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1/09/24 13:28:24
Name Leeka
Subject [LOL] 롤드컵 본선 기준, 최장 다전제와 최단 다전제 TOP 3

- 본선 한정


가장 긴 경기 1~3위

3위 - 14 롤드컵 4강 (로얄클럽 vs OMG) : 188분 7초
2위 - 16 롤드컵 4강 (SKT vs ROX) : 201분 43초
1위 - 16 롤드컵 결승 (SKT vs SSG) : 252분 39초


가장 짧은 경기 1~3위

3위 - 18 롤드컵 결승 (IG vs 프나틱) : 85분 45초
2위 - 18 롤드컵 4강 (IG vs G2) : 84분 46초
1위 - 14 롤드컵 4강 (삼화 vs 삼블) : 83분 54초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iracleKid
21/09/24 13:30
수정 아이콘
15부터 롤 본 뉴비인데
1, 2위 경기는 저 긴 시간이 전혀 아깝지 않은 명경기였습니다
공항아저씨
21/09/24 13:36
수정 아이콘
실제로 이번 롤드컵 재방송 트위치 방송에서 가장 시청률이 높았던 경기들일겁니다.
서린언니
21/09/24 13:49
수정 아이콘
다전제의 진수를 보여준 신들의 전쟁이었죠
21/09/24 13:35
수정 아이콘
왜 이렇게 빨리 끝내나요 IG!!
21/09/24 13:44
수정 아이콘
18롤드컵 결승을 친구가 표 예매에 성공해서 문학을 갔는데 2경기 중간에 아 이건 3:0 각이다 싶어서 경기장 바깥에서 군것질 하면서 스마트폰으로 중계 켰던 기억이 납니다(...)
21/09/24 13:47
수정 아이콘
이왕 단일 세트게임도... 짧은 건 1557 일테고..
MiracleKid
21/09/24 13:49
수정 아이콘
1557은 롤드컵이 아니라 MSI죠 크크크크
롤 국제대회로 바꾸면 제일 먼저 나오긴 할겁니다
21/09/24 13:52
수정 아이콘
아 죄송 기억의 오류
manymaster
21/09/24 13:57
수정 아이콘
롤드컵 단일 세트면
2020 G2 담원이 1등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다음 2015때 태국팀 방콕 타이탄즈가 EDG 상대로 서렌 친 경기, 그리고 롱주가 2017때 프나틱 상대로 전령 댄스 보여준 경기 순인 것으로...
아웅이
21/09/24 13:53
수정 아이콘
혹시 옛~날에 무한 바론시야싸움 게임 기억하시는분 있으신가요?
50분 넘어서 서폿들이 신발현돌하오골에 무한 와드싸움만 했던 게임인데.. 서폿중에 잔나가 있었던것 같구요.
팀 성향 생각해보면 CLG EU나 중국팀이었을것 같습니다.
21/09/24 14:06
수정 아이콘
아웅이
21/09/24 14:13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나겜때부터 십년이상 롤 대회를 봤는데 아직도 그것만큼 더 골때리는 게임은 본적이 없네요. 크크크크크
21/09/24 22:36
수정 아이콘
솔까 그때 진심으로 롤은 이따구면 장수게임 안되겠다 싶었습니다 크크크
사이퍼
21/09/24 13:54
수정 아이콘
1위는 세트 스코어 2대0인 데다가 3세트 글골도 skt가 앞서고 있는 상황에서 룰러 이즈리얼의 앞비전으로 부터 시작된 역전..
2위는 속도의 rox와 단단함의 skt의 치열한 접전, 서폿 미포와 프레이 신궁, 페이커의 오리아나 드리블 벵기의 니달리 수 많은 명장면들이 쏟아진 역대 최고의 다전제
16년도 lck와 롤드컵의 재미는 다시 나올 수 있으려나요
21/09/24 14:51
수정 아이콘
사실 그 경기 대역전의 변곡점우 룰러의 이즈리얼 앞비전보다 그 직전 큐베의 뽀삐가 1대2로 쫓기는 와중에 뱅을 솔킬낸 순간이긴 합니다.
좋은데이
21/09/24 14:43
수정 아이콘
짧은 경기는 확실히 포스로 손에꼽는 팀들이 나오긴 하네요.
포스하면 떠오르는 팀들이 메타까지 속도전이 가능하면 나오는 기록들..
21/09/24 14:49
수정 아이콘
삼성왕조내전 3세트만큼 잔인한 경기를 본 적이 없습니다.
21/09/24 15:52
수정 아이콘
삼화가 삼성 이름 달고 lck 우승을 못한게 다른 팀도 아니고 삼블 때문이었는데 그래서 더 이갈고 나왔던 거 같네요.
리자몽
21/09/24 16:50
수정 아이콘
롤은 완전히 접었고 LCK 경기도 안보지만 롤드컵만은 매년 챙겨보는 입장에서

저 경기들이 참 반갑네요 :)
피우피우
21/09/24 19:02
수정 아이콘
장기전 전문 SKT와 속도의 IG...
1557과 더불어 SKT 진에어 94분 게임도 막 생각나고..
IG는 무슨 게임 세 판을 한 판보다 더 빨리 끝내버렸네요. 크크
21/09/24 19:33
수정 아이콘
당시에는 몰랐었는데 18 LEC가 IG에게 다 털렸네요 크크
21/09/24 21:22
수정 아이콘
16 저 3팀은 진짜 한 끗 차이였다고 봐야...
진짜 잼있는 5꽉이였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2638 [LOL] 토너먼트 대진 소감 / D조 LCK 경기 짧은 평 [32] 조미운16267 21/10/19 16267 3
72637 [LOL] 2021 Worlds 8강 대진이 완성되었습니다 [202] 욱상이23719 21/10/19 23719 0
72635 [LOL] 역대 원탑 롤드컵 그룹스테이지 확정!! 8강팀이 확정되었습니다 [28] Leeka16754 21/10/19 16754 3
72634 [LOL] 10인 로스터 이야기 [7] Hell13790 21/10/19 13790 25
72632 [LOL] 젠지 대체 뭐합니까? [51] 과수원옆집17158 21/10/19 17158 7
72631 [LOL] 월즈 역사상 탑라인전 차이 기록 경신 [23] 올해는다르다16148 21/10/18 16148 0
72629 [LOL] 씨나인은 몇번이나 북미의 희망이였을까? [24] Leeka13945 21/10/18 13945 1
72628 [LOL] [칼럼] 한화생명의 인상적인 점과 우려되는 부분 [13] JoyLuck15477 21/10/18 15477 9
72626 [LOL] 토너먼트 스테이지 대진 경우의 수? 갖고 놉시다 [39] 우스타20547 21/10/18 20547 0
72625 [LOL] C조 2R 시청 소감 / 한국팀 짧은 평 [54] 조미운19413 21/10/18 19413 3
72624 [LOL] 중국의 자존심을 살린 RNG [88] Leeka22435 21/10/18 22435 0
72622 [LOL] LCK 역대 조별리그 라운드별 승률 [10] MiracleKid12224 21/10/18 12224 0
72620 [LOL] [칼럼] T1은 왜 유미를 풀어줬을까 [25] JoyLuck23402 21/10/17 23402 30
72619 [LOL] 현재까지 각 리그의 라운드 별 승률 [23] Leeka18060 21/10/17 18060 1
72618 [LOL] B조 2R 시청 소감 / 한국팀 짧은 평 [32] 조미운19612 21/10/17 19612 3
72617 [LOL] 티원이 북미에게 미안해. 2라 북미의 반격 시작! [108] Leeka20722 21/10/17 20722 5
72614 [LOL] 단합한 북미 3시드는 흩어진 파워랭킹 1위보다 강하다 [41] 아우어케이팝_Chris19954 21/10/16 19954 8
72613 [LOL] 서버별 롤 인구수 변화와 인기 추세 [34] 마라탕44005 21/10/16 44005 3
72612 [LOL] [칼럼] 롤 도사가 된 '칸'과 침착한 소방수 '캐니언' [18] JoyLuck19580 21/10/16 19580 6
72611 [LOL] 멸망분위기로 가던 롤드컵이, 하루만에 부활했습니다. [71] Leeka21795 21/10/16 21795 9
72609 [LOL] 북미 팀 역대 MSI/롤드컵 타이브레이커 전적 [8] MiracleKid13819 21/10/16 13819 0
72608 [LOL] A조 2R 시청 소감 / 한국팀 짧은 평 [44] 조미운16215 21/10/16 16215 2
72607 [LOL] 북미의 영원한 희망. 씨나인의 미라클런 [75] Leeka17326 21/10/16 17326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