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1/20 10:56:27
Name 유유히
File #1 UPGRADE2.gif (491.1 KB), Download : 70
Subject 분위기를 돋우기 위한 MSL결승 홍보물 <BGM>




BGM : 에반게리온 파 OST, "In my spirit"

(전번에 올렸던 자료에서 지적받은 가독성의 문제를 수정하고, 사진을 추가하여 재게시합니다.)

끝없을 본좌논쟁.
하지만 그 주인공이 되어 보기라도 하려면, 일단 이겨야 하죠.

임요환과 홍진호,
최연성과 박성준,
이윤열과 마재윤.

테란과 저그의 끝나지 않을 싸움, 제 4막.
누가 이기건 이번 결승은 e스포츠 역사상 가장 중요한 역사로 남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자, 역사가 탄생하는 순간을 지켜봅시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임이최마율~
10/01/20 10:58
수정 아이콘
잘봤습니다~곰TV우승을 메이저우승에 포함시키신건가요?
유유히
10/01/20 11:00
수정 아이콘
임이최마율~님// 이영호 선수 스타리그 우승 2회, 이제동 선수 스타리그 우승 3회 + MSL 우승 1회로, 각 선수들은 이번 대회를 우승할시 3회, 5회의 우승경력을 가지게 됩니다.
임이최마율~
10/01/20 11:03
수정 아이콘
유유히님// 아 우승할시...아 그렇군요~
찌으니와쭈너
10/01/20 11:14
수정 아이콘
와~~진짜 멋져요~~
이거 만드신 분 정말 수고하셨어요.^^
10/01/20 11:18
수정 아이콘
와.... 중간중간 맘에 드는 문장이 넘 많군요.
어린 괴물의 완전한 각성... 최종병기의 마지막 진화....
완성형폭풍저
10/01/20 11:20
수정 아이콘
현재 랭킹 1,2위의 싸움이란 점에서 센게임 이윤열 vs 최연성도 좋았을텐데요..
이것도 멋지군요.
블랙독
10/01/20 11:22
수정 아이콘
음악이 정말 멋지네요 궁금 ^^
10/01/20 11:27
수정 아이콘
와 음악때문에 덜덜 떨리네요 !!!!
엄청 잘 만드셨네요
몽키.D.루피
10/01/20 11:49
수정 아이콘
태클은 아니고.. 보통 이윤열 선수는 조용호 선수와 묶지 않나요? 마재윤 선수의 라이벌 테란은 잘 기억이 안나네요..
유유히
10/01/20 11:53
수정 아이콘
몽키.D.루피님// 마재윤 선수에 최후까지 대항하던 테란이 이윤열 선수라 그렇게 썼는데.. 조용호 선수와 묶어도 되겠네요.
10/01/20 12:19
수정 아이콘
마재윤선수의 라이벌 테란이라고 생각되는 테란은 예전부터 진영수 선수가 생각이 나네요...

첫 대뷔때도 마재윤을 상대로 어렵지 않은 상대다 라는 말을 했던걸로 유명한 진영수선수...
장세척
10/01/20 12:31
수정 아이콘
누가 이기든 본좌는 아닙니다. 설레발 자제

본좌는 안티마저 만족시키고 커뮤니티를 잠잠하게 만들어야 본좌입니다
카르타고
10/01/20 12:44
수정 아이콘
마재윤선수의 테란라이벌을 굳이 꼽으라면 이윤열선수가 되겠습니다만 라이벌이라고하기에는 조금 부족하죠(신한 마스터즈까지치면 라이벌로 볼수도 있겠네요)하지만 일반적으로 모든 테란은 마재윤선수앞에 무릎 꿇었다는게 정설이고 마재윤의 전성기시절 맞수는 같은종족인 조용호선수 밖에 없었습니다
핫타이크
10/01/20 12:57
수정 아이콘
전율이 일어나네요~ 굿!
양치기
10/01/20 13:58
수정 아이콘
실력면에서 마재윤의 라이벌을 꼽자고 하면 당연히 전상욱 선수 아닌가요?
마재윤선수는 전성기시절 내내 전상욱 선수를 만날때마다 항상 풀세트 접전 끝에 힘겹게 올라갔었는데,
마재윤선수의 적수를 꼽을때마다 전상욱 선수가 묻히는 것이 참 안타깝네요.
졸린쿠키
10/01/20 14:43
수정 아이콘
잘만드셨네요 굿굿
무한낙천
10/01/20 15:08
수정 아이콘
마재윤 선수에게 굳이 테란 라이벌을 꼽자면 이래저래 애매한데
실제 전성기 시절의 최대의 맞수라고 하면 유일하게 조용호 선수죠..
한번의 우승을 좌절시키고 그 다음대회에서도 우승 직전까지 접전..

임요환 선수에겐 홍진호/김동수 선수가 있었고 (임진수)
이윤열 선수에겐 강민/최연성/박태민.. 최연성 선수에겐 박성준/이윤열..
카르타고
10/01/20 15:32
수정 아이콘
무한낙천님// 그러고보니 박정석선수는 역대본좌 누구와도 스토리는 있는데 딱 누구의 라이벌이라 하기에는 모자란감이 있군요
TheMilKyWay
10/01/20 16:21
수정 아이콘
마재윤 선수 최전성기때 머씨형제를 상대로.. 상대전적이.. vs최연성(7:0) - 당시 MSL 저그전 승률 1위... vs이윤열(11:3) - 당시 스타리그 저그전 승률 1위 였죠.. 마재윤 선수 전성기때 라이벌을 이윤열 선수로 보기에는 좀 힘들지요.. 이윤열 선수와 결승전 하기 전까지도 전적이 무려 8:2였습니다. 결승은 다 아시다시피 3:1이었죠.
영웅의물량
10/01/20 18:26
수정 아이콘
와 전율입니다. 정말 멋지네요!
이런 글에까지 자신만의 본좌 기준을 들이대는 분은 없을 줄 알았는데.. 아쉽습니다.

무한낙천님// 이윤열 선수에게 조용호가 또 있습니다. 이윤열 1차 전성기때요 크크..
조용호 선수도 참... 마재윤 선수 이기고 우승하고나서 한동안 안지는 포스 보여줬었는데 아쉽습니다 ㅡ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0130 송병구선수의 인터뷰 보신분 계십니까? [63] SKY9210300 10/01/25 10300 0
40128 오늘의 프로리그-SKTvs삼성/STXvs위메이드(5) [207] SKY924950 10/01/25 4950 0
40127 스타크래프트2가 나온다면 양대 방송사에서 방송 편성을 어떻게 할지 참 궁금합니다. [13] 물의 정령 운디4058 10/01/25 4058 0
40126 오늘의 프로리그-SKTvs삼성/STXvs위메이드(4) [227] SKY924294 10/01/25 4294 0
40125 오늘의 프로리그-SKTvs삼성/STXvs위메이드(3) [447] SKY924407 10/01/25 4407 0
40124 우세승이란 조항은 바뀌어야 합니다. [154] forangel5419 10/01/25 5419 6
40123 뜬금없는 최불암 시리즈 [4] 이권국4959 10/01/25 4959 5
40122 오늘의 프로리그-SKTvs삼성/STXvs위메이드(2) [298] SKY924539 10/01/25 4539 0
40121 양대리그 종족밸런스 추이 [2] 信主SUNNY4992 10/01/25 4992 0
40120 협회차원에서 MBC게임에 대한 징계가 필요합니다. [10] 노련한곰탱이4859 10/01/25 4859 1
40119 결승전 판정은 적절했다. [101] Amaranth4u5740 10/01/25 5740 5
40118 스타리그 DVD pack을 제작해볼까 하는데.... [8] tiZtoM3920 10/01/25 3920 0
40117 무엇이 그들을 삐뚤어지게 했던걸까요? [7] 미하라4081 10/01/25 4081 0
40116 우세승 관련 케스파 규정의 해석, 그리고 견해들의 정리. [7] ipa5121 10/01/25 5121 2
40115 이제동 선수와 이영호 선수의 승부, 훼손되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5] 제시카와치토4372 10/01/25 4372 2
40114 권한과 의무 [7] 팟저4289 10/01/25 4289 1
40113 오늘의 프로리그-SKTvs삼성/STXvs위메이드(1) [202] SKY924405 10/01/25 4405 0
40111 MBC게임의 경솔한 운영을 규탄함. 레프리의 소신있는 판정을 지지함. [74] 개념은나의것6924 10/01/25 6924 33
40110 2006년 7월 이후 우세승 7건 및 재경기 전례 [32] 인격7892 10/01/25 7892 22
40109 왜 팬들의 관심이 '우세승'or'재경기' 으로 가있는 것일까요? 더 중요한게 있는데.. [12] 거울소리4555 10/01/25 4555 2
40108 우세승 논란을 종식시키기 위하여 [28] 블랙독4124 10/01/25 4124 0
40107 재경기와 우세승의 아주 쉬운 수학적 판단 (2) [99] Phsiology4111 10/01/25 4111 5
40106 프로리그 운영방식에 대한 아이디어 [11] noknow4379 10/01/25 437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