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5/05/08 12:42:37
Name EnergyFlow
File #1 4660e450_2774_11f0_8f57_b7237f6a66e6.jpg (193.7 KB), Download : 1170
Subject [뉴스] 클레르 옵스퀴르: 원정대 33 개발비화(?)에 대한 인터뷰들 (수정됨)


https://mp1st.com/news/clair-obscur-expedition-33-impossible-to-greenlight-at-a-big-company

기욤 브로슈(샌드폴 인터렉티브 대표)가 왜 자신이 재직중이던 Ubisoft에서 게임을 개발하는 대신
직접 스튜디오를 설립하고 Expedition 33의 퍼블리셔를 찾는 고생을 했는지에 대한 사연(?)을 밝혔습니다

"대기업에서 기존 IP가 아닌 오리지널 캐릭터가 있는 새로운 IP의 게임을 개발한다는 것은 승인을 받기 매우 어렵습니다.
이런 프로젝트들을 통과시키려면 그에 걸맞는 커리어와 높은 수준의 직책이 필요하다기 때문에
만약 제가 클레어 옵스큐어: 원정대 33과 같은 게임을 대기업에서 개발하려고 했다면 기획에서부터 완성하는 데 20여년은 걸렸을겁니다"

그는 개발자가 대기업에서 프로젝트를 본인 뜻대로 런칭하려는 기회를 얻으려면 일반적으로 꽤 높은 위치에 있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네, 아주 확실하게 말하자면, 새로운 IP, 독창적인 스토리, 완전히 독창적인 캐릭터가 등장하는 이런 프로젝트는
대기업에서 추진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승인 단계가 많고, 일반적으로 큰 조직에서는 이런 종류의 프로젝트를 제안할 기회를 얻으려면
이미 자신을 입증하고 계층 구조에서 꽤 높은 위치에 있어야 합니다. 저는 그런 자리에 올라갈 때까지 기다릴 정도로 인내심이 많지 않아요. "

"저희는 또한 저희만의 방식으로 일을 하고 싶었고 저희만의 분위기에서 게임을 만들고 싶었습니다
우리 직원들은 큰 정원이 있는 멋진 사무실에서 점심시간마다 페탕크(컬링과 비슷한 공놀이)를 하는데, 그 모습이 게임에도 등장합니다.
열정적으로 게임을 만들려면 '친구들이 다함께 모여서 열심히 무언가를 만드는' 그런 분위기가 정말 필요했습니다"

“인디 스튜디오에서만 할 수 있는 일이죠. 게임 규모가 커 보이지만 몽펠리에 사무실 있는 저희는 25명밖에 안 됩니다.
우리 모두 서로를 잘 알고 있죠. 그렇기 때문에 소규모 스튜디오보다 큰 스튜디오에서 이런 일을 해내는 것이 훨씬 더 어렵습니다.
하지만 이런 스튜디오에서 일하는건 정말 어렵습니다. 언제나 긍정적인 일들만 발생하는건 아니니까요.
저는 몇 년 동안 휴가를 거의 가지지 못 했고 야근을 밥 먹듯이 했습니다. 하지만 그만한 가치가 있었습니다"


https://www.bbc.com/news/articles/c078j5gd71ro

2020년, 코로나 팬데믹이 절정에 달했을 때, 기욤 브로슈는 전세계 수백만 명의 다른 사람들과 같은 상황이었습니다.

"제 일에 지루함을 느끼고 뭔가 다른 것을 하고 싶어했죠."

그래서 5년 전, 그는 자신의 프로젝트를 위해 필요한 사람들을 모집하기 시작했고,
레딧과 온라인 포럼에 머물고 있던 미래의 동료들에게 메시지를 보냈습니다.
당시 응답했던 사람 중 한 명은 호주에서 자가격리 중이던 제니퍼 스베드버그-옌이었습니다.

"레딧에서 기욤이 데모용으로 무료로 녹음 해 줄 성우를 찾는 글을 봤어요.
저는 '해본 적이 없긴 한데, 재밌을거 같다'고 생각해서 영상을 보냈죠."

그렇게 제니퍼는 주요 캐릭터의 성우로 캐스팅되었지만, 최종적으로 그녀의 역할은 팀의 수석 작가가 되었습니다.
기욤은 사운드클라우드(음악 공유 웹사이트)의 게시물들을 살펴보다가 로리엔 테스타드의 음악에 감명을 받고 그를 채용했습니다.
게임 음악이라고는 한 번도 만들어 본 적이 없었던 로리엔 테스타드는 그렇게 원정대 33 OST의 작곡가이자 음악감독이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세 곡을 만들어서 디스코드로 보내준게 전부였어요. 그게 여섯 곡이 되고 열 곡이 되더니 어느새 이렇게 되었네요"

직원들 중 많은 사람들이 제니퍼와 로리엔과 비슷하게 특이한 방식으로 발견되고 채용되었습니다.
그들은 이것을 '기욤 효과'라고 부르며 그가 인재를 찾아내는데 엄청난 재능이 있다고 말합니다.
기욤은 겸손하게 자신의 성공을 코로나로 인해 창의적 출구를 찾는 사람들이 많았기 때문에 생긴 행운이었다고 이야기합니다.

"언제나 얘기하는거지만, 작업을 부탁하기 위해 연락할 사람들의 목록을 만들어놓고 '아마 아무도 전화를 받지조차 않을 거야'라고 생각했었어요.
그런데 매번 첫 번째로 연락한 사람이 '그래, 해보자'라고 대답하더군요"

제니퍼와 기욤은 대부분의 직원들이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고 말합니다.
처음에 성우로 캐스팅 되었다가 메인 시나리오 작가가 되었고,
나중에는 글로벌 출시를 위해 게임을 번역하는 업무도 담당했던 제니퍼가 증언합니다.

"우리 모두는 전통적인 분업화처럼 각자가 맡은 일만 하지 않고 다른 부분, 여러 가지 일을 도왔어요,"

기욤은 자신의 팀원들이 보여준 놀라운 모습에 대해서 극찬했습니다.

"우리 회사에는 게임업계 경력이 거의 없는 사람들이 많지만, 그들은 프로젝트에 매우 헌신적이고 재능이 있습니다."

"어떻게든 잘 되기는 했는데, 여전히 저도 이게 대체 어떻게 굴러갈 수 있었던건지 이해가 되지 않기는 해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롤격발매기원
25/05/08 12:55
수정 아이콘
이런 신생팀이 요즘 게임패스 데이원으로 내는 대신 지원 받는 식으로 들어가더라고요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5/05/08 12:57
수정 아이콘
크크크 전형적인 좋아요소기업 모습
Blooming
25/05/08 13:00
수정 아이콘
저렇게 해서 끝까지 진행한게 대단한 일이고 저걸 완성시킨 PD가 진짜 능력자죠. 이거 하나 출시할 동안 이 방식으로 완성 못하고 깨진 팀이 못해도 수백개는 될듯.
왕립해군
25/05/08 13:06
수정 아이콘
원래 큰 기업일수록 어쩔수없는 구조적 제약이 생기니 저런게 정상이 맞아요.. 그래서 규모가 작은 스튜디오니 이런 성과 낼 수 있는 것도 맞는소리고..
덴드로븀
25/05/08 13:19
수정 아이콘
[리더] 의 품격을 제대로 뿜어냈군요
이쥴레이
25/05/08 13:20
수정 아이콘
발더스게이트3 개발사인 라리안 사장 스벤빈케가 작년 TGA 시상때 이야기한 연설에 해당하는 스튜디오이기도 하다고 생각합니다.

‐-------------------------------------------------------------------------
저는 오늘 고티 수상 게임이 뭔지 가장 먼저 알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내년, 이듬해, 또 그다음 해의 우승작도 알고 있죠. 어떻게 아는 걸까요?

예언가가 말해주더군요. 변화가 올 거라고 했죠.

생각보다 현대적인 사람이라 NDA(비밀 유지 계약서)를 쓰게 됐지만, 여러분은 믿을 만하니 비밀을 지켜주실 거라 믿습니다.

예언가가 말하길, 2025년 올해의 게임은 여기 이 자리로 올라오는 법을 알게된 스튜디오가 탈 거라는 군요.

그 비법은 어처구니없을 만큼 단순하지만, 자주 잊혀지곤 하죠.

[자신들이 하고 싶은 게임을 만드는 자들이 이 자리에 올 겁니다.]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게임을 만드는 자들이 오죠.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서, 브랜드 수익을 위해서 만드는 자들이 아니라요.

매출 목표를 채우려고 발버둥치거나, 목표를 못 채워서 해고될까 두려워하지 않는 자들이 이 자리에 옵니다.

게임 디자인엔 아무 도움이 안 되면서 수익만 늘리려는 요소를 집어넣으려는 대신 과감히 쳐낸 리더들이 올 거에요.

개발자를 스프레드시트의 숫자처럼 취급하지 않고, 플레이어를 착취 대상으로 여기지도 않는 자들 말이죠.

짧은 보너스나 정치적인 이유로 근시안적인 결정을 내리지 않고,
게임과 개발팀을 우선하면 수익은 따라오게 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자들이 올 겁니다.

이상적인 목표를 지향하고, 플레이어들이 즐겁기를 바라는 자들이요.

[개발자들이 즐겁지 않으면 누구도 즐겁지 않을 거라는 걸 깨달은 자들이 이 자리에 섭니다.]

존중의 가치를 이해하는 사람들, 개발자와 플레이어를 잘 대우하면, 계획대로 되지 않았을 때도 용서받을 수 있다는 걸 아는 자들이,

무엇보다도, 자신들의 게임을 사랑했기에 게임에 신경 쓰는 자들이 여기 섭니다.

정말 간단한 거 아니냐고 예언가가 그러더군요.

올해의 게임을 수상하는 건 우리의 인생을 바꿔놓는 경험이었습니다. 정말 놀라운 일이었죠.

2024년 올해의 게임을 수상할 분들, 어떤 일이 기다리고 있을지 상상도 못 하실 거예요.

정말 멋진 영광이고, 엄청난 여정을 경험하게 될 겁니다.

만약에 오늘 수상소감을 빨리 끝내라고 마무리 압박을 받는다면, 내년에 여기로 돌아와서 3분 동안 주절거리면 된다는 걸 기억하세요.

이제 GOTY 후보들에게 다시 한 번 경의를 표하며, 오케스트라와 함께 후보작들을 소개합니다.
EnergyFlow
25/05/08 13:24
수정 아이콘
까먹고 안써놨는데 기사번역에는 챗지피티께서 수고해주셨고 분량 조절과 (제 기준에)편하게 보기 위해 다소 의역된 부분이 있습니다.
25/05/08 14:28
수정 아이콘
제니퍼 저 분은 정말 대단하네요 허허
페스티
+ 25/05/08 17:40
수정 아이콘
로망 그자체네요
+ 25/05/08 17:40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로 치면 디시 같은데서 나랑 게임만들 사람 구한다 라는 글로 성우, 작가, 작곡가들을 선발했다는건가요 크크
EnergyFlow
+ 25/05/08 18:13
수정 아이콘
대충 디씨, 아카라이브, 카톡오픈 채팅방 등에서 사람을 구했다고 보면 될 듯 한.....
+ 25/05/08 20:38
수정 아이콘
유황숙 출신이라 그런가 인재를 찾는 안목과 끌어들이는 능력이..
모든 일에 제일 중요한것은 적절한 인재를 적절한 자리에 놓는거라더니
+ 25/05/08 23:05
수정 아이콘
대단하네요 좋은 영감 받아 갑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댓글잠금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406410 0
공지 게임게시판 운영위원회 신설 및 게임게시판 임시규정 공지(16.6.16) [3] 노틸러스 15/08/31 476398 4
공지 공지사항 - 게시판 글쓰기를 위한 안내 [29] 항즐이 03/10/05 643891 13
81184 [뉴스] 클레르 옵스퀴르: 원정대 33 개발비화(?)에 대한 인터뷰들 [13] EnergyFlow2671 25/05/08 2671 5
81156 [뉴스] 넥슨, 블리자드와 '스타크래프트' IP 협업...'오버워치M' 배급권도 가진다 [82] EnergyFlow9565 25/04/28 9565 0
81068 [뉴스] ‘제우스’ 최우제는 6분 동안 무엇을 해내는가 [6] EnergyFlow4371 25/04/05 4371 1
80991 [뉴스] 돈은 안되지만 인기는 절정... SK의 계륵 'T1' [146] EnergyFlow15433 25/03/11 15433 1
80986 [뉴스] 단독:BNK 피어X-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파트너십 [3] SAS Tony Parker 6917 25/03/09 6917 1
80960 [뉴스] AMD FSR4는 35개 게임에 출시 즉시 적용, 게임 리스트 유출 [7] SAS Tony Parker 7237 25/03/01 7237 1
80942 [뉴스] 라이엇의 신규 국제전 'First Stand Tournament' 총 상금 규모는 100만 달러 [18] EnergyFlow7202 25/02/25 7202 0
80930 이스포츠 올림픽, 2027년 사우디에서 개최 [8] 반니스텔루이6560 25/02/22 6560 0
80922 [뉴스] 나고야 아시안게임 e스포츠 종목 7개→11개…日게임 대거 추가 [29] EnergyFlow6504 25/02/21 6504 1
80891 [뉴스] 라이엇게임즈 3종 세트 e스포츠 월드컵 합류 확정 [26] EnergyFlow8962 25/02/11 8962 2
80847 [뉴스] 공정거래위원회, ‘확률형 아이템’ 게임사 제재 착수 [16] EnergyFlow5598 25/01/24 5598 5
80841 [LOL] 몸집 커지는 e스포츠 산업, 수익 개선은 요원 [43] EnergyFlow9759 25/01/22 9759 0
80809 [뉴스] 텐센트, 미 국방부의 ‘중국 군사 기업’ 리스트에 등재 [8] EnergyFlow7242 25/01/07 7242 0
80802 [뉴스] 2024년 E스포츠 실태 보고서가 올라왔네요 [10] 라면15914 25/01/02 15914 4
80795 [뉴스] 게임산업진흥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20] 김티모6907 24/12/31 6907 3
80792 [뉴스] 2024 LCK 어워즈 레드카펫 취소, 본 행사는 예정대로 진행 [83] EnergyFlow14643 24/12/29 14643 0
80727 [뉴스] 쿠로게임즈 텐센트 게임즈의 자회사로 편입 [9] 롤격발매기원12889 24/12/01 12889 0
80689 [뉴스] 2024 골든 조이스틱 어워드 결과 발표 [20] 김티모5317 24/11/22 5317 0
80672 [뉴스] 배성웅 감독 “공백기 길어서 고민 많았다…기회 준 DK에 감사” [19] EnergyFlow7681 24/11/21 7681 4
80641 [뉴스] 소니 카도카와 인수 협상중? [7] 롤격발매기원3792 24/11/19 379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