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11/11 00:26:29
Name Leeka
Subject [LOL] 중국의 2년 연속 우승! 주제곡이 예언을 한 결승후기 (수정됨)
17 롤드컵 결승 3:0
18 롤드컵 결승 3:0
19 롤드컵 결승 3:0

3년 연속 3:0 결승전이 나왔습니다.



- 역시 어려운 그랜드슬램

마지막 한발을 남기고 지투가 무너지네요


- 계속되는 중국의 시대
18 므시 RNG 우승
18 롤드컵 IG 우승
19 롤드컵 FPX 우승



계속 다른팀들이 우승을 하고있습니다.

중국의 시대가 꺽이질 않네요


- 2연준을 달성한 캡스와 유럽

2년 연속으로 캡스가 결승전에서 패하면서 준우승을 차지했습니다

이기록은 우지만 가지고 있었는데 캡스가 갱신을..


- 두팀다 정말 빠른 운영속도. 그위에서 노는 펀플

지투도, 펀플도 빠른데
지투보다 펀플이 더 위에 있었습니다



- 중국, 유럽. 얼른따라잡아야 되는 LCK

둘다 확실히 잘하네요

내년엔 꼭 따라잡아야


- FPX가 새운기록

6년만에 로얄로더
한국팀을 안만나고 우승한 팀

서머결승에서 18므시 우승 rng를 이기고
8강에서 18롤드컵 준우승 fnc를 이기고
4강에서 18롤드컵 우승 ig를 이기고
결승에서 19므시 우승 g2를 이겼습니다



- 개인적인 후기

펀플이 이길수 있다고 생각은 했는데
이렇게 이길줄은 몰랐네요

어우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나락의끝
19/11/11 00:27
수정 아이콘
중국>>>>>>>>>>> 유럽>>>>>>>>>>>>>>>>>>>lck...
19/11/11 00:28
수정 아이콘
돈힘이 이렇게 강한가 싶기도하고 lpl 엄청 강하네요 lck힘이 떨어진건가 싶기도 하고
내년엔 LCK 위상을 다시 찾아오는 해가 되면 좋겠습니다
Andrew Yang
19/11/11 00:29
수정 아이콘
2연준 3대0의 캡스 ㅜ
바부야마
19/11/11 00:29
수정 아이콘
도인비는 위대하네요.
키키스
19/11/11 00:29
수정 아이콘
중국이 드디어 돈을 투자한 결과가 나오기 시작하네요..
cienbuss
19/11/11 00:29
수정 아이콘
LCK와의 격차를 느낀 결승이었지만. 중국이 17리라를 이긴 다음 해에 롤드컵 우승했듯이 LCK도 열심히 노력해서 내년에는 우승하는 걸 보고 싶네요.

그리고 포기하지 않던 도인비의 인간승리. FPX 만세!
비역슨
19/11/11 00:29
수정 아이콘
작년 결승전은 IG도 잘했지만 프나틱 경기력도 기대보다 아쉽다 느낌이 있었는데
오늘 G2는 그냥 하던만큼 했는데 상대가 머리꼭대기 위에서 놀아버려서..
상당히 벽이 느껴지는 게임이었네요
다른 선수들도 다 잘했지만 크리스프는 진짜 보면서 감탄만 했습니다
스톤에이지
19/11/11 00:30
수정 아이콘
IG 재평가
Knightmare
19/11/11 00:30
수정 아이콘
이번 롤드컵은 지력메타였네요.
무력은 어느정도 갖췄는데 LCK 팀들이 지력이 처참한;;;;
내년엔 운영도 배우고 밴픽도;;;; 진짜 얼마나 SKT가 밴픽 개못했는지 오늘 알겠더군요.
19/11/11 00:30
수정 아이콘
IG는 오락가락하는 와중에도 저력을 보여줬던 걸로...

그나저나 캡스에게서는 우지의 향기가 나네요... 2연 롤드컵 준우승이라니
19/11/11 00:30
수정 아이콘
경기력 차이랑 밴픽차이가 너무 심해서 놀랐습니다. 이정도로 차이날 거라고 생각도 못 했어요.
19/11/11 00:31
수정 아이콘
월즈 결승은 확실히 맛이 떨어져요... 16년 정도 빼고
아웃프런트
19/11/11 00:31
수정 아이콘
솔직히 lck는 이제 너무 낡은 리그라고 생각합니다.
skt 빼고는 고만고만한 팀들 밖에 없고..
국제적으로 성적을 낸 skt도 외국팀들 입장에선 겉으로는 skt 최고야를 외치지만 막상 경기는 그냥 뚜두려패버리죠..
머랄까.. 한 시대가 끝난 느낌입니다.
노력해야죠. 지금이라도.. 정신차리고 준비해야...
근데 돈을 많이 주는 리그가 강해지는건 어쩔수없는거 같긴합니다. 현실적으로..
Knightmare
19/11/11 00:46
수정 아이콘
사실 유럽 앞에서 LCK는 돈 얘기 하면 안됩니다 유럽은 돈이 더 없어서;;;
19/11/11 00:31
수정 아이콘
이렇게된이상 자국 디버프 이용해서 내년에 꺾어야...
고스트
19/11/11 00:31
수정 아이콘
단일 시즌 그랜드슬램 보고 싶기도 하고 MSI 때 플레이하는 거 보고 G2 응원하면서 봤는데

결국 도인비의 벽을 못 넘네요. 아쉽..
1경기 - 스플릿 구도에서 국지전 이득보며 라이즈 키우기 - 파이크 픽 이유 못 보여주며 실패
2경기 - 미드 상성 구도에서 야라가스로 잘라먹기 - 탈진라이즈/갈리오로 카운터 제대로 당하면서 실패
3경기 - 드러눕기 - 실패

밴픽으로 자멸한 것도 한건데 3게임다 FPX가 다른 방식으로 이긴거라 실력차도 극심했죠.
내년 우승도 또 LPL이 정배 같은데 어떻게 될라나 기대되네요.
아기상어
19/11/11 00:32
수정 아이콘
2연콩 캡스좌....

그것도 심지어 다른팀으로 3:0 셧아웃...
루데온배틀마스터
19/11/11 00:32
수정 아이콘
팀은 예측하지 못했지만 두 팀 스타일 차이 상 한 팀이 주도권 잡으면 그거 극복이 안될거라 봐서 일방적인 스코어 나올거라 생각했는데 그대로였네요. FPX 진짜 강하고 잘합니다. G2 강하게 보는 분위기가 더 많았던 것 같은데 - 아마 SKT를 이겼기 때문에(..)- LPL끼리의 4강 1경기가 사실상 결승전이었던 셈이라고 봅니다.
롯데올해는다르다
19/11/11 00:32
수정 아이콘
다른 팀도 밴픽 욕 많이 듣지만 슼은 일반인이 솔랭 관점으로 봐도 닷지하고 싶은 조합 참 많이 썼는데 그게 똥픽이 맞다는게 증명된 롤드컵인듯..
FPX는 리라에서도 혼자 이기더니 결국 왕좌를 차지하네요.
카바라스
19/11/11 00:32
수정 아이콘
8강대진 정해졌을때는 담원 g2 skt쪽 라인이 훨씬 세보였는데 붙어보니 또 다르네요. 8강 4강보다 더 압도적이었음
베스타
19/11/11 00:34
수정 아이콘
LCK는 메타 분석 측면에서의 시스템과 대전략만 좀 더 발전하면 된다고 봅니다. 다른 분들은 격차가 느껴졌다고 하는데 저는 오히려... 거진 다왔다고 생각해요. 내년엔 LCK가 더 잘할거라 봐요.
비오는풍경
19/11/11 01:17
수정 아이콘
작년 롤과 올해 롤이 달랐던 것처럼 올해 롤과 내년 롤은 또 다릅니다.
저는 내년 LCK에도 기대가 많이 되진 않습니다. 결국 답을 못 찾은건 작년이나 올해나 다르지 않거든요.
작년에는 분석 못한 거에 선수들 폼까지 겹쳐서 더 안좋은 결과가 나왔던 거고
베스타
19/11/11 01:20
수정 아이콘
올해 롤과 내년 롤이 다르다는건 저도 늘 하는 이야기라 100% 동감하구요. 다만 저는 개인적으로 희망적이네요. 피지컬, 로지컬에서의 차이라기보다는 전략의 차이라고 봐서 이런 점은 충분히 다들 노력하면 개선될거라 보거든요. 말씀하신 그 말미에서 선수들 폼, 챔프폭의 문제가 변화했으니 이제 하나 남은거죠 쉽게 보면. 물론 이젠 정말 좀 밴픽에 대한 관점이나 분석적 측면에서도 많이 생각이 바뀌어야 한다고 봅니다. 그래도 변화하고 있고 단숨에 확 나아지는게 아니라 서서히 나아지는거라 봐서 계속 더 좋아질거라 생각합니다. LPL이나 LEC나 LCK가 한창 휩쓸 시절을 다 지나고 나서 지금처럼 올라온거죠. 그에 비하면 LCK는 2시즌마다 빠르게 회복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바다표범
19/11/11 00:34
수정 아이콘
Fpx의 코치진과 선수들이 g2를 얼마나 세밀하게 분석했고 파악했는지 느껴지는 시리즈였던게 유럽 퍼블킹 소리듣고 세체정 도전하던 얀코스가 초반 유효갱 0회였습니다. 그만큼 정글동선 갱킹루트 등 수를 다 읽고 있었다는거죠
19/11/11 00:36
수정 아이콘
초반 라인관리 귀환타이밍이 예술이더라구요
딜갱각도 안줌...
노때껌
19/11/11 00:34
수정 아이콘
이렇게 되고 보니 또 상성이라는게 있는건가 싶기도하고...
LCK 팀들이나 LCK 하위호환 이라는 소리듣던 TL 상대로는 손바닥 위에 올려놓고 게임하듯 이기며 세체팀 아닌가 소리듣던 G2가 LPL이나 VCS같이
싸움 안피하고 막 몰아붙이는 팀들 앞에서면 그저그런팀이 되버리니 신기하네요.
키모이맨
19/11/11 00:35
수정 아이콘
오늘 결승에서 티안 리신 보고 제가 아는 모든 정글러들 리신 포기선언했습니다 크크크크
더치커피
19/11/11 00:35
수정 아이콘
아무리 유럽 올스타를 모아놔도, 동양권 팀을 못 이기네요
역시 동양 쪽 선수 풀이 넘사벽으로 풍부하다보니... 그 선수들을 적절히 잘 조합한 팀이 우승했다는 느낌입니다
총사령관 도인비 + 말 잘듣는 중국산 피지컬 괴물들 조합이 정말 너무 조화롭게 잘 이루어졌네요
쿼터파운더치즈
19/11/11 00:35
수정 아이콘
도인비가 g2보고 자기네와 유사한 운영을 하는 팀이라고 해서 조금 의아하기도 했는데 결승보면서 확실히 체감했습니다 같은 패턴을 다 꿰고 완벽히 먼저 수를 두더군요 다크소울할때 상대 패턴알고 패링하는거 보는 느낌이었습니다 같은 운영을 더 똑똑하게 잘해요
그리고 lwx 크리스프 봇듀오 진짜 예전 15~16때 뱅울프 봇듀오 보는 느낌이었고 티안 리신은 예전에 삼성화이트 댄디 정글 보는 줄 알았어요 진짜 개똑똑한데 피지컬까지... 극강 작년 닝이 광적인 공격러였다면 진짜 전성기 댄디처럼 똑똑하게 잘해요
도인비야 뭐 1등공신이죠 그냥 밴으로 막을 수 없는 챔프구사력 하나만으로도 기여한게 매우 크다고 보네요
김군은 이정도면 세체탑소리들어도 인정..입니다 흐흐
파핀폐인
19/11/11 00:45
수정 아이콘
댄디 얘기 레딧에서도 바로 나오는데 역시 감상하신 바가 비슷하시네요. 저도 벵기보단 진짜 댄디가 생각났습니다.
암드맨
19/11/11 00:49
수정 아이콘
저도 댄디 생각한 1명 추가입니다. 큰 운영의 틀은 도인비나 마타가 제시한다고 해도 그걸 현실화 하는 독자적으로 움직일 수 있고 똑똒하고 피지컬 좋고 무리 안하면서 공격적인 정글...
19/11/11 00:58
수정 아이콘
오 맞아요 저도 댄디 생각났습니다
서즈데이 넥스트
19/11/11 00:35
수정 아이콘
중상위권은 LPL이 정말 탄탄하네요. 그나저나 올해 롤드컵 시작할때는 LPL 약해졌다는 사람들이 그렇게 많았는데... 역시 서로 붙어봐야 수준 측정이 제대로 되는구나 싶어요.
19/11/11 07:47
수정 아이콘
msi때 이기는 바람에..
19/11/11 00:35
수정 아이콘
내년 LPL은 무시무시 할 것 같네요
올해는 FPX빼고는 아쉬웠는데

내년에 정상적인 폼의 IG, 탑을 영입한 RNG
띵구 TES랑 바텀 교체한다는 가정하에 BLG도 강력할듯
룰루비데
19/11/11 00:36
수정 아이콘
LCK 팀들의 한심한 분석력이 더 부각되는 결승이었습니다.
FPX의 밴픽만 봐도 속이 시원하더군요.
19/11/11 00:36
수정 아이콘
도인비 선수 정말 대단하네요
그리스인 조르바
19/11/11 00:36
수정 아이콘
결과적으로 리그의 강함에 비례해 순위가 결정되었다는 느낌도 있네요.

가장 팀이 많고 선수층이 탄탄한 LPL이 2년 연속 롤드컵을 석권한게 당연해 보입니다.
19/11/11 00:36
수정 아이콘
SKT랑 할떄 그 속도의 G2가 둔해보이더라구요. 이게 상대적인 실력인가 싶기도
로쏘네리
19/11/11 00:39
수정 아이콘
근데 확실히 롤은 한국인이 잘하네요.. 개인적으로는 한국인 없는 우승팀이 오랜만에 나오나 싶었는데 이건 뭐 최고의 유스시스템에서 발굴된 인재들이라 그런가 존재감을 감출 수가 없는 것 같은...
표저가
19/11/11 00:41
수정 아이콘
롤드컵 결승은 재미없다는 징크스를 올해도 이어가네요 크크
러블세가족
19/11/11 00:50
수정 아이콘
16롤드컵이..
표저가
19/11/11 01:06
수정 아이콘
16롤드컵도 사실 메인은 4강이었죠. 결승이 특별히 재밌다는 느낌은 없었네요.
더치커피
19/11/11 01:21
수정 아이콘
락스의 미포 애쉬 임팩트가 너무너무너무 컸죠 크크
파이몬
19/11/11 00:57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니 3연속 3대0이네요.. ㅡㅡ;
파핀폐인
19/11/11 00:44
수정 아이콘
딴건 모르겠고 g2 져서 좋군요
19/11/11 00:45
수정 아이콘
1경기는 이길때든 질때든 4강의 그 G2스러운 맛이 있었는데 2,3경기는 그냥 흔한 강팀 그런 느낌이었음.
19/11/11 00:47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3:1 펀플러스 우승을 점쳤는데,,, 이렇게 압도적인 결과로 우승하는걸 보고 적지않이 놀랐슴니다~~
문도석사
19/11/11 00:51
수정 아이콘
작년 루키에 이어 올해 도인비가 mvp를 받지 못한 게 조금 아쉽네요
19/11/11 01:01
수정 아이콘
저는 펀플이 우승할것 같았는데, 그래도 첫경기는 떨지 않을까해서 3:1했는데, 괜한 걱정을 했네요
김군 선수도 수고한건 맞지만,
여기에 라인전부터 능력치 좋은 선수가 들어가면 내년에도 상당히 무서울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정글러도 그렇지만, 서폿 선수가 오늘 경기 내내 눈에 들어오더군요
더치커피
19/11/11 01:22
수정 아이콘
오늘 양팀에서 가장 많이 차이난 포지션이 바텀이었죠
인간atm
19/11/11 01:01
수정 아이콘
정말 결승만 재밌었다면 최고의 롤드컵이었는데 완벽하긴 쉽지 않네요. 어쨌든 결승만 빼면 그래도 재밌었습니다.
19/11/11 01:05
수정 아이콘
근데 이번 롤드컵 자야 승률 몇퍼센트죠? 자야들고 진 경기가 바이퍼빼면 기억이 안나는데 크크크 역대 최강최흉 원딜같은데...
19/11/11 01:18
수정 아이콘
역대 최강최흉원딜은 17롤드컵 향로 칼리스타....... 지금 판테온급이죠.
일단 나오는 챔프는 최강이 아닙니다 크크크
카푸스틴
19/11/11 03:04
수정 아이콘
전 이번 결승전 재밌더라구요. 3:0나와서 재미없다는 반응들이 있는건가 싶네요
Equalright
19/11/11 09:53
수정 아이콘
얀코스는 3회 롤드컵 진출해서 3회 4강 진출에 성공하여, 서양 프로게이머 중 최다 4강 진출을 기록했습니다.
더블리프트는 1회 제외 6번 롤드컵 진출해서 0회 4강 진출..
나른한날
19/11/11 10:05
수정 아이콘
SKT 가 FPX 를 못이기는냐... 그건또 아닌것 같아서. 그저 정신승리만 하게되네요.
kindLight
19/11/11 11:14
수정 아이콘
FPX 응원하면서 봤는데
카타르시스가 느껴 질 정도로 화끈하고 멋졌습니다.
거기에 로얄로더라니.. 소년만화 보는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7072 [LOL] [광고/홍보] [이스포츠랩 아카데미] LOL 선수 육성 장학생 선발 공고(2차) [19] 지존변8346 19/11/12 8346 3
67071 [LOL] 스틸에잇 2차 입장문 발표 + 조규남 인터뷰 추가 [138] Leeka21096 19/11/12 21096 2
67070 [LOL] 나올 수 있는 롤드컵 스킨 후보들 [26] Leeka8534 19/11/12 8534 0
67069 [LOL] 요새,,,내,,,동년배들,,,이정도는,,다한다,,, (심심해서 만들어본 게임플레이 영상) [9] 랜슬롯11311 19/11/12 11311 2
67067 [LOL] 슼런트가 방송 관리를 해줬으면 하는 바람이 있네요. [78] 삭제됨13013 19/11/12 13013 5
67066 [LOL] 후니, 2년 27억 재계약 [69] Leeka16560 19/11/12 16560 1
67065 [LOL] SKT 클리드&칸 챌코 프로 비하 논란 [275] 은여우30165 19/11/12 30165 4
67064 [LOL] 클리드처럼 중국인들에겐 욕을해도 상관없다고 생각하시나요? [28] 삭제됨10226 19/11/12 10226 0
67063 [LOL] 사상 최악의 칼바람 OP, 세나 [35] 천영17718 19/11/11 17718 0
67062 [LOL] 2019 롤드컵 온라인 동시시청자 피크 TOP 5 [11] Leeka10477 19/11/11 10477 0
67061 [LOL] 2020년 롤드컵 결승전 장소가 공개되었습니다 [44] Leeka15418 19/11/11 15418 1
67060 [LOL] 올해의 스토브리그는 어떻게 될까요? [95] 베스타11404 19/11/11 11404 1
67059 [LOL] 조별리그에서의 약진, 그러나 우승권에선 더더욱 멀어진 LCK [58] 삭제됨10450 19/11/11 10450 2
67058 [LOL] LCK 스프링. 2020년 2월 개막? [47] Leeka11344 19/11/11 11344 0
67057 [LOL] 역대급 결승전 무대. 19 롤드컵 오프닝 [8] Leeka9182 19/11/11 9182 0
67056 [LOL] LCK가 가야할 길은 무엇일까? 이번년의 실패가 의미하는바. [111] 랜슬롯11951 19/11/11 11951 2
67055 [LOL] 결승전 경기 내용에 대한 여러가지 이야기 [55] Leeka11058 19/11/11 11058 0
67054 [LOL] 한화 리빌딩의 시작은 감독 [33] 비오는풍경11399 19/11/11 11399 2
67053 [LOL] 도인비가 걸어온 길 [184] 신불해158242 19/11/11 158242 120
67052 [LOL] IG매니저 - 루키 감독 버젼 [5] 하이재킹10798 19/11/11 10798 3
67051 [LOL] 롤드컵의 끝, LCK는 과연 [51] 루데온배틀마스터13259 19/11/11 13259 6
67050 [LOL] 2019 월즈 FPX의 완벽한 우승을 보며 LCK에 대해 느끼는 점 [187] 삭제됨24745 19/11/11 24745 0
67049 [LOL] 중국의 2년 연속 우승! 주제곡이 예언을 한 결승후기 [58] Leeka11610 19/11/11 11610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