:07
수정 아이콘
전개는 느리진 않아요. 그게 오히려 단점 같아 보일 정도예요. 물론 드니 빌뇌브 스타일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서 여전히 좀 느리거나 정적으로는 느껴지겠지만요.
하이버리시절
24/02/28 13:17
수정 아이콘
어제 밤에 남돌비 정중앙에서 봤는데 너무 좋았습니다.
원작 소설을 안봐서 로타가 주인공 라이벌인가보다 했는데 좀 허무하게 죽은게 약간 아쉽다랄까
나중에 재개봉하면 용아맥 좋은 자리에서 또 보고 싶네요
바보영구
24/02/28 18:32
수정 아이콘
안야테일러조이 얼굴 정말 미쳤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115 [일반] 아래 간짜장 글을 보고 써보는 글입니다. [19] 덧물10816 25/04/25 10816 0
104114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9 [7] Poe7701 25/04/25 7701 24
104113 [일반] 챗gpt와 함께 읽는 "희랍어시간" [1] 아빠는외계인7107 25/04/24 7107 3
104112 [일반] 숙박앱에서 저에게 사기를 치려고 했던 것 같습니다? [18] 국힙원탑뉴진스12404 25/04/24 12404 3
104111 [일반] (스포일러 포함) 영화 <야당> - 빠르다... 진짜 빠르다!! [22] Anti-MAGE10687 25/04/23 10687 4
104110 [일반] 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8] meson7980 25/04/23 7980 13
104109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2)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1 [9] 계층방정8369 25/04/23 8369 10
104108 [일반] 트럼프 사실상 경제정책 항복? [100] DpnI19062 25/04/23 19062 7
104107 [일반] 무선 블루투스 송/수신기 사용기 [7] 스물다섯대째뺨8937 25/04/23 8937 3
104106 [일반] 제대로 하는 간짜장은 귀하다. [104] 인민 프로듀서17117 25/04/22 17117 26
104105 [일반] 오늘 갑상선암 진단을 받았습니다 [56] 승승장구13023 25/04/22 13023 41
104104 [일반] 오랜만에 자작곡 올립니다. [4] 포졸작곡가5029 25/04/22 5029 11
104102 [일반] 최근 1년동안 했던 게임들, 소소하게 평가를 해봅니다(2) [26] 공놀이가뭐라고10343 25/04/21 10343 7
104100 [일반]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72] 제논13411 25/04/21 13411 14
104099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8 [11] Poe8193 25/04/21 8193 30
104097 [일반] 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43] Kaestro14252 25/04/20 14252 7
104096 [일반] 아청법 관련) 슬슬 또 스텝을 밟기 시작하는 제도권 [52] 실제상황입니다18425 25/04/20 18425 13
104095 [일반] 이게 그거였구나 [6] 如是我聞9573 25/04/20 9573 22
104094 [일반] 저물가의 시대 이제는 끝인걸까? [20] 김홍기13390 25/04/19 13390 0
104093 [일반] 인터넷이 거대한 망무새가 되어간다 [85] 고무닦이16607 25/04/19 16607 49
104092 [일반] "문과 놈들이 해먹는 나라"…이국종 교수, 국방부에 사과 [204] Davi4ever15755 25/04/19 15755 7
104091 [일반] 콜드플레이 2일차 후기 [28] aDayInTheLife6113 25/04/19 6113 2
104090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1) - 한경제에서 용릉후 가문이 나오기까지 [7] 계층방정5139 25/04/19 5139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