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10/24 19:39:54
Name 오노액션
Subject 위기는 필요없다..끝내지 못할거라면 위기도 주지말아라(스포일러 포함)
서지훈선수의 천적이 한명더 생겨날 조짐이 보입니다.

물론 아직 섣부릅니다만은..그에게 운영,물량,상황판단능력...센터배럭으로 끝난

챌린지경기를 제외한 모든경기에서 서지훈은 '머슴'최연성선수에게 위에 세가지를

모두 밀리며 패하였습니다.

서지훈..퍼펙트테란..

Perfect는 완벽한..빈틈이 없다는 뜻입니다.

서지훈선수에게 그런 수식이 붙은 이유는?

간단합니다. '완벽'그자체 이기 때문이였습니다.

하지만 그에게 '완벽이 그거라면 나는 표현할수 없는 너를 능가하는 완벽함이다'라고

소리치며 나타난 이가 있었습니다.

NaDa 이윤열선수죠.

10:3

축구에선 치욕적인 스코어이며 야구에선 대패했다고 할수있는 스코어입니다.

상대전적에서 이윤열선수한테 10:3으로 밀린다.

완벽함에 한가지 흠이죠.

그동안의 경기를 살펴볼까요?

모든경기가 박빙이였으며 서지훈선수는 초반엔 '유리하다'라는 말을 그냥 내뱉어도

될정도로 상대에게 압박하여 위기를 만들어냈습니다.

하지만 '머신'이윤열선수는 그것을 보란듯이 극복해내고 승리하였습니다.

서지훈선수는 승기를 잡으면 놓지를 않습니다. 그렇게 그런식으로 완벽함을

자랑하며 여기까지 왔습니다.

하지만 적어도 머씨형제들한텐 지금 고작 3번이겼으며 13번을 패하였습니다.

오늘도 그랬습니다.

상대방에 본진에 다수병력이 난입하며 꽤 피해를 주고 자신도 앞마당을 쫓아갔습니다.

한차례 위기가 지나간 최연성선수. 하지만 그에겐 '앞마당'이 남아있었죠.

머씨형제의 히든카드 '앞마당'

결국 센터병력이 뚫리고 완전히 조여진 서지훈선수는 상대에게 올멀티를 내주며

패배하는, 자신은 주력병력을 드랍쉽을 통해 쏟아부었는데 상대는 본진에

생산되어있던 추가병력으로 그것을 막아내는..'완벽하게'패했습니다.

오늘 경기의 요점은 무엇일까요?

적어도 서지훈선수는 머씨형제를 상대할때는 그들에 맞춰 해야합니다.

그들은 위기를 기회로 받아넘기는 그런자들입니다.

그런 능력으로 그들은 지금 최강의 자리를 유지해왔습니다.

서지훈선수는 경기운영,물량,컨트롤만 완벽해야하는게 아니라

적어도 머씨형제를 상대할때는 위기를 주지말고 끝내야합니다.

그것이 끝내지 못할 타라면 차라리 센터에 자리잡고 승기를 유지해나가면서

다른 한방을 준비하는게 좋습니다.

최연성선수가 '뚫다가 피해를 입느니 나는 내특기인 자리잡기를 하고있을테니

드랍쉽이든 힘으로 뚫든 뭐든 다해봐라' 이런식으로 경기운영을 했습니다.

결국 서지훈선수는 상대방에게 기회만 준셈이죠.

서지훈선수가 적어도 머씨형제를 극복할려면

그들에겐 '위기'란 통하지 않는다는것을 깨닫고

그들에게 GG를 받아낼수 있는 공격이 필요합니다.

그래야만 머씨형제를 극복해 Prefect의 자존심을 세울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

개인적으론 최연성선수 팬이지만

특별히 싫어하고 좋아하는 개념이 강한편이 아니기에

머씨형제만 만나면 테테전최강자에서 '고양이 앞의 쥐'로 전락하는

서지훈선수가 안타까워 몇자 끄적여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오현철
04/10/24 19:47
수정 아이콘
오늘 경기는 7시라는 위치운 때문이라고 저는 믿습니다a
7시가 조여지면 대책이 서질 않죠.(특히 7시가 심하더군요)
아 그리고 Ferfect-> Perfect 로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6a
임재현
04/10/24 20:14
수정 아이콘
이제는 즐기는 경기에서 이기는 경기로 바꾼다고 하는데....

무서워요..그냥 무서워요...
edelweis_s
04/10/24 20:47
수정 아이콘
히든카드... 앞마당... ㅜㅜ.
강나라
04/10/24 20:47
수정 아이콘
서지훈선수 이윤열선수에게도 최근 3연승으로 점점 쫓아오고있으니
최연성선수도 조만간 잡을겁니다.
NaDa_mania
04/10/24 20:51
수정 아이콘
서지훈선수의 단점이라고나 할까요.. 특 S급 선수들에게 약하다는 점이죠.. 분명 다른 프로게이머들에겐 퍼팩트한 모습을 보여줍니다만, S급선수들에게는 자주 무너진다는...

그리고 최연성선수는 정말 이기는 플레이를 하네요.. 덕분에 경기자체가 재미있진않았습니다.;; 앞마당 조이고 터렛도배후 레이스모아서 드랍쉽만 격추... 로템 필수 카드죠.. 똑같네요
04/10/24 21:07
수정 아이콘
pgr에서는 오늘 야외인터뷰로 논쟁이 안 벌어지길 바랍니다-_-
그 글 쓰는 사람은 무조건 X시꾼으로 볼거에요;;;

아무튼 서지훈 선수.. A급이하선수들에겐 극강.. 그러나 S급선수에겐 약하다는..
오명을 벗기위해선.. 자신이 뭘 해야 할지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최연성선수가 긴장하는 상대로 거듭나겠죠
으오오옷
04/10/24 21:10
수정 아이콘
웬지 오늘경기.. 질레트배 최연성 대 이병민 의 경기가 생각나는군요..
다른건 서지훈선수의 gg타이밍이 조금 빨랐다는것??
최연성선수 운전면허 정지 풀리는느낌이군요...(뭐 정지라는 표현이 뭐하긴 하지만 -_-)
박서야힘내라
04/10/24 21:22
수정 아이콘
서지훈선수 약간 끈기 없어보이던데 저번 프리미어리그때 박정길선수와의 경기도 그렇고 오늘 최연성선수와의 경기도 gg타이밍이 빠르다는
중요한경기라고 인식 못한 걸 수도 있지만요 마찬가지로 최연성선수도
상당히 빠릅니다.
dangun8972
04/10/24 21:34
수정 아이콘
서지훈도 s급에 포함된다고 보지만, 어짜피 s급선수들에게 강한 선수는 거의 없죠..그니까 s급이라 칭하는거죠..
04/10/24 21:37
수정 아이콘
gg타이밍이 빠르고 느린 것은 선수의 스타일로 봐 주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솔직히 선수 자신이 이거 해도 안되고 저거 해도 안되고 자신이 아는 모든 방법이 다 막혀 보이는데 의기소침한 기분으로 시간만 끄는 것은 무의미 하다고 생각 할 수도 있다고 보고요.
또 유닛이 한마리라도 남아 있다면 난 어떻게든 싸운다고 생각하는 것도 파이팅 넘치는 플레이라는 면에서 좋다고 봅니다.
저 개인적으로는 끝까지 싸우는 스타일을 좋아 합니다만 괜히 시간 끌다가 기분만 의기소침해 지고 자신감만 잃어가는 성격을 가진 사람이라면 일찍 gg치는 것도 나쁘진 않다고 보이네요.
04/10/24 22:01
수정 아이콘
Dizzy// 본문이나 리플과는 전혀 상관없는 얘기지만.. X시꾼이 뭔가요???
음 저 X에 뭔가 들어가서 나쁜말이 되는것 같은데 아무리 생각해봐도
통모르겠네요;;;
다즐링
04/10/24 22:06
수정 아이콘
낚시꾼을 말하는거죠;;
04/10/24 22:09
수정 아이콘
아.. 낚시꾼이구나. 전혀 감을 못잡다니. 역시 나이가 드니까 순발력이
떨어지는군요;;; OTL..
비호랑이
04/10/24 23:02
수정 아이콘
최연성 선수의 오늘 경기는 오랜만에 예전의 포스를 보는거 같았습니다. 앞마당 약간 일찍 먹었을뿐인데 물량이 금방 나오더군요..
앞으로도 최강의 모습 기대합니다.
04/10/24 23:08
수정 아이콘
gg 를 치는 타이밍은 선수들의 개인 성향이라고 생각합니다.
서플라이 짓다가 SCV 갇혔다고 gg 치고 나오면 매너 문제일 수 있겠지만, 어느 정도 경기가 진행된 시점에서 이것 저것 해봐도 소용 없을거라는 느낌이 들었을 때 빨리 gg 치는것도 좋은 생각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극도로 gg 를 빨리 치는 선수가 최연성, 서지훈 선수인데 이 두 선수들은 대신 엄청난 장기전에 돌입해도 가능성이 있다면 정말 놀라울 정도의 집중력을 보여주지 않습니까. 나름대로 상황 판단에 의한 gg 선택 타이밍이라고 생각합니다.
반면에 정말 지독하게 gg 안치는 선수로는 임요환, 성학승 선수 등이 있는데, 그것도 또 선수 스타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다가 '아주 가끔'은 역전승 할 때도 있고 말이죠. (물론 상당수는 비참 모드가 되긴 합니다만...)
하여튼 너무 심하게 구석에 파일런 짓고 버틴다던가 -_- 컴맨드 센터 띄워서 공중 유닛 나올 때까지 버티면서 도망 다니는 심한 경우만 아니면 빨리치거나 늦게 치거나 다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Beyond.TheGrave
04/10/25 10:25
수정 아이콘
최연성 이윤열 선수는 SS
서지훈 선수는 S
솔직히 아무리 S급 선수들 중에서 저 머씨 형제에게 100판 하면 50판 이길 수 있다는 선수가 있습니까? 저 두 머씨들은 정말 괴물입니다 ㅡ,.ㅡ
Lucky_Flair
04/10/25 19:22
수정 아이콘
Beyond.TheGrave//
음...대 이윤열 선수 전적은 모르지만,

변길섭 선수 vs 최연성 선수는 변길섭 선수가 앞서고 있죠.
palemass
04/10/25 23:32
수정 아이콘
최연성 선수는 어느정도 선을 긋는거 같아요. 꼭 이겨야 할 경기. 져도 될 경기. 그만큼 그는 무서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567 [지식?]사업 드라군 vs 탱크(노시즈모드) [21] 돌푸7772 04/10/27 7772 0
8565 프로토스를 플레이 하면서 스타의 참 재미를 알게 되었다. [17] 치토스3584 04/10/27 3584 0
8563 철책 근무와 휴전선 절단 사건에 대해서 [25] Pisong_Free4437 04/10/27 4437 0
8562 세계속의 한국사 [16] 여천의군주3471 04/10/27 3471 0
8561 거의 일년만인거 같습니다. [13] 오래오래~3386 04/10/27 3386 0
8560 전태규선수의 탈락을 안타깝게 바라보며....... [45] 박지완5558 04/10/27 5558 0
8559 스타경기의 미래는 어떤쪽이 좋을까? [3] SEIJI4067 04/10/27 4067 0
8558 너무나도 많은 스타리그와 맵 밸런스에 관하여 사견 [13] 킬리란셀로3954 04/10/27 3954 0
8557 맵,종족상성.. 왜 토스랑 저그만 겪어야하는가. [70] zenith4932 04/10/27 4932 0
8556 나의 테란 수기 - 따라쟁이 테란에서 나만의 색을 가질 때까지 [12] 케샤르4117 04/10/27 4117 0
8555 sylent! 그가 보고 싶다! [23] 왕일4151 04/10/27 4151 0
8554 <꽁트> 누군가의 독백 3 [8] 버로우드론4102 04/10/27 4102 0
8553 듀얼에서는 제발 머큐리 레퀴엠 펠레노르 쓰지 맙시다. [39] 백만불4653 04/10/27 4653 0
8552 최연성은 운이 억쑤로 좋은 사람이다? [19] 낭만메카닉5360 04/10/27 5360 0
8551 맛있는 라면 끓이는 법-1편 [14] 밀림원숭이3839 04/10/27 3839 0
8550 챌린지리그를 본 후 온게임넷, MBC게임 맵에 대한 단상. [92] 왕일6035 04/10/26 6035 0
8549 관심을 가지겠습니다. 박지호 선수 [26] 내꿈꾸지마3663 04/10/26 3663 0
8548 온스타넷이라고 욕하고 워3리그 개막하라고 난리친사람 보세요 [51] 지수냥~♬5478 04/10/26 5478 0
8547 머큐리 맵에 대하여... [51] xkaldi4701 04/10/26 4701 0
8545 '루나'맵의 중간점검 --플토선수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 [32] APT2074578 04/10/26 4578 0
8544 잘되던 스타가.... [7] 최연성같은플3329 04/10/26 3329 0
8543 나만큼 미쳐봐 - 그동안 알지 못했던 내면.. [6] SetsuNa3829 04/10/26 3829 0
8542 [잡담] 붕어빵 하나 [4] 베르커드3305 04/10/26 330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