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11/15 19:01:06
Name 김모군
Subject 이번 엠겜 팀리그 방식에 대한 건의입니다.
이전과는 많이 방식이 바뀌었죠. ^ ^

가장 대표적인 두가지라면

풀리그 형식이니 아무래도 2번 지면 탈락하게 되는 예전 방식보다는 부담이 덜 할 거란 것과,

3명밖에 출전하지 않으니 올킬도 이전보다 훨씬 수월해지는 것이죠.

예선만 봐도 올킬 횟수가 엄청 많이 나왔음을 알 수 있는데 너무 남용되듯 나오면 팀리그가 루즈하게 흐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제가 건의하고 싶은건 두번째 방식인데요...

각 팀별로 경기마다 엔트리를 최대한 많이 받거나 ( 6-7인 이상) 아니면 애초에 팀소속 플레이어라면 현장에 있는한

마음껏 출전시킬 수 있는 엔트리 방식을 통해 프로리그의 정형화된 틀보다 자유로운 느낌을 주고

올킬에도 좀더 핸디캡을 주는 것입니다.

이번에는 엔트리를 몇명까지 짤 수 있는지 모르겠는데, 아무래도 개인전 강자들이 좌우할 수 있는 판이

될 수 있는만큼 변수가 많은 선수가 등장하기도 하여 서로가 최대한 기본실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하고

각 팀별로 팀리그에 대한 연습을 자율적으로 짤 수 있게 해주는 겁니다.

그리고 이렇게 하면 게임단들도 좀 더 일정에 얽메이지 않을 거 같습니다.

하나 더 장점이 있다면 각 팀의 감독의 전략적 능력을 검토해볼 수 있는 좋은 장이 되겠죠.

저의 경우는 프로게임단 감독은 솔직히 매니저의 역할이 더 크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스타 전문가로서 특화된

능력을 보고 싶네요.


준비가 안된만큼 경기질이 하락한다고 우려가 생길지도 모르지만 제 생각은 그렇지 않습니다.

사실 다른 리그는 대부분 많은 연습을 통해 준비된 경기를 하는데 팀리그는 예전부터 상대가 누가될지 모르는

유동성이 있었기에 꾸며지지 않은 기본실력을 발휘할 수 있고 많은 명경기가 나왔다는 걸 팬분들은 아실 겁니다.

이젠 출전자수가 더 줄어들었고 게임단들의 바쁜 일정을 감안해서

더욱 여러 선수를 배치할 수 있게 하여 잘 모르는 프로게이머를 보는 재미도 주고 에이스라 불리는  선수들의

그야말로 뛰어난 기본 실력도 볼 수 있음 좋겠습니다.

더군다나 아직 검증되지 않은 선수들은 의외로 그 맵을 열심히 연습하여 특화된 실력을 보여줄지도 모르기 때문에 감독이 머리만 잘 짠다면

일정에 얽메이지 않고 좋은 내용을 보여줄 수 있을 듯 합니다.

하나 더, 선수층이 두꺼운 팀이 유리하지 않느냐 하시는데 그것도 그렇지만 않습니다.

선수층이 얇은 플러스나 소울팀의 경우에도 엔트리가 자유로운 게 보다 좋습니다.

베스트 맴버의 포스와 층도 더 얇기 때문에 다양한 선수의 기용이 필요하고 각 개인에게도 그게 좋습니다.

선수층이 두껍기로 유명한 케텝은 오히려 4선승제보다 이번 방식이 더 안좋을 수도 있습니다.

베스트맴버롤 풀가동해도 박빙의 승부가 벌어질 것입니다.

이번 팀리그 화이팅입니다.


#

5전 3선승제의 이번 팀리그 방식

보다 더 자유로운 엔트리 방식으로

올킬도 막고 감독 용병술도 키우고 모르는 선수도 보고 기본실력도 발휘하고 일정도 더 여유롭게 하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4/11/15 22:11
수정 아이콘
오히려 이번에 올킬을 하면 선수 20만원, 감독 10만원이라는 매력있는 올킬 수당제도가 도입되어 올킬을 하려는 의지가 더 강해진 것 같다는 느낌...
04/11/15 22:26
수정 아이콘
MBC의 올킬제도, 재미있지요 :)
상금이 달렸군요. 이젠 저렇게 직접적으로 상금이 수여되는 방식이 점차 많아지는 것 같아 좋습니다 :)
강나라
04/11/15 23:14
수정 아이콘
올킬상금도 있나요? 재밌겠네요^^
Shiftair~★
04/11/17 02:02
수정 아이콘
이번 팀리그도 최연승 선수의 독무대가 될 것인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049 최단 기록 경기가 경신됐습니다...(약간의 스포일러) [16] 내 머리 속의 5313 04/11/16 5313 0
9047 올 해 수능 문제 또 유출되었나 보네요. [28] 바카스4829 04/11/16 4829 0
9046 생뚱맞은 글하나 써봅니다 ^^(그렇다고 이상한글 아닙니다;;;) [7] 사탕발림꾼3438 04/11/16 3438 0
9045 프리미어 통합 챔피언 결승 저그 대 저그 가능성 큽니다. [37] 반지의제왕4313 04/11/16 4313 0
9044 마지막 프리미어 리그의 경기 배치에 관하여. [12] 마동왕3304 04/11/16 3304 0
9043 방송사 규정을 제대로 지켜주셨으면 합니다.[또 수정 ㅠ..ㅠ] [61] 테란유저4729 04/11/16 4729 0
9041 바둑의 대국방식을 스타에 도입한다면.... [3] 이창우3529 04/11/16 3529 0
9040 임요환 선수의 부전패 사건때 나도현 선수의 기절 사건이 생각난 것은 저뿐인가요??? [22] 임정현6331 04/11/16 6331 0
9039 [잡담] let's get rid of the cyber identity of ourselves. [8] 하와이강4410 04/11/16 4410 0
9038 엽기적인 그녀에서 처럼.......... [6] 아이러브스타3295 04/11/16 3295 0
9037 이제것 노력해왔던 것만큼. [23] 대세를향한미3438 04/11/16 3438 0
9036 [응원]져도 괜찮습니다!! [10] 최재형4039 04/11/15 4039 1
9035 그 때가 생각납니다.. [21] iloveshia3410 04/11/15 3410 0
9033 [소설] Girl - 2화 [3] 베르커드3536 04/11/15 3536 0
9032 [결론은 테란이다!!!] [28] 마인드컨트롤4321 04/11/15 4321 0
9031 이번 OSL결승의 의미... [27] 임정현4691 04/11/15 4691 0
9030 [잡담]wow 플레이 해본 소감 [25] 강은희4220 04/11/15 4220 0
9029 이번 엠겜 팀리그 방식에 대한 건의입니다. [4] 김모군3277 04/11/15 3277 0
9027 스타리그 주간 MVP (11월 둘째주) ... 김동진 선수 [10] 이뿌니사과3456 04/11/15 3456 0
9024 슬슬 정리되어 가는 시점에서 결승전을 예상해보죠 [62] 행운장이4343 04/11/15 4343 0
9022 이제 그만하자 좀.. [22] 뉴[SuhmT]3529 04/11/15 3529 0
9020 임요환..나에게 있어 그의 의미.. [8] 眞 露3488 04/11/15 3488 0
9019 내 소중한 벗에게.... [4] 비오는수요일3394 04/11/15 339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